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ptable Daily Intake (ADI)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인 평균소비자 및 극단소비자에 대한 소르빈산의 일일 추정섭취량 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Sorbates for Average and High Consumers in Korea)

  • 윤혜정;조양희;박주연;이창희;박성관;조영주;한기원;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8-187
    • /
    • 2001
  •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르빈산 및 그 염류의 연령-성별에 따른 평균 소비자 및 극단 소비자의 섭취실태를 평가하고자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만 3세이상의 일인당 일일 식품 섭취량과 소르빈산의 실제 농도분석 치를 이용하여 일일 추정 섭취량을 구하였다. 조사된 소르빈산 및 그 염류의 일일 평균 추정 섭취량은 소르빈산으로서 0.09-5.1 mg/kg bw/day, 극단추정 섭취량은 3.42-14.65mg1kg bw/da)이었으며 일일섭취허용량(ADI)에 대한 비율은 평균 소비자의 경우 0.4-2.1%,극단 섭취자의 경우 13.7-58.6%로 나타났다. 소르빈산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은 식육가공품, 절임류, 어육가공품으로 나타났고, 소르빈산의 추정 섭취량은 극단 및 평균 소비자에 대해 연령에 반비례하는 경향이었으나 성별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국내 소르빈산 섭취량은 극단 소비자를 포함한 3세 이상의 모든 인구아군에서 ADI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에 의한 농약의 이론적 최대섭취량 및 안전지표의 산정 (Computation of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and Safety Index of Pesticides by Korean Population)

  • 이서래;이미경;김남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18-624
    • /
    • 1995
  • 우리나라에서 식품중 농약잔류 허용기준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Codex 기준의 수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허용기준치와 한국인의 식품계수 만을 적용한 농약성분의 이론적 최대섭취량을 계산한 다음 ADI 값과 비교하였다. 국내에서 허용기준이 설정된 105개 농약성분의 ADI 대비율은 대부분이 80% 이하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ADI를 초과하는 농약은 13개 성분이었다. 한편 Codex 기준이 있는 82개 농약성분에서 ADI를 초과하는 농약은 20개 성분에 이르고 있다. 한국기준 또는 Codex 기준에서 ADI를 초과하는 22개 성분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지적하였으며 안전마진 확보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식이섭취를 통한 농약폭로의 위해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Pesticide Exposure by Food Intake)

  • 전옥경;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1-215
    • /
    • 1999
  •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acceptability of Korean MRLs(maximum residue limits) and the health risk based on the pesticide exposure by food intak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MDI(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and EDI(estimated daily intake) for Korean by using MRLs, food intake, residue data, and correction factors, and compare with ADI(acceptable daily intake) in order to estimate the health risk based on the pesticide exposure.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In the frist step, the residual pesticides in each category of food were investigated using the pesticide residue analytical data(1995-96) from officially approved organizations and the analytical data for poultry was adopted from Korean food code method. In the second step, TMDI was estimated from MRLs and food factors, and was compared with ADI. In the third step, the effectiveness of each culinary treatment (washing, peeling, steaming, boiling, and salting) was evaluated and EDI was calculated using pesticide residue data, food factor, and correction factor by treatment. TMDI obtained from MRLs and food intake, and food intake was summed as 1,100.99 g, which was 79.1% of total consumption. The percent ratio of TMDI to ADI for 156 pesticides was mostly below 80% and only 30 pesticides exceeded the ADI. In particular, non-treated EDI from pesticide residue data and food intake was summed up to about 43 $\mu\textrm{g}$/day/capita, and the rank was procymidone(8.6 $\mu\textrm{g}$) > maleic hydrazide(8.2 $\mu\textrm{g}$) > EPN(3.7 $\mu\textrm{g}$) > deltamethrin(3.5 $\mu\textrm{g}$) > cypermethrin(3.0 $\mu\textrm{g}$). The treated EDI calculated from pesticide residue data, food intake, and correction factor by culinary treatment was summed up to 13.7 $\mu\textrm{g}$/day/captia. The percentage of ADI was TMDI(79.74%) > non-treated EDI (0.17%) > treated EDI (0.04%), and the exposure level of Korean population to whole pesticides was below the level to produce health risk. Oncogenic risk of five pesticides used in Korea whose oncogenic potency(Q*) was known were assessed from TMDI and treated EDI. Dietary oncogenic risk for Korean was estimated to be 2.0$\times$10-3 on the basis of TMDI, 8.3$\times$10-7 on the basis of treated EDI. The oncogenic risk from TMDI exceeded the risk level(1$\times$10-6) of EPA, whereas the oncogenic risk from treated EDI and real exposure level lower than that of EPA.

