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scisic Acid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초

Pentafluorobenzyl ester 화(化)에 의(依)한 미량(微量) Abscisic Acid 의 GLC 분석법(分析法) (A Micro-quantification of Abscisic Acid from Plant Tissue by Pentafluorobenzyl Esterification Using GLC)

  • 정영호;홍무기;송병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4-117
    • /
    • 1985
  • 식물체내(植物體內) ABA의 미량분석법(微量分析法) 개발(開發)을 위(爲)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식물체(植物體)의 ABA 추출물(抽出物)을 pentafluorobenzyl bromide로 ester 화(化)시켜 ABA-PFB ester 형태(形態)로 GLC-ECD 분석(分析)하므로서 ABA-methyl ester 보다 높은 감도(感度)를 보여 5 pg의 ABA 까지 측정(測定)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The Stereospecific Synthesis of Abscisic Acid

  • Park, Oee-Sook;Lee, W.Y.;Park, J.C.
    • 생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2
    • /
    • 1986
  • A stereospecific synthesis of 3-methyl-5-(1-hydroxy-4-oxo-2,6,6-trimethyl-2-cyclohexen-1-yl)-cis, trans-2,4-pentadienoic acid (abscisic acid) from ${\alpha}-ionone$ has been investigated. Ethyl 5-(2,6,6-trimetyl-2-cyclohexen-1-yl)-trans-4-penten-2-ynoate $({\alpha},{\beta}-acetylenic\;ester)$, which was synthesized from alpha-ionone in two steps, was stereospecifically converted in good yield into ethyl 3-methyl-5-(2,6,6-trimethyl-2-cyclohexen-1-yl)-cis, trans-2, 4-pentadienoate $({\alpha}-ionylideneacetate)$ by the conjugate addition of lithium dimethylcuprate at $-78^{\circ}C$. Basic hydrolysis of the ethyl ${\alpha}-ionylideneacetate$ gave an abscisic acid precursor, 3-methyl-5-(2,6,6-trimethyl-2-cyclohexen-1-yl)-cis, trans-2,4-pentadienoic acid, which can be oxidized to yield abscisic acid.

  • PDF

Cymbidium spp.의 Protocorm 묘조 분화시 Protocorm내 전분 함량에 미치는 $GA_3$와 ABA의 영향 (Effects of $GA_3$ and ABA on Endogenous Starch Content during Shoot Differentiation in Cymbidium spp. Protocorm)

  • 한태진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49-258
    • /
    • 1988
  • Changes in starch content and activities of ADPG- and UDPG-starch synthase and $\alpha$- and, $\beta$-amylase were studied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f gibberellic aicd and abscisic acid on endogenous starch content during shoot differentiation and protocorm propagation in Cymbidium spp. (Jungfrau) protocorm. Shoot differentiation was promoted during the degradation of endogenous starch and protocorn propagation was promoted during starch accumulation in protocorm. The activities of ADPG- and, UDPG-starch synthase and $\alpha$- and $\beta$-amylase seemed to be related with starch content. Shoot differentiation and protocorm propagation were slightly inhibited in protocorm explants treated with 100$\mu$M gibberellic acid. The explants treated with 10$\mu$M abscisic acid lost the capacity for shoot differentiation and protocorm propagation, and that could not be overcome by 100$\mu$M gibberellic acid added to culture medium. Starch content fluctuated as the control even after 10$\mu$M abscisic acid. None the less, the treatment completely inhibited shoot differentiation and protocorm propagation.

  • PDF

수분부족이 콩의 질산환원효소 활성과 Abscisic acid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on Nitrate Reductase Activity and Abscisic Acid Content in Soybean Plants)

  • 류점호;두홍수;고경남;추병길;이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31
    • /
    • 1994
  • 콩의 내한발성 품종육성 및 선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팔달콩, 새알콩 및 단엽콩을 공시하여 수경재배에서는 수경액을 PEG처리