• 제목/요약/키워드: Actin mRNA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1초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에서 pFV4CAT 의 조직 특이적 발현 (Nam and Kim #1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pFV4CAT in transgenic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germ line)

  • 남윤권;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98
    • /
    • 1997
  • 외래유전자, pFV4CAT이 이식된 transgenic 미꾸라지 계통 F1 및 F2를 대상으로 조직별 외래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Transgenic F1에서 pFV4CAT의 mRNA 합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정소(testis), 간(liver), 근육(muscle), 비장(spleen) 및 심장(heart) 조직을 RT-PCR로 분석한 결과, 조직별 mRNA 존재 여부는 F1 계통간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조직들에 비해 간(liver)과 비장(spleen)에서 보다 빈번히 발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외래 유전자에 의해 합성된 CAT 단백질을 ELISA로 정량화한 결과, 조직별 및 transgenic 계통별 다양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른 조직에 비해 근육과 심장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F1 한 계통의 근육에서, 대조군 수치의 최고 68배에 해당하는 CAT 발현이 관찰되였다. 반면 정소에서 가장 낮은 외래 유전자의 발현이 모든 transgenic line에서 관찰되었다.

  • PDF

Synovial Fluid Enhance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Canine Keratocytes

  • Lee, Seungji;Jeong, Seong Mok;Bae, Seul-gi;Kwon, Young-sam;Yun, Sung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98-203
    • /
    • 2020
  • Synovial fluid (SF) contains various factors which may be helpful for corneal stromal healing, such as cytokines, growth factors, hyaluronic acid, and protei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F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canine keratocytes.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proliferation and migration, canine keratocytes were cultured in DMEM containing 1%, 3%, 5%, or 10% SF. Real-time PCR was performed in a control group and the group treated with 5% SF, in order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s of factors associated with corneal wound healing. These factors included interleukin-1α (IL-1α),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and α-smooth muscle actin (SMA-α). Proliferation assays demonstrated that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groups treated with greater than 3% SF,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migration in all SF-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migration in the control group, as measured by migration assays. mRNA expression of IL-1α and HG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mRNA expression of TGF-β and SMA-α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5% S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F may promote corneal wound healing.

Momordicine I alleviates isoproterenol-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through suppression of PLA2G6 and DGK-ζ

  • Hongming Li;Yumei Qiu;Mengdie Xie;Changsheng Ouyang;Xiaoyun Ding;Hao Zhang;Wei Dong;Yinhua Xiong;Xilan T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1호
    • /
    • pp.75-8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protective effect of momordicine I, a triterpenoid compound extracted from momordica charantia L., on isoproterenol (ISO)-induced hypertrophy in rat H9c2 cardiomyocytes and investigate its potential mechanism. Treatment with 10 μM ISO 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as evidenced by increased cell surface area and protein content as well as pronounced upregulation of fetal genes including atrial natriuretic peptide, βmyosin heavy chain, and α-skeletal actin; however, those responses were markedly attenuated by treatment with 12.5 ㎍/ml momordicine I. Transcriptom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381 and 447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expressed in comparisons of model/control and momordicine I intervention/model, respectively. GO enrichment analysis suggested that the anti-cardiomyocyte hypertrophic effect of momordicine I may be mainly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 of metabolic processes. Based on our transcriptome experiment results as well as literature reports, we selected glycerophospholipid metabolizing enzymes group VI phospholipase A2 (PLA2G6) and diacylglycerol kinase ζ (DGK-ζ) as targets to further explore the potential mechanism through which momordicine I inhibited ISO-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momordicine I inhibited ISO-induced upregulations of mRNA levels and protein expressions of PLA2G6 and DGK-ζ. Collectively, momordicine I alleviated ISO-induced cardiomyocyte hypertrophy, which may be related to its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glycerophospholipid metabolizing enzymes PLA2G6 and DGK-ζ

RAW 264.7 세포에서의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검증 (Anti-inflammatory Activities Verification of Ambrosia trifida L. extract in RAW 264.7 Cells)

  • 유단희;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9-89
    • /
    • 2020
  • 본 연구는 단풍잎돼지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단풍잎돼지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84.1%와 92.5%의 효과를 나타냈고, 수렴활성 측정을 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94.7%의 효과를 보였다. 단풍잎돼지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RAW 264.7세포를 사용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에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500 ㎍/ml 농도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Nitric oxide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NO 생성이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효과를 western blot을 통해 25, 50, 100 ㎍/ml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COX)-2 단백질 발현효과는 100 ㎍/ml 농도에서 8.6%, 25.1%의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ERK1/2, p38, JNK와 Iκ-Bα의 단백질발현 효과는 인산화를 통해 확인하였고,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RT-PCR을 통해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iNOS, COX-2, interleukin (IL)-1β, IL-6, TNF-α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단풍잎돼지풀 추출물은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항염증 소재의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비소세포폐암주에서 저산소상태에 의해 유발된 HIFa-1 α와 VEGF의 발현증가에 미치는 Epigallocatechin-3-gallate의 억제 효과 (The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HIF-1 α and VEGF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