  • PDF

한국인의 식이를 통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과 안전성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Preservatives in the Korean Population)

  • 최성희;이지연;박은영;원준;홍기형;문귀임;김민식;홍진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03-509
    • /
    • 2008
  • 국내 사용빈도가 높은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식품별 보존료 농도와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성별, 연령별 식품섭취자료와 체중을 이용하여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JECFA에서 제시한 ADI와 비교 검토하여 안전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분석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류 495.85 ${\mu}g$/kg bw/day, 안식향산류 215.34 ${\mu}g$/kg 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5.01 ${\mu}g$/kg 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각각 2, 4.3, 0.1%로 섭취 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위섭취자(90th)의 일일추정 섭취량은 소르빈산류 1,012.06 ${\mu}g$/kg bw/day, 안식향산류 229.56 ${\mu}g$/kg 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11.58 ${\mu}g$/kg 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4.1, 4.6, 0.1%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안식향산류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많이 섭취하였으나 소르빈산류와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은 모든 연령에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위해성평가에 근거한 농산물 중 22종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설정 (Establishment of 22 Pesticide MRLs in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Risk Assessment)

  • 정형욱;하용근;임무혁;신지은;도정아;오재호;조재호;권기성;박선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6-172
    • /
    • 2011
  • 본 연구를 통해 신규농약인 isotianil의 쌀에 대한 잔류허용기준과, 기준이 확대되는 21종 농약에 대해 26개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제시하였다. Iisotianil의 쌀에 대한 MRL은 0.1 mg/kg으로 설정하였고, ADI대비 TMDI의 비율 1.54%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기준이 확대되는 21종의 농약의 경우 dinotefuran, idoxacarb, trifumizole을 제외한 나머지 농약은 ADI대비 TMDI의 비율이 50% 미만으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판단된다. Trifumizole은 재평가를 통해 미등록된 작물의 기준을 폐지하면, 현재의 ADI대비 TMDI 비율 절반 수준인 30% 미만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Estimation on the Risk of Pesticide Exposure by Food Intake

  • Chun, Ock-Kyoung;Kang, Hee-Gon;Cho, Nam-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및 심포지움
    • /
    • pp.139-142
    • /
    • 2002
  • This study carried out to evaluate TMDI(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and EDI(estimated daily intake) for Korean by using MRLs, food intake, residue data, and correction factors and compare with ADI(acceptable daily intake) in order to estimate the health risk based on the pesticide exposure.

  • PDF

온라인 판매 농산물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 박덕웅;김애경;김태순;양용식;김광곤;장길식;하동룡;김은선;조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31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도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와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124건의 농산물(엽채류 98건, 엽경채류 26건)을 2014년도 3월부터 8월까지 6차례 20곳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무작위로 수거 및 전처리 후 GC-ECD/NPD와 LC-MS/MS를 사용하여 208종의 농약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깻잎, 깻순, 부추, 쑥, 열무, 대파, 취나물 7종 11건(8.9%)의 농산물에서 11종의 농약 19건이 검출되었다. 농산물 중 2건(깻순, 쑥)에서는 잔류허용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의 EDI(Estimated daily intake)와 ADI(Acceptable daily intake)를 비교하여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 결과 %ADI가 100%를 넘는 대상은 없었으나 클로로타로닐이 잔류허용기준치 이상 검출된 깻순에서는 95.7%의 결과를 보이는 등 안전성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국가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 정책 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식이를 통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 식용색소적색제2호, 적색제3호 및 적색제40호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Red Colors - Food Red No.2, No.3 and No. 40 -)

