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ic rai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Color Removal from Dyeing Effluent using Activated Carbons Produced from Various Indigenous Biomass

  • Islam, Md. Shahidul;Das, Ajoy Kumar;Kim, In-Kyo;Yeum, Jeong-Hyu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4-100
    • /
    • 2010
  • Colored compounds adsorption from the textile dyeing effluents on activated carbons produced from various indigenous vegetable sources by zinc chloride activation is studied.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in chemical activation were found to be the chemical ratio of $ZnCl_2$ to feed (3:1), carbonization temperature (460-470 $^{\circ}C$) and time of activation (75 min). The absorbance at 511 nm (red effluent) and 615 nm (blue effluent) are used for estimation of color. It is established that at optimum temperature ($50^{\circ}C$), time of contact (30-40 min) and adsorbent loading (2 g/L), activated carbons developed from rain tree (Samanea saman) saw dust and blackberry (Randia formosa) tree saw dust showed great capability to remove color materials from the effluents. It is observed that adsorption of reactive dyes by all types of activated carbons is more than that of disperse dyes. It is explained that because of its acidic nature the activated carbon can adsorb better reactive dye particles containing large number of nitrogen sites and $-SO_3Na$ group in their structure. The use of activated carbons from the indigenous biomass would be economical, because saw dusts are readily available waste worldwide.

서울地域의 酸性强雨現像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Present State of Acid Precipitation in Seoul Area)

  • 박성배;박상현;김민영;강희곤;김영광;이상열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2-54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enomena of acid precipitation. The pH value, electro conductivity and major anions (sulfate, nitrate and chloride) were measured by automatic acid rain monitor and ion chromatography at 5 points in Seoul area from Jan. to Dec. 1988. 1. The acidity of rainfall was in order winter (4.31) spring (4.77) fall (4.94) summer (5.31). Rainfall with a pH of less than 5.6 was appeared 83.2 percent. 2. The range of the highest appearence frequency rate both at Hannam-dong and Songsu-dong was from pH 4.6 to 5.0 and appeared 30.7 percent and 38.3 percent respectively, Bang-i-dong was 36.3 percent in the ranged from pH 4.1 to 4.5 and Guro and Ssangmun-dong were 26 percent and 30.3 percent in the ranged from pH 5.1 to 5.5 respectively. 3. The sulfate and nitrate ion concentration in earlier rainwater ranged from 0.1 ppm to 50.2 ppm and from 0.01 ppm to 15.8 respectively. The earlier rainwaters were generally more acidic than the after rainwaters. 4. The order of the major anion concentration in rainwater was $SO_4^{2-} > Cl^- > NO_3^-$ and the acidity of it was more effective by sulfate ion than others. The correlation between pH value and anions concentration was shown positive correlationship at Guro-dong and Bang-i-dong and negative correlation at Hannam-dong but not at the other sites.

  • PDF

골프장 그린 토양에서 Metalaxyl의 흡ㆍ탈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Metalaxyl in the Green Soil of Golf Course)

  • 유병로;정경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7-234
    • /
    • 2002
  •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behavior of metalaxyl in environment which was used as pesticide in green soil of golf course and as func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desorption and degradation in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contents. Acid water containing metalaxy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n adsorption, desorption and degradation. The adsorption of metalaxyl played more significant role in organic contents than clay contents, and pH Increases more pH 2.5 than pH 5.6. The desorption of metalaxyl from contaminants soil decreased higher organic contents LS-soil than S-soil, but the desorption amount of metalaxyl increased more pH 5.6 than pH 2.5. The rate of degradation of metalaxyl in green soil environmental increased higher organic contents LS-soil than S-soil and decreased more pH 2.5 than pH 5.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havior of metalaxyl of the green soil was affected the soil texture of the golf course. Increasing of organic contents, the adsorption amount of metalaxyl on soil increased. Moreover the decrease of the pH of solution increased adsorption amounts and decreased desorption amounts. As the results, the transportation of metalaxyl in soil decreased the acidic rates. The acidification of soil by the acid rain increased the adsorption amount of metalaxyl, but the degradation of metalaxyl de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stain contamination in run-off the stream and ground water by residuals in soil.

남산과 광릉의 토양 미소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Soil Microarthropods Fauna at the Namsan and Kwangreung)

  • 박홍현;정철의;이준호;이범영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7-47
    • /
    • 1996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mictoarthropods fauna in Namsan and Kwangreung which were considered to receive different degreeds of environmental pressures. In basic environmental data, Namsan where under rather accelerated acidification by air contamination and acidic rain showed low pH, tardy decomposition and turnover rate. Population density of soil microarthropods was high in Kwangreung 17,169.8/\ulcorner\ulcorner(coniferous forests), 17,892.6/$\textrm{m}^2$(deciduous forests) than in Namsan, 12,143.8/$\textrm{m}^2$ (coniferous forests), 14,216$\textrm{m}^2$(deciduous forests). Biomass of soil microarthropods was 2,020.219mg/$\textrm{m}^2$ at coniferous forests and 4,270.172mg/$\textrm{m}^2$ at deciduous forests in Namsan, and 3,287.326mg/$\textrm{m}^2$ at coniferous forests and 4326.1mg/$\textrm{m}^2$ at deciduous forests in Kwangreung. Population density constantly showed high in spring, and seasonal fluctuations were correlated with seasonal precipitation. As far as vertical distribution is concerned, population density was concentrated in litter layer as 70% while 30% are in soil layer and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depth.