  • 송주한;전은주;곽희원;이혜민;조성근;강형구;박성운;이재희;이병욱;정재우;최재철;신종욱;김기정;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178-185
    • /
    • 2009
  • 연구배경: 암세포는 빠른 증식 속도로 인하여 상대적인 저산소증에 노출되면서 비정상적인 종양 혈관을 형성하여 치명적인 병인을 형성한다. EGCG는 녹차의 추출물로 간세포암주 및 전립선암주에서 HIF-1$\alph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EGCG의 비혈관 증식성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EGCG가 비소세포폐암주에서 HIF-1$\alpha$ 및 VEGF의 발현에 대한 억제 가능성을 확인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 법: 비소세포폐암주인 A549를 RPMI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저산소 유사 상태는 Modular Incubator Chamber (MIC-101)을 이용하였고 5% 이산화탄소와 95% 질소 혼합 가스를 5분 동안 공급하여 저산소 상태를 만들었으며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여 혈액가스분석기(Blood Gas Analyzer ABL725)로 세포 배양 상태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증식 상태는 MTT 방법을 실시하였다. EGCG는 0, 12.5, 25, 50,100 ${\mu}mol/L$로 농도 변화를 주어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16시간 동안 저산소 상태를 만든 뒤 HIF-1$\alpha$, VEGF, $\beta$-actin mRNA에 대해 Real time PCR을 시행하였다. 결 과: 48시간과 72시간에서 저산소 상태에 놓인 A549 세포의 증식능력은 대조군에 비하여 억제되었다. EGCG 는 저산소화에 의해 유도된 HIF-1$\alpha$의 mRNA의 전사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억제 효과는 VRGF mRNA 발현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결 론: EGCG는 HIF-1$\alpha$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비소세포암주에서의 예방적 항암요법이나 항암 치료요법 시의 주요 작용 목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우스 Hepa-1c1c7 세포주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tumor necrosis factor-a의 발현 유도 (Hepatitis B Virus-Induced TNF-a Expression in Hepa-lc1c7 Mouse Hepatoma Cell Line)

  • 예성수;장원희;양영일;이연재;김미성;석대현;박영홍;백계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4
    • /
    • 2005
  •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 의한 감염은 인류의 보건에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며, 따라서 HBV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HBV 연구에 있어서의 주된 장애요인은 그 감염이 사람과 일부 영장류에 국한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간암 세포주인 Hepa-1c1c7 세포를 이용하여 HBV의 감염성 및 그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의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HBV의 표면항원(HBsAg)분비는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TNF-a mRNA 발현 측정에는 quantitative competitive RT-PCR 방법을 사용하였다. HBV 발현 벡터를 Hepa-1clc7 세포에 도입시켰을 경우뿐만 아니라 HBV 비리온을 갖고 있는 혈청을 사용하여 Hepa-lc1c7 세포를 감염시켰을 때에도 HBV mRNA 발현 및 HBsAg 분비가 측정되었다. 또한 두 상황 모두에서 TNF-a mRNA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과 영장류에 특이적인 HBV가 마우스 간암 세포주인 Hepa-lclc7 세포도 감염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마우스 기원의 Hepa-lclc7 세포에서도 HBV의 유전자 발현에 필요한 여러 인자들이 존재하며, TNF-a와 같은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세포 내 기전에 HBV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 간암 세포주인 Hepa-lclc7 세포는 HBV 연구를 위한 시험 관내 모델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염분 자극에 의한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의 생리학적 변화 (Effects of low salinity stresses on the physiology of disc abalone, Haliotis discus discus)

  • 좌민석;강경필;최미경;여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3-303
    • /
    • 2009
  • 본 연구는 저염분에 의한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의 생리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생리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존율, 혈림프수, 항산화효소, Respiratory burst, Phenoloxidase, Lysozyme의 활성 및 HSP 70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둥근전복은 우선, 급격한 염분 스트레스에 따른 둥근전복의 생존율에서는 25, 30 psu 실험구에서만 48 h 째에 폐사된 개체가 발견되었다. 혈림프 수의 변화는 실험구 대부분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3 h째 30 psu에서 급격한 증가가 나타난 후 다른 실험구간의 수치와 유사한 수치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 (CAT) 효소는 25 및 30 psu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저염분으로의 변화가 둥근전복의 SOD 및 CAT의 증가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espiratory burst 활성은 실험 기간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면역활성을 나타내는 Phenoloxidase은 염분 감소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면역력의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ysozyme의 활성에 있어서도 Phenoloxidase 활성의 변화와 같은 저염분 정도에 의존하는 경향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25 psu 48 h째에 급격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저염분의 스트레스를 가하여 나타난 HSP 70 mRNA의 염색성은 가장 낮은 염분농도인 25 psu에서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나, 33 psu에서는 염색성이 낮게 나타났다. HSP 70 mRNA에 대한 $\beta$-actin mRNA의 발현량은 33 psu에서는 실험기간 중 거의 일정하여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5 psu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여 회복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저염분 현상은 둥근전복에 있어서 주로 Phenoloxidase 및 Lysozyme의 면역계 활성을 낮추는 작용을 통하여 생존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저염분에 의해 발생되는 항산화효소는 스트레스의 지표로 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Screening of Specific Genes Expressed in the Swine Tissues and Development of a Functional cDNA Chip

