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umulated exhaus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A Particulate Matter Sensor with Groove Electrode for Real-Time Diesel Engine On-Board Diagnostics

  • Kim, S.;Kim, Y.;Lee, J.;Lim, S.;Min, K.;Chun, K.
    • 센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1-196
    • /
    • 2013
  • A particulate matter sensor fabricated by MEMS process is proposed. It is developed to accommodate Euro6 on-board diagnostics regulation for diesel automobile. In the regulation, emission of diesel particulate matter is restricted to 9 mg/km. Particulate matter sensor is designed to use induced charges by charged particulate matter. To increase sensitivity of the sensor, groove is formed on sensor surface because wider surface area generates more induced charges. Sensitivity of the sensor is measured 10.6 mV/(mg/km) and the sensor shows good linearity up to 15.7 mg/km. Also its minimum detectable range is about 0.25 mg/km. It is suitable to detect failure of a diesel particulate filter which should filter particulate matter more than 9 mg/km. For removing accumulated particulate matter on the sensor which can disturb normal operation, platinum heater is designed on the backside of the sensor. The developed sensor can sense very low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from exhaust gas in real-time with good linearity.

카드뮴이 애기장대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dmium on Growth of Arabidopsis thaliana)

  • 박종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1103-1108
    • /
    • 200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dmium on the growth of Arabidopsis thaliana when they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dmium. The growth of stem was stimulated in the concentrations up to fifty times higher tha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of cadmium of pollutant exhaust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ut it decreased in the concentration one hundred fifty times or more higher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oncentration. The growth of root was similar to that of stem, except that the decrease was gradual in the concentration fifty times or more higher. The growth of leaf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stem, that is, it was stimulated the increase of leaf surface area in the concentration fifty times higher, but decreased in the concentration one hundred fifty times or more higher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oncentration. The fresh weights of the plants were increased in accord with the degree of growth of the stem and leaf. Concentration of cadmium accumulated in the plants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cadmium. Thes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of plants was stimulated in the soil polluted by cadmium up to fifty times higher than the official standard concentration, but it wa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n the plants grown in the presence of cadmium more than one hundred fifty times.

3L급 디젤엔진의 배압이용 DPF 매연포집량 예측에 대한 연구 (Study on Estimation of PM Mass in DPF from Pressure Drop in 3L Diesel Engine)

  • 김홍석;이진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5호
    • /
    • pp.499-504
    • /
    • 2010
  • 디젤 매연여과장치내 포집된 입자상물질의 재생 시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매연 포집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터내 축적된 매연 포집량은 필터 전 후의 압력차와 배기유량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디젤산화촉매와 디젤매연여과장치 전 후의 각각 압력차의 비로써 정의한 매연지수의 산출을 위해 효과적인 신호처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3L급 승용 디젤엔진에서 정상운전조건과 과도운전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매연지수와 매연 포집량에 있어서 일정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트 환기 시스템 도입에 의한 플랜트 기자재 용접장의 환경 개선 효과 분석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a Welding Factory by the Jet Ventilation System)

  • 임정호;이태구;문승재;이재헌
    • 플랜트 저널
    • /
    • 제4권2호
    • /
    • pp.66-72
    • /
    • 2008
  • In this inquiry, I would suggest jet ventilation system for effective elimination of welding flaw at machinery material welding shop on plant and evaluate the airstream on inner space and property of welding flaw's density through the examination. We can know outer atmosphere inflows at the speed of about 0.05m/s from western entrance in case of stopping the jet ventilation system, but airstream is accumulated on entire space. At height of worker's breathing surface(Ground Level = 1.5 m, below of GL) and welding work center, density of welding flaw on upper part(GL = 12m) is appeared 4 times higher than outer atmosphere at surplus range besides nearby of western entrance. At operation of jet ventilation system, since the smooth air current transfer at inner space and exhaust effect the wind speed is maintained at 0.932 m/s at the point of height of worker's breathing surface on inner space and it's concluded about the working conditions have been better than before operation of jet ventilation system because of that results show that inner space density of welding flaw at height of worker's breathing surface is 40.5%, and in the work shop, it is 20.3% at upper part.

  • PDF

목재펠릿 연소 시 발생하는 타르, 재, 클링커 생성 특성 분석 및 함수율 변화에 따른 목재펠릿보일러의 성능 연구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ar, Ash and Clinker due to Combustion of Wood Pelle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Wood Pellet Boiler in terms of the Moisture Contents Change of the Wood Pellet)

  • 어승희;오광철;오재헌;김대현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211-2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목재펠릿의 연소 시 발생되는 타르, 재, 클링커의 생성 특성 분석과 더불어, 1등급 목재펠릿의 함수율에 따른 목재펠릿보일러의 성능 분석이 수행되었다. 타르는 목재펠릿이 연소됨에 따라 생성되어 연소실 전열면에 부착되었고, 전열면에 부착되거나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지 못한 재의 경우, 바닥면에 축적되었으며, 클링커는 3등급 목재펠릿의 연소 중에 버너부에서 생성, 고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펠릿의 등급이 결정되는 요인으로써 함수율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벌채부산물을 이용한 목재펠릿은 불균일한 함수율로 인해, 연소 생성물의 발생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른 연소시스템에서의 효율 저하, 시스템 작동 오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목재펠릿의 함수율에 따른 목재펠릿보일러의 성능 분석에서, 1등급 목재펠릿의 함수율이 6.6%p 증가하였을 때, 보일러효율이 약 27.08%p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분 퇴비화 과정중 악취물질에 대한 고온성 암모니움 내성균 접종 효과 (Effect of Thermophilic Ammonium Tolerant Bacteria on Malodors Emission of Composting of Pig Manure)

  • 서명철;구로다 카즈타카;하나지마 다이;하가 기요노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4
    • /
    • 1998
  • 퇴비화 과정 중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서 고온성 암모니아 내성균인 TAT112, TAT117, TAT119균주의 배양액을 첨가하여 돈분의 퇴비화를 실시하면서 암모니아 발생과 미생물의 밀도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처리구의 퇴비화는 전형적인 퇴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퇴비화 과정중 포집된 응결수와 6N 황산의 질소함량는 무첨가구인 대조구가 2.72g인데 반하여 TAT112 첨가구는 1.90g으로 낮았으나 다른 첨가구는 높았다. 또한 1일 1회 측정한 배출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는 고온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고온성 암모니아 내성균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온도가 내려가는 시기에 TAT112처리구를 제외한 첨가구는 대조구의 최고 기록보다 높은 농도를 기록하였다. 초기, 뒤집은 시기, 말기의 미생물 밀도를 조사한 결과 고온성 암모니아 내성균의 밀도는 균주 첨가구 모두가 대조구에 비해 모든 기간에 걸쳐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반면 고온성 세균의 밀도는 초기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나 뒤집은 시기, 말기에는 다른 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한편, 중온성 암모니아 내성균의 밀도는 초기에 모든 처리구가 동일하였으나 뒤집은 시기에는 대조구와 TAT112 첨가구가 TAT 117 첨가구와 TAT119 첨가구 보다 약 10배 정도 높게 관찰되었고 말기에는 다시 모든 처리에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