  • 박성관;이달수;박승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0
    • /
    • 2005
  • 본 연구는 식품의 종류, 연령에 따른 3종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소비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왜 실제 섭취되는 색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허용량(ADI)과 비교검토함으로서 ADI 관련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실제 섭취fid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관련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빵, 과자, 사탕, 주류,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껌, 초콜릿 등 총 8종 369품목의 시료를 수집 한 후 분석 대상식품별로 함량을 측정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식품의 종류와 연령에 따른 색소별 실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시료전처리 후 HPLC법에 따라 정성$.$정량분석을 행하였을 때, 분석 대상식품의 회수율은 85.1∼100.4%로 양호하였다. 분석 된 결과로부터 일일추정 섭취량(EDI)을 산출한 결과, 대상식품별 색소의 총 EDI는 0∼1.632 mg/person/day의 범위이었으며 청량음료에서 가장 높았고, 연령대별 색소의 총 EDI는 0.512∼7.281 mg/person/day의 범 위로 13∼19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국민영 양조사표의 식품별 1인1일당 섭취량과 색소별 평균검출농도로부터 EDI를 산출하였을 때, 3종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총 EDI는 각각 R2 0.742, R3 0.391, R40 2.018 mg/person/day로 각 색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5.S∼385 mg/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식이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일일 추정섭취량은 FAO/WHO에서 평가된 ADI의 0.5∼7.1%이었으며, 총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섭취량도 ADI 대비 약 0.8%로 식품을 통한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식품소비량과 최대허용량을 이용한 보존료의 추정섭취량 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 for Preservatives by Maximum Permitted Level and National Food Disappearance Data)

  • 윤혜정;박현경;이창희;박성관;박재석;김소희;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9-185
    • /
    • 2000
  • 소르빈산등 14종류의 보존료가 사용된 식품소비량과 식품첨가물의 최대허용량을 이용하여 보존료 섭취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고, 보존료 중 더욱 정밀한 섭취량 조사가 필요한 품목을 선별하였다. 가장 섭취량이 많은 보존료는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나트륨으로 총 섭취량은 안식향산으로서 85.65mg이며 1일 섭취허용량에 대한 1일 추정섭취량의 비율은 31%이며 특히 청량음료로부터 안식향산의 섭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르빈산 및 소르빈산칼륨으로 총 추정 섭취량은 76.61mg이며 1일 추정섭취량은 1일 섭취허용량의 5%이다. 나머지 보존료의 1일 추정섭취량은 1일 섭취허용량에 대한 비율이 2%이하로 현재 사용되고있는 보존료의 섭취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어린이 기호식품 중 인공감미료의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Sweeteners in Children's snack)

  • 이유미;나병진;이유시;김수창;이동호;서일원;최성희;김동호;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8-453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주변에서 유통되는 어린이기호식품 중 빙과류, 음료류, 캔디류를 대상으로 인공감미료 4종(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사용실태와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어린이의 일일추정섭취량 (Estimated Daily Intake, EDl)을 산출하여 일일섭취허용량 (Acceptable Daily Intake, ADI)과 비교함으로써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어린이기호식품 섭취에 대한 인공감미료 4종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빙과류, 음료류, 캔디류의 평균 함량은 삭카린나트륨의 경우 각각 0.41, 0.47, 0.00 mg/kg, 아스파탐은 0.00, 20.54, 197.09 mg/kg, 아세설팜칼륨은 0.00, 28.10, 0.00 mg/kg, 수크랄로스는 9.99, 1.40, 0.00 mg/kg으로 나타났다. 섭취량 분석 결과, 그 수준이 평균적으로 매우 낮고 상위섭취군(95th)에서도 ADI의 0~2.6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기호식품 섭취에 따른 어린이의 인공감미료에 대한 위해성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