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Level

검색결과 1,475건 처리시간 0.025초

NAEP 문항 반응에 기초한 미국 학생들의 지리 성취수준 분석 (An Analysi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in Geography Based on NAEP in the United States)

  • 박선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74-487
    • /
    • 2005
  • 본 연구 목적은 2001년에 시행된 미국 NAEP 지리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문항반응경향성을 분석하여 귀납적으로 성취수준을 기술하는데 있다. NAEP 지리 평가는 4 8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는데, 평가영역은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구분된다. 내용영역은 공간과 장소 환경과 사회 공간직 역동성과 연계성이고, 행동영역은 지식 이해 적용이다. 성취수준은 기초 숙달 수월수준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수준과 대표 문항을 연계하는 방법(item mapping method)을 사용하여 성취수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NAEP 지리 성취수준 설정위원회에서 제시한 성취수준과 대표 문항 분석에 기초한 성취수준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 문항 분석을 기초로 도출된 성취수준은 실제 학생들의 문항반응에 기초하여 도출되었기 때문에 지리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송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스마트러닝기반의 수업이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성 분석: 스마트앱의 3D와 AR 활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mart learning based class on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level: focusing on 3D application and AR of smart application)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 수학교육에 있어서 스마트러닝기반의 수업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효과성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G대학에서 공학인증 과목인 미적분학II를 수강하는 학생들 중 이전 학기 미적분학I에서 C학점 이하이고, 성취수준이 아주 낮은 학생들로 구성된 '특별반'에 속했던 학생들 중 미적분학II를 공학인증으로 받아야만 하는 16명의 학생들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스마트폰의 앱에서 3D와 증강현실(AR)을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르면 SNS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문제분석 결과와 강의평가 결과를 통하여 공간에 대한 시각적 이해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앱을 활용한 스마트러닝기반 수학수업이 사전 학업성취도에 관계없이 학업성취도 증진 및 수학적 흥미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10 to 2012)

  • 이광상;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37-25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 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문제의 요구주의력과 덩이지식화 효과가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mental demand of items and chunking.)

  • 안수영;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3-27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 of problem solving by mental demand of items and chunking level of problem solver on the item. The principal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increase of mental demand of items. students' achievement score appeared to decrease and the more mental demand an item needed. the higher or at least the same hierarchical item was. These results showed that mental demand of item was main factor which decided difficulties of problem solving. 2) Though items have the same mental demand. students' achievement score were different between balance beam task and 2nd law task (achievement score of balance beam task < achievement score of 2nd law task). 3) Achievement score of LM group who used chunked knowledge to solve balance beam task were higher than non LM group who used non chunked knowledge. 4) The level of chunked knowledge was different between two tasks when non LM group solved items of two tasks. On the other hand, LM group used the same level of chunked knowledge to solve items of two tasks. 5) Achievement score of non LM group was the same between items of two tasks after treatment due to chunking effect by treatment. But achievement score of LM group didn't change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chunking effect by treatment had an effect on non LM group, but it was not on LM group.

  • PDF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 전략 분석 (Analyses of Volition Strategy by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High Learning Motivation)

