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251건 처리시간 0.03초

보행자 우선도로 개선 사업으로 인한 교통사고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raffic Accidents Around the Pedestrian Priority Zone)

  • 장재민;이영인;김숙희;최회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2-128
    • /
    • 2018
  • 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자 일부지역에 보행자 우선지역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및 여유로운 보행공간의 확보 측면에서 시민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친환경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온실가스의 감축효과에 기여했다. 그러나 보행자 우선지역은 보행환경 개선 측면에는 영향력이 높지만 주변 교통흐름에는 악영향을 주는 만큼 시행에 따른 교통 환경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행궁동 생태교통 지역을 중심으로 보행자 우선도로 시행에 따라 행사주변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전사후 평가를 활용한 교통사고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행자 우선도로는 보행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운영되는 만큼 보행자 관련 사고는 줄었으나, 차량의 회전교통 제한에 따른 불법유턴 사고 및 속도 저하에 따른 신호위반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에는 행사를 시행하기 전 운전자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행사구역 인근에 본 연구 특성이 반영된 안전표지판 및 어플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사고에 유념할 필요가 있겠다.

광주·전남지역 경호학과 대학생의 심폐소생술(CPR) 교육평가 (Education Evaluation of Basic CPR on Guard Major Collegian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 장철원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66-272
    • /
    • 2011
  • 광주 전남지역 전문대학 경호학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Skill Reporter Mannequin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전과 교육후의 심폐소생술 술기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심폐소생술 교육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94명(78.3%)과 26명(21.7%)이었고 학년별로는 1학년 66명(55.0%), 2학년이 54명(45.0%)이었다. 심폐소생술 교육전 인공호흡의 술기는 $26.04{\pm}9.26$에서 교육후 $91.25{\pm}6.68$로 높아져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전 흉부압박의 술기는 $24.33{\pm}8.55$이었으나 교육후 $91.50{\pm}5.25$로 높아져(p<0.01) 심폐소생술 교육은 전문대학 경호학과 학생들의 심폐소생술 술기에 많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만족도는 $4.33{\pm}0.59$, 여학생은 $3.73{\pm}0.67$의 수치를 보여 남학생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심폐소생술 교육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대학 경호학과의 교육과정에 심폐소생술 내용을 추가하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따르는 교육 공간 및 실습기자재의 확보 등 다양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에서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1991-2002))

  • 김지회;궁경례;목종수;민진기;이태식;박정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3-138
    • /
    • 2003
  • 우리나라에서 1991년부터 2002년 사이의 복어독 중독 발생상황에 대하여 신문에 보도된 내용을 검색하여 정리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우리나라에서는 총 32건의 복어독 중독사고가 발생하여, 111명이 중독되었고 그 중 30명이 사망하여 27.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라 중독건수, 환자수 및 사망자수의 변동이 심하였다. 사망자는 29세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중독 발생건별 환자수를 보면 4인 이하의 소규모 중독사건이 전체 발생건수의 75.0%인 24건을 차지하였고, 식중독 통계 집계기준인 5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은 8건에 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복어독 중독 발생건수의 59.4%(19/32)가 11월부터 익년 1월 사이에 발생하였고, 이 시기의 환자수 및 사망자수 또한 각각 65.8%(73/111), 66.7%(20/30)로 나타나 복어중독은 겨울철에 집중되었다. 지역적으로는 발생 건수의 75.0%(24/32)가 부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섭취장소별로는 총 32건 중 18건(56.3%)이 선박에서 발생하였고, 가정에서 8건(25.0%)이 발생하였으며, 음식점에서 발생한 것은 5건(15.6%)이었다. 복어독 중독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음식물은 국(탕 포함)으로 발생건수의 68.8%(22/32), 환자수의 64.0%(71/111), 사망자의 66.7%(20/30)를 차지하였고, 그 외 찜, 회, 내장탕, 알 등도 원인이 된 경우가 있었다.

MANAGING A PROLONGED STATION BLACKOUT CONDITION IN AHWR BY PASSIVE MEANS

  • Kumar, Mukesh;Nayak, A.K.;Jain, V;Vijayan, P.K.;Vaze, K.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05-612
    • /
    • 2013
  • Removal of decay heat from an operating reactor during a prolonged station blackout condition is a big concern for reactor designers, especially after the recent Fukushima accident. In the case of a prolonged station blackout condition, heat removal is possible only by passive means since no pumps or active systems are available. Keeping this in mind, the AHWR has been designed with many passive safety features. One of them is a passive means of removing decay heat with the help of Isolation Condensers (ICs) which are submerged in a big water pool called the Gravity Driven Water Pool (GDWP). The ICs have many tubes in which the steam, generated by the reactor core due to the decay heat, flows and condenses by rejecting the heat into the water pool. After condensation, the condensate falls back into the steam drum of the reactor. The GDWP tank holds a large amount of water, about 8000 $m^3$, which is located at a higher elevation than the steam drum of the reactor in order to promote natural circulation. Due to the recent Fukushima type accidents, it has been a concern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apability of the ICs to remove decay heat for a prolonged period without escalating fuel sheath temperature. In view of this, a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decay heat removal characteristics over several days of an AHWR by ICs. The computer code RELAP5/MOD3.2 was used for this purpo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Cs can remove the decay heat for more than 10 days without causing any bulk boiling in the GDWP. After that, decay heat can be removed for more than 40 days by boiling off the pool inventory.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ment does not exceed the design pressure even after 10 days by condensation of steam generated from the GDWP on the walls of containment and on the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 (PCCS) tubes. If venting is carried out after this period, the decay heat can be removed for more than 50 days without exceeding the design limits.