  • Kim, Chul Wook;Chang, Kyu Tae;Hong, Yeon Hee;Kwon, Eun Jung;Jung, Won Yong;Cho, Kwang Keun;Chung, Ki Hwa;Kim, Byeong Woo;Lee, Jung Gyu;Yeo, Jung-Sou;Kang, Yang Su;Joo, Young K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7호
    • /
    • pp.933-941
    • /
    • 2005
  • To develop a functional cDNA chip, specific genes expressed in the tissues of swine Kagoshima Berkshire were screened. A total of 4,434 ESTs were obtained by constructing a cDNA library from total RNA isolated from the muscle and fat tissues, affirming their functions by investigating similarity of nucleotide sequences with the database at the NCBI. Among them, 1,230 ESTs were confirmed as novel genes, which, to date, have not been identified. Attaching the genes to a cDNA microarray slide revealed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in muscle and fat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of swine. As specific genes expressed in the muscle tissues of swine with body weight of 30 kg, 60 genes including actin, myosin, tropomysin, transfer RNA-trp synthetase, Kel-like protein 23, KIAA0182 and COI, Foocen-m, etc were obtained. In addition, 18 novel genes were obtained. As specific genes expressed in fat tissues of swine with body weight of 30 kg, 47 genes including annexin II, Collagen, Fibronectin, Pleckstrin homology domain, serine protease, etc were obtained. 21 novel genes were also obtained. The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muscle and fat tissues of swine affect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muscle and the fat. However, studies on the expression mechanisms of the genes are insufficient. To reveal species of structural genes in swine muscle and fat tissue, interrelation studies in expression and function of genes by using the cDNA chip should be conducted.

RAW 264.7 세포에서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 추출물의 항염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bies nephrolepis MAX. Extract in RAW 264.7 Cells)

  • 오민정;염현지;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0-16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를 분비나무 줄기(Abies nephrolepis MAX. stem) 추출물과 분비나무 잎(Abies nephrolepis MAX. leaf) 추출물로 나누어 항염 관련 기능성을 연구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대식세포(RAW 264.7)에서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의 500 ㎍/ml의 농도에서 각각 97.8%, 95.6%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세포 관련 실험을 세포의 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 ㎍/ml의 농도로 진행하였다. 염증을 유발하는 활성산소인 NO 생성에 대해 분비나무 추출물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구에서 NO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비나무 줄기와 잎은 100 ㎍/ml의 농도에서 71.1%, 42.9%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분비나무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COX-2, iNOS 및 pro-inflammatoty cytokine인 IL-1β, IL-6, TNF-α 인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분비나무 줄기의 iNOS와 분비나무 잎의 COX-2, iNOS, IL-6 및 TNF-α의 인자가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를 보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의 iNOS, 분비나무 잎의 COX-2와 iNOS의 mRNA 발현양은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억제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ro-inflammatoty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인자에서는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의 IL-1β는 대조군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나머지 인자에서는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mRNA 발현 억제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분비나무 추출물이 항염 관련 기능성 활성에 우수함을 나타내어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PLCE1 Gene Silencing by RNA Interference on Cell Cycling and Apoptosis in Esophageal Carcinoma Cells

  • Zhao, Li;Wei, Zi-Bai;Yang, Chang-Qing;Chen, Jing-Jing;Li, Dan;Ji, Ai-Fang;Ma, L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437-5442
    • /
    • 2014
  •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s one of the most malignancies with a poor prognosis. The phospholipase $C{\varepsilon}$ gene (PLCE1) encodes a novel ras-related protein effector mediating the effects of R-Ras on the actin cytoskeleton and membrane protrusion. However, molecular mechanisms pertinent to ESCC are unclear. We therefore designed PLCE1-special small interfering RNA and transfected to esophageal squamous cell (EC) 9706 cells to investigat the effects of PLCE1 gene silencing on the cell cycle and apoptosis of ESCC and indicate its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SCC. Esophageal cancer tissue specimens and normal esophageal mucosa were obtained and assay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confirm overexpression of PLCE1 in neoplasias. Fluorescence microscopy was used to examine transfection efficiency, while the result of PLCE1 silencing was exa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 (RT-PCR). Flow cytometry and annexin V apoptosis assays were used to assess the cell cycle and apoptosis, respectively. Expression of cyclin D1 and caspase-3 was detected by Western-blotting. The level of PLCE1 protein in esophageal cancer tiss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rmal tissue. After transfection, the expression of PLCE1 mRNA in EC 9706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flow cytometry results suggested that the PLCE1 gene silencing arrested the cell cycle in the G0/G1 phase; apopt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and mock group. PLCE1 gene silencing by RNAi resulted in decreased expression of cyclin D1 and increased expression of caspase-3. Our study suggests that PLCE1 may be an oncogen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esophageal carcinogenesis through regulating proteins which control cell cycling and apop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