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nitum jaluens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한약 초오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Cho O’)

  • 박종희;박성수;어영아행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157-168
    • /
    • 2002
  • Aconites distribute widely in northern hemispere of the earth reaching to arctic zone from warm and temperate one. Chinese crude drug 'Cho O'(草烏) has been used as a remedy for apoplexy, dyspepsia, neuralgia, chronic rheumatis etc. Though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been considered to be Aconitum species of Ranunculaceae, there has been no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Cho O,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ots of Aconitum species growing in Korea, i.e. A. chiisanense, A. ciliare, A. jaluense, A. napiforme, A. proliferum, A. pseudoproliferum and A. triphyllum were studied. As the result, Cho O was proved to be the roots of Aconitum triphyllum, A. jaluense, A. chiisanense and A. napiforme.

흰투구꽃 지상부의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 of Aconitum jaluense for. album)

  • 황완균;오인세;이무택;김일혁
    • 생약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99호
    • /
    • pp.336-341
    • /
    • 1994
  • For the investigation of medicinal resources in Aconitum species,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search the less toxic constituents than Aconitum alkaloid in the aerial part of Aconitum jaluense for. album (Ranunculaceae). From the BuOH fraction of MeOH extract, three flavonoid compounds, hyperoside(1), $kaempferol-3-O-{\beta}-_D-galactopyranoside(2)$, $kaempferol-3-O-{\alpha}-_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_D-glucopyranoside(3)$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pectroscopic evidences (UV, IR, NMR and Mass etc.) and comparison with authentics, respectively.

  • PDF

Crossability of the Aconitum jaluense Species Complex (Ranunculaceae) in Korea

  • Oh, Sang-Hun;Park, Chong-W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35-438
    • /
    • 1998
  •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examined the crossability of four species in the A. jaluense complex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ir delimitation and levels of differentiation. Crosses between diploid A. chiisanense and the tetraploid species including A. jaluense s. str., A. triphyllum, and A. pseudoproliferum yielded no fruit- or seed-set, indicating that the former species is reproductively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latter three species. In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the tetraploid species, combinations involving A. jaluense s. str. resulted in much reduced fruit- and seed-set, indicating that A. jaluense s. str. is more or less reproductively isolated from the other tetraploid species. However, crossing data revealed the absence of reproductive isolation between A. triphyllum and A. pseudoproliferum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previously suggested for the A. jaluense complex on the basis of morphology, chromosome number, and flavonoid chemistry.

  • PDF

Alkaloidal Constituents from Aconitum jaluense

  • Shim, Sang-Hee;Kim, Ju-Sun;Kang, Sam-Sik;Son, Kun-Ho;Bae, Ki-Hw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9호
    • /
    • pp.709-715
    • /
    • 2003
  • Aconitum jaluense Komar. (Ranunculaceae) is one of the Aconitum plants growing in Korean peninsula. An investigation of the alkaloidal constituents of this species led to the isolation of seven $C_{19}$-norditerpenoid and a $C_{20}$-diterpenoid alkaloid. Three of them have been identified as neoline, mesaconitine, and hypaconitine, which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collected from Mt. Bultasan in the north part. The other five alkaloids were determined as lipomesaconitine, lipohypaconitine, 15$\alpha$-hydroxyneoline, hokbusine A, and napelline, which have not been found in this plant. Structures of those alkaloid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ir spectral data. It is of interest to note that a comparison of the present work and the previous report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alkaloidal contents.

소백산 초오속 초오아속(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의 잡종형성 (Hybridization in Aconitum subgenus Aconitum at Mt. Sobaek in Korea)

  • 임채은;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3-35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소백산 초오아속 개체군들과 이들의 부모종으로 추정되는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소화경에 분포하는 털의 종류와 분포양상, 잎의 형태 및 결각 상태 등 주요 식별형질에 대한 비교형태학적 연구 및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소백산 본 아속 개체군들의 형태 변이 양상 및 기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백산에 분포하는 본 아속 식물은 소화경에 분포하는 털의 종류 및 분포양상에 따라 크게 (1) 소화경이 완전히 무모인 개체, (2) 소화경 상부에만 유두상 돌기가 있는 굽은 털이 소수 분포하는 개체, (3) 소화경 상부로부터 중앙부까지 유두상 돌기가 없는 굽은 털이 다수 분포하는 개체, (4) 소화경 상부에만 굽은 털과 함께 표면이 평활한 선형의 개출모가 소수 혼생하는 개체, 그리고 (5) 소화경 상부로부터 중앙부까지 굽은 털과 함께 표면이 평활한 선형의 개출모가 다수 혼생하는 개체 등의 5가지 형태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5가지 형태유형을 가진 개체들은 소백산 대부분의 지역개체군에서 다양한 비율을 가지면서 모두 나타난다. 상기 비교형태학적 연구 결과와 주요 식별 형질의 주성분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소백산에 분포하는 본아속 재체군의 개체들은 과거, (1) 암술 및 소화경이 무모인 A. kusnezoffii, (2) 소화경에 유두상 돌기가 있는 굽은 털을 가진 A. japonicum subsp. napiforme, 그리고 (3) 소화경에 선형의 개출모를 가지는 A. jaluense subsp. jaluense 등 최소한 세 분류군간의 다원 잡종형성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개체 사이에 반복적으로 유전자 침투(introgression)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lkaloids from Aconitum jaluense