태충(太衝) 애엽(艾葉) 약침(藥鍼)이 일과성(一過性) 전뇌(前腦) 허혈(虛血) 손상(損傷)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Folium Artemisiae Argyi' Herbal Acupuncture of $LR_3$ on Transient Forebrain Ischemic Injury in Rats)

  • 장진요;김재효;박성섭;박귀종;김경식;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3호
    • /
    • pp.63-81
    • /
    • 2005
  • Herbal acupuncture has been used to prevent and treat the cerebrovascular accident, such as a stroke, and many studie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ncerning to the stroke have been undertaken in the human and various animal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erbal acupuncture are a combination of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It was not well known the therapeutic effect and the mechanism of herbal acupuncture on transient forebrain ischemic injury, although it has been used frequently in clinics. In this study, neuroprotective effects of folium artemisiae argyi (艾葉)' herbal acupuncture on the $LR_3$ (Taechung) on the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were investigated in Sprague-Dawely rats. Expressions of cFos, FosB and BDNF protein in the hippocampus and cortex were observed at 2 hrs and 48 hrs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by immunohistochemistry and ELISA technique. Expression of cFos protein was increased slightly in the hippocampus and cortex at 2 hrs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but FosB protein was increased highly comparing to cFos protein. However, pretreatment with folium artemisiae argyi' herbal acupuncture on $LR_3$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cFos protei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FosB protein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features were observed in the motor cortex and retrosplenial granular cortex as well as the hippocampus. Also, pretreatment with folium artemisiae argyi' herbal acupuncture on $LR_3$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DNF protein in the hippocampus ($263.26{\pm}44.56pg/ml$ extracted by water, $275.35{\pm}51.47pg/ml$ extracted by moxa tar)and the cortex ($102.33{\pm}13.65pg/ml$ extracted by water, $109.54{\pm}9.37pg/ml$ extracted by moxa tar) compared to the hippocampus $(134.07{\pm}2.96pg/ml)$ and the cortex $(61.16{\pm}4.11pg/ml)$ in control group at 48 hrs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treatment with folium artemisiae argyi'herbal acupuncture on $LR_3$ has neuroprotective effect on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and the herbal acupunture on $LR_3$ may be related to antioxidative function of folium artemisiae argyi.

  • PDF

계면활성제 첨가에 따른 함수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Addition of Surfactants)

  • 김남균;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79-83
    • /
    • 2015
  • 화재사고는 그 충격과 영향이 업무중단 및 기업의 존폐를 좌우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재난 유형이다. 따라서 사전 예방, 대비는 물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저탄장 및 합판 가공 산업 분야 등에서는 다공성 가연물의 저장이 불가피하다. 다공성 가연물 저장 공간의 화재는 그 특성상 발화시점의 파악 및 초기진압이 어려우며, 초동 대처에 실패할 경우 표면화재에서 심부화재로 이어져 2차 화재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심부화재는 다량의 독성가스발생과 재발화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다공성 가연물을 취급하는 저장공간을 중심으로 피해경감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침윤소화약제 사용 시 다공성 물질의 심부화재 소화 효율 증대에 관한 기초 연구로써,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침투성능의 향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다공성 물질은 국내 사용 목재의 75%를 점유하고 있는 뉴질랜드산 소나무의 원목 목분을 사용하였다. 소화용수는 침윤소화약제에 사용되고 있는 Butyl Di Glycol (BDG)을 선택하여 농도에 따른 표면장력별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NFPA 18의 Deep-Seated Fire Test를 기초로 수행하였으며, 살수량과 다공성 물질 내부로의 침투량, 다공성 물질 외부로의 배출량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표면장력이 감소함에 따라 거시적 침투속도는 감소하나 다공성 물질 내부로의 침투량은 증대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울진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대한 소개시간 예측 (Prediction of Evacuation Time for Emergency Planning Zone of Uljin Nuclear Site)

  • 전인영;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89-198
    • /
    • 2002
  • 방사선 비상사고시 예상되는 주민행동특성 조사 및 교통분석을 통해 실제적인 가정에 기초한 울진원전 비상계획구역내 주민들에 대한 소개시간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시간은 주민통보, 소개준비 및 차량소개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소개대상인구는 비상계획구역내 인구밀도 행정구역 및 일시체류인구 등을 고려해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주민행동특성 조사를 위해 비상계획구역내 200가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는 가상사고상황을 설명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거주지, 소개준비 소요시간, 소개시 교통수단, 대피장소, 소개방향 등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였다. 계산된 소개시작 시간분포 및 미시적 교통분석모델인 CORSIM을 이용하여 도로상에서 소개하는 각 차량들의 거동을 모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모든 소개대상차량이 비상계획구역 외부로 소개하는 데 있어서는 밤보다는 낮에 소개하는 경우에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반면에 교차로에서의 지체시간은 낮보다는 밤이 더 장시간 지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차량소개 시작분포에 의한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RSIM 모델이 비상사고시 나타날 수 있는 혼잡한 교통현상을 적절히 모사할 수 있는 가를 검증하기 위해 오전 출근시간대에 울진원전 주변의 신호등이 없는 교차로에서 Benchmark Test를 수행하였다. 이 시험에서 CORSIM 모델의 예측치는 관찰된 통과차량 수와 잘 일치하여 본 연구목적을 만족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험 및 습관이 신규서비스의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보호 동기이론과 UTAUT2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of Experience and Habit 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New Services - based on PMT and UTAUT2)

  • 이홍제;고형석;노은희;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93-102
    • /
    • 2018
  • 본 연구는 지능화된 보안 위협에 인터넷 이용자의 정보보호 행동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모델은 보호동기이론과 UTAUT2를 기반으로, 인지된 위협, 심각성, 사회적 영향, 자기효능감, 정보보안 제품 이용 경험 및 습관, PC/개인정보보호 행동, 신규 서비스의 정보보호 행동으로 구성 하였고,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인터넷 사용 장소, 유료 보안제품 이용, 침해사고 경험 등을 조절변수로 하여 인터넷 이용자의 보안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인지된 심각성, 자기효능감이 보안 제품 이용 경험 및 습관에 높은 영향을 미쳤으며, 경험 및 습관, 자기효능감은 PC/개인정보보호 행동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PC/개인정보보호 행동은 신규 서비스의 보안 행동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소득, 유료 보안제품 이용, 침해사고 경험은 인터넷 이용자의 정보보안 행동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인터넷 이용자의 정보보호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터널용 에어커튼 시스템의 내열 및 제연 성능 평가 연구 (Th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t resistance and smoke control system using air-curtain system in tunnel)

  • 박병직;신현준;유용호;박진욱;김양균;김휘성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43-755
    • /
    • 2018
  • 터널은 지하공간과 유사한 반밀폐 형태로서 화재 발생 시 연기가 빨리 차오르고 외부로 연기가 천천히 빠져나가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교통사고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사고차량 뒤에 차량이 연속으로 정차되어 차량을 이용한 피난이 어려우며, 화재 현장에 소방차 진입이 어렵기 때문에 소화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터널 방재등급을 설정하고 이에 맞는 방재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로터널은 1 km 미만의 터널의 80.0%를 차지하고 있으며, 1 km 미만의 터널은 방재등급 3등급으로서 제연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내열시로코 팬을 이용한 에어커튼 시스템을 1 km 미만 터널에 제연설비로 활용하기 위해서 실물화재실험을 통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250^{\circ}C$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작동하는지 내열시험을 통해서 확인하였으며, 실물화재실험을 수행하여 에어커튼 내부(터널 화재방향)에서는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였지만, 에어커튼 외부(터널 외기방향)에서는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도 이물의 임상적 고찰 (A Retrospective Review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 손창영;위정욱;김수옥;오인재;박창민;김규식;김유일;임성철;임상철;김영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600-606
    • /
    • 2005
  • Background : The development of bronchoscopic equipment along with the precision of radiographic techniques had reduced the mortality rate of patients with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but has been no change in the incidence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since their 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 tracheo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modality in children and adults.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64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oscopic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aspirated foreign bodies from December 1994 through March 2004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 There were 47 males and 17 females, aged from 1 month to 78 years. Most of the patients had no underlying illness except for one patient with a cerebrovascular accident that contributed to the foreign body aspiration.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which was noted in 54 patients (84.3%). The other presenting symptoms were dyspnea (48.8%), fever (20.3%), sputum (14%), vomiting (7.8%), and chest pain (4.6%). Those whose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more than 2 days after the aspiration (21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pneumonia than those whose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within 2 days (p = 0.009). Foreign bodies were visualized in the plain chest radiographs in 12 cases (18.8%), while others showed air trapping (21, 32.8%), pneumonia (15, 23.4%), atelectasis (7, 10.9%), and normal findings (9, 14.1%). The foreign bodi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right bronchial tree (36) compared with the left bronchial tree (22, p = 0.04).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bodies, twenty (31.2%) cases were removed using flexible bronchoscopy, while 42 (65.6%) and 2 (3.2%) cases required rigid bronchoscopy and surgery, respectively. Conclusions : Tracheo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had a bimodal age distribution in the infancy and old age around 60 years. They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right bronchial tree. In addition, patients whose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more than 2 days after the aspiration were more likely have a infection. Rigid bronchoscopy is the procedure of choice for uncooperative children and for those with foreign bodies lodged deeply in the small bronchial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