  • PDF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민감도(敏感度) 및 자정기능(自淨機能)(I) - 강우(降雨)의 산성화도(酸性化度)와 식생(植生) 활력도(活力度)(TVI)를 중심(中心)으로 - (Sensitivity and Self-purification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to Acid Precipitation(I) - Acidification of Precipitation and Transformed Vegetation Index(TVI) -)

  • 이수욱;장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460-472
    • /
    • 1994
  •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민감성(敏感性)과 자정능력(自淨能力)을 분석(分析) 평가(評價)하므로서 도시내 또는 인접지역에 존재하는 삼림(森林)을 생태학적(生態學的)으로 건강하게 관리(管理)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단지역 1개소, 상업지역 4개소, 주택지역 4개소와 외곽지역 5개소에서 강우를 조사, 측정하였고, 강우조사 장소에 인접해 있는 7개 산림지역을 선정하여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Landsat TM 데이타를 이용한 변환식생지수(TVI)로 산림 지역별 식생활력도를 분석하였다. 대전지역은 여러가지 대기(大氣) 오염물질(汚染物質)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었고, 강우내 이온농도의 평균은 $SO_4{^{2-}}$ 20.16mg/l, $NO_3{^-}$ 3.65mg/l, $Cl^-$ 3.09mg/l로 나타났다. 오염물질(汚染物質) 총강하량(總降下量)은 음이온의 경우 $SO_4{^{2-}}$$1.09mg/m^2/month$, $NO_3{^-}$$0.23mg/m^2/month$, $Cl^-$$0.20mg/m^2/month$이었다. 양이온의 경우는 $Ca^{2+}$$0.14mg/m^2/month$, $NH_4{^+}$$0.10mg/m^2/month$이었고 $Na^+$, $K^+$$Mg^{2+}$는 각 각 0.08, 0.07 및 $0.08mg/m^2/month$이었다. 대전지역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지역은 공단지역으로 강우내 $SO_4{^{2-}}$, $NO_3{^-}$, $Cl^-$의 농도가 각각 43.08, 3.88, 3.64ppm이었으며, 산림토양(山林土壤) 평균 pH는 4.16-4.94로 강산성(强酸性)이었다. 식생활력도(TVI)는 당산 3.11, 계족산 4.00, 보문산 4.13, 갑하산 4.18, 봉산 3.34, 식장산 4.13, 성치산 4.20으로 공단지역에 인접되어 있는 당산지역에서 식생활력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포항 옥명 폐기물 매립지의 지하수 환경 (Groundwater Environment of the Okmyong Waste Landfill in the Pohang City)

  • 정상용;이강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23-232
    • /
    • 1998
  • 포항 옥명 폐기물 매립지는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폐기물 처리장으로서 1988년 1월부터 현재까지 약 10년동안 사용되고 있다. 매립지에서 반경 2~3 km 범위의 일반지하수는 산성비의 영향으로 pH가 약산성이며, EC, NO$_3$, SO$_4$가 보통의 지하수보다 높게 나타난다. Piper의 삼각다이아그램에서의 수질유형은 Ca-SO$_4$와 Na-SO$_4$형인데, Ca-SO$_4$형이 우세하다. 매립지내의 5개 감시정 지하수의 수질은 침출수의 영향으로 pH가 약알카리성이며, TS, COD, Na, Cl, SO$_4$, Alkalinity, F 등이 일반지하수에 비하여 많이 나타난다. Mn, Zn, Pb, Cr Ni 등의 중금속도 많이 나타나지만, 유해유기원소는 검출이 되지 않는다. 옥명 매립지 지하수의 수질유형은 Na-SO$_4$형으로서, 서울난지도, 부산석대 등의 일반 생활폐기물 매립지의 Na-Cl형과 구별된다. 현재까지 확인된 지하수 오염범위는 매립지 입구에서 서쪽으로 약 120 m 떨어진 곳이다. 앞으로 침출수들이 매립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는 매립지 외곽에 차수벽을 설치하고, 매립지내에는 여러개의 채수정을 개발하여 오염된 지하수들을 주기적으로 양수하여 침출수처리장에서 처리하여야 한다.