  • 고유경;김현경;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6-384
    • /
    • 2006
  • 이 연구는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그들이 사용하는 의지조정 전략의 빈도와 유형을 분석하여, 과학학습에 학습을 유지시켜 주는 의지조정 전략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인지수준이 같고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 중에서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학생 3명과 낮은 학생 3명을 선정, 이들을 면담과 수업관찰을 통하여 학습을 방해받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의지조정 전략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와 의지조정 전략 간에는 일정한 관련이 었으며,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의지조정 전략 사용 빈도와 사용하는 의지조정 전략 유형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학생은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보다 의지조정 전략을 더 빈번히 사용하여, 학습을 방해받는 상황에서도 계속적으로 학습을 유지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다양한 내적통제 전략을 사용하는데 비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환경통제 전략을 주로 사용하며 한정된 의지조정 전략을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어머니 취업력, 성취동기와 직업 양성평등의식이 어머니 취업에 대한 부정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History,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der Egalitarianism in Job on University Students' Negative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 성미영;권희경;장영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15-124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maternal employment history,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der egalitarianism in job on university students' negative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A total of 338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yungki, and Kyungnam area, provided information for the study.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negative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lower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in job than female students did. Mothers' history of employment during the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 and higher job egalitarianism predicted lower negative beliefs about maternal employment. As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compared, male students with history of mothers' employment, lower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higher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showed low level of negative beliefs about maternal employment. For female students, mothers' employme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beliefs about negativ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조직간 협력의 조건이 공동목표 달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시뮬레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Effect Analysis of th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on the Achievement level of Jointed Goal and Its Simulation Model)

  • 최남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2권1호
    • /
    • pp.93-112
    • /
    • 2001
  •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is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strategy in modern public and privet sectors managerial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concepts of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means not selfish cooperation as in the game circumstance and theory, but general collaborative action between organizations, they have share same goal. The achievement level of jointed-goal of inter-organization is depended upon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cooperation.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on achievement level of the jointed goal between two organizations with computer simulation model of the system dynamics approach. In the computer simulation model, three factors, goal perception, communication, and control, are considered as a key conditions of cooperation, which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Sim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with focus on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se three factors and the achievement level of jointed-goal. Consequently, the results found in this paper may provide further grounds for reducing the time delay that included in the conditions of cooperation.

  • PDF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Achievement)

  • 임희준;최경숙;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7-14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를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라 비교하였다.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에서는 학습의 책임을 학습자에게 보다 많이 부여하고, 고급 사고 수준의 활동이 포함된 과제를 학습자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은 소집단 토론을 통하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였고, 개별학습 집단은 동일한 활동지를 개별적으로 해결하였다. 전통적인 수업은 교사 설명 위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이었으며,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총 10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협동학습 집단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가 개별학습 집단이나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도 협동학습 집단이 보다 긍정적이었다. 모든 변인에서 수업 처치와 학습자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효과적이었다.

  • PDF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Group Reward and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1-129
    • /
    • 2006
  •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경쟁을 유도하는 집단보상과 소집단 구성원의 결속을 강조하는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문제중심 협동학습을 실시하였고 2개 학급에서는 각각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면에서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별로 진행된 협동학습 후에 세 집단의 과학성취도와 학습동기 점수를 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취 수준 상위인 학습자에게는 집단보상이 협동기술 훈련보다 효과적인 반면 하위인 학습자에게는 협동기술 훈련이 집단보상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중위인 학습자는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과는 관련이 없었다. 학습동기의 하위요소별로는 주의력 요소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자신감과 만족감 요소에는 효과가 나타났다.

The Effect of Teacher's Business Knowledge Distributions on School's Academic Achievement

  • Subramaniam KOLANDAN;Kingston PALTHAMBURAJ;R Kalai Vilanggum Kanimoli RETNAM;Azizul Qayyum BASRI;Ahmad Shah Hizam MD YASIR5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12호
    • /
    • pp.15-22
    • /
    • 2023
  • Purpose: Business education is in high demand whereas knowledge is critical for an individual'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eneral, and for teachers in particular.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the distributions of teachers' business knowledge on schools' achievement were investigat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mploys a quantitative metho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business knowledge distributions of teachers on schools' achievement. 155 business studies subject teachers were categorised into 66 respective schools to measure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between teachers' business knowledge distribution and schools' achieve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chievement from the aspect of teachers' business knowledge distributions, with the score of, r = 0.345, p < 0.05. The value of R2 shows a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knowledge distributions on school achievement but still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measurement of the school's level of achievement.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usiness knowledge and school achievement in the subject of Business Studies is significant. This study proves that the teacher's knowledge about business is very important in guaranteeing the success of students who took this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