  • Shim, Sang-Hee;Kim, Ju-Sun;Kang, Sam-Sik;Son, Gun-Ho;Bae, Ki-Hwa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09.3-209.3
    • /
    • 2002
  • PDF

Taxonomic Review of Aconitum kaimaense Uyeki & Sakata (Ranunculaceae) and Distribution Report in South Korea

  • Jung Sim Lee;Hye-Won Kim;Dong-Kap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18
    • /
    • 2020
  • Aconitum kaimaense Uyeki & Sakata was first collected by Uyeki & Sakata at Bujeon Plateau in Hamgyongnam-do and reported as a new species and recorded i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Pak, 1949). A. kaimaense was taxonomically treated under the name of Aconitum jaluense Kom in A Revision of Aconitun Subgenus Aconitum (Ranunculaceae) of East asia. (Kadota, 1987), and it was also treated as synonym in Korea(1996, 2007, 2011). A. kaimaense has erect or apically slightly curved stem, dense corymb inflorescence, pubescent pedicels, yellowish white sepals and carpels 5(or 4) pubescent.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taxonomic location of A. kaimaense, we conducted literature observation, sample observations in KYO, TNS, KH, SNU, SKK, and field research in Korea. The distribution in Hongcheon, Pyeongchang, Jeongseon, and Yangyang of Gangwon-do was confimed.

  • PDF

천연 활엽수림에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와의 상관 - 평창군 가리왕산, 중왕산 지역 - (Correlation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Major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Gariwang and Mt. Jungwang, Pyeungchang-gun)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93-499
    • /
    • 2010
  • 자생 초본식물의 보존과 임간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리왕산과 중왕산 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천연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초본식물 분포조사에서는 136종의 초본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개별꽃의 상대우점치가 1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주요 식물종은 벌깨덩굴, 현호색, 참나물, 대사초, 단풍취, 큰개별꽃, 얼레지, 곰취, 만주족도리풀, 피나물, 노루오줌 등 이었다. 노루귀와 단풍취; 참나물과 두메투구꽃; 두메투구꽃과 풀솜대; 벌깨덩굴과 큰개별꽃, 등의 종간에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주요 식물종의 유집분석 결과,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주요 자원식물종이 선호하는 입지인자들이 밝혀졌다. 곰취, 단풍취, 박쥐나물, 얼레지, 참나물 등은 해발고가 높을수록 많이 분포하였고, 곰취는 토심이 깊을수록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결과는 평창군 아고산 천연활엽수림의 보전과 주요 지원식물의 임간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가리왕산의 산채(山菜)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Wild Edible Herb Species in Mt. Kariwang)

  • 김갑태;엄태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22-429
    • /
    • 1997
  • 본 연구는 임산 부산물의 생산성과 산림관리를 통한 임산물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주요 산채의 분포와 임분구조 및 환경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강원도 평창군 장전리 지역의 국유림에서 조사하였다. 곰취는 벌채지나 초원, 신갈나무림에 분포하며, 참나물은 활엽수 혼효림, 신갈나무림에 주로 분포하며, 수리취는 벌채지나 초원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엽수 조림지에서는 주요 산채의 분포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참나물과 곰취는 토양수분 조건이 좋은 곳에서 주로 분포하였고, 더덕, 서덜취 및 수리취는 토양수분과는 무관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 방위별 분석에서는 곰취와 참나물은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더덕, 서덜취 및 수리취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곰취의 경우는 사면 방위별로는 북향이나 서향에서 많이 분포하고 남향이나 동향에서는 극히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참나물의 경우에도 사면 방위별로는 북향이 다른 방위에 비하여 월등히 많이 분포하였다. 곰취와 참나물, 투구꽃 및 박새 참나물과 풀솜대, 투구꽃 및 박새 등의 종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인정되어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