  • PDF

금정산성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방안 (Restoration Pla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 김석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3호
    • /
    • pp.231-245
    • /
    • 2010
  •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phytosociological changes in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for fifteen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Of the 8 quadrates, site of the North Gate 2 was having a highest in the number of extinct trees, 15 kinds. This is probably due to trampling effect caused by climbers' steps. Site of the West Gate 1 and South gate 1 each had 8 kinds of extinct tre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newly appeared trees was highest at site of the North Gate 1, (8 kinds) followed by the sites of South gate 1 and South gate 2, respectively (5 kinds). The highest decrease in number of tree species was observed in North Gate 1, therefore,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diversity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 available spaces. In order to revitalize the unstabl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Robinia pseudo-acacia has to be well maintained in the shrub tree layer, and vines, such as Smilax china, Humulus japonicus, and Pueraria thungergiana, should be removed.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dead leaf layer should be protected, and more shrub trees need to be planted. In the understory and shrub tree layer, multi layer tree planting is highly recommended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and increase tree diversity. In order to improve bad soil condition caused by trampling effect of recreational users, special treatments to the soil structure are required, such as mulching and raking soil. Also, depending on its soil damage from users trampling, the areas in the park should be divided into usable areas and user limited areas by the sabbatical year system. To improve the soil acidity due to acidic rain, soil buffer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by activating microorganisms in the soil by using lime and organic material.

흐름주입분석기법을 채용한 과산화수소의 흡수분광법 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Using a Technique of Flow Injection Analysis)

  • 황훈;홍승기;이지연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20-523
    • /
    • 2001
  • 산성조건에서 $H_2O_2$가 HCr$O^-_4$ 이온과 반응하여 진한 청색의 $CrO(O_2)_2$를 형성하는 반응에 흐름 주입 분석을 도입하여 수용액시료 중 $H_2O_2$의 양을 정량할 수 있는 흡수분광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이 분석법에 의한 $H_2O_2$의 정량범의는 2.00${\times}10^{-6}$M∼0.020M이며, 측정한계는 약 1.5${\times}10^{-6}$M이다. 또한, 이 분석법은 실제 강우와 강설 중에 존재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결정에도 사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장풍 동광산 폐광석 내 원소의 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Elements Extraction in Waste Rocks on the Abandoned Jangpoong Cn Mine)

  • 이인경;최상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6호
    • /
    • pp.695-708
    • /
    • 2008
  • 함동 장풍광산에서 산성 환경에 노출된 폐광석 원소의 지화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용출실험과 총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변의 오염되지 않은 토양 내의 원소 함량과 폐광석 내의 원소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농집이 많은 순서는 As>>Cu>Pb>Cd>Co이다. 산성비 ($0.00001{\sim}0.001N\;HNO_3$)와 산성배수($0.001{\sim}0.1N\;HNO_3$)를 고려한 산도변화에 따른 용출 실험 결과, 산용액과 24시간 반응한 후의 최종 pH 변화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산도를 더 낮아지게 할 수 있는 광물의 용해 작용으로 반응 용액의 pH보다 더 낮은 최종 pH를 나타내는 유형 1과 pH를 완충할 수 있는 광물이 존재하여 반응용액의 pH보다 높은 pH를 유지하는 유형 2.3으로 구분되었다. 원소의 용출거동 특성은 비소-코발트-철과 구리-망간-카드뮴-아연 그리고 납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비소-코발트-철의 용출특성은 약산성의 환경에서는 용출이 미약하나, 최종 pH 1.5 이하의 강산성환경에서는 용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구리-망간-카드뮴-아연형태에서는 최초로 용해되는 pH가 $7.0{\sim}3.0$으로 pH $2.5{\sim}1.5$에게서 최초 용출이 발생하는 비소-코발트-철보다 높았다. 납은 원소에 비해 상당히 적게 용출되었다. 최종 용출된 함량과 관계없이 초기 용출이 발생하는 pH값을 기준으로 한 각 원소의 상대적인 이동성은 망간 아연>카드뮴>구리>>철 코발트>비소>납 순서이며, 산성비는 아연, 망간 및 구리를 쉽게 용출시킬 것이고, 산성광산배수의 발생은 이동도가 낮은 원소(비소, 철, 코발트 그리고 납)의 분산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의 산림생태계내(山林生態系內) 유입(流入)과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변화(變化) (Deposition of Atmospheric Pollutants in Forest Ecosystems and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 김동엽;유정환;채지석;차순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84-95
    • /
    • 1996
  • 최근 우리 나라 대도시와 공업지역의 환경오염은 주변 자연생태계의 만성적 피해에 대한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오염지역 주변의 산림생태계내 물질유입과 환경오염이 토양환경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오염지역으로 서울, 울산, 여천 및 서산을 선정하였고 청정지역으로 평창을 선정하여 이들 지역의 산림에 유입되는 대기강하물을 강우와 임내우(수관통과수, 수간수)를 통하여 측정하였고 각 지역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대도시와 공업지역의 평균 강우 pH는 4.5에서 5.5사이에 분포하여 산악지역의 pH 5.8에 비하여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강우 는 임분을 통과하면서 이온농도가 최고 4배까지 증가했으며 대도시와 공업지역에서 임내우 이온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다났다. 임내우에서 나타난 물질유입 총량도 대도시와 공업지역이 산악지역에 비하여 2-3배 정도 높았다. 산성강하물의 영향으로 토양산성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대도시의 토양은 산악지역에 비하여 pH 1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의 양이온 함량은 대도시와 공업지역에서 높게 나타나 양이온 유실은 심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산성물질 유입에 의한 토양산성화의 진행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도시와 공업지대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주변 산림생태계내 물질유입과 토양환경의 변화가 관측되었으며 앞으로의 생태계의 변화 과정과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계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밝혀져야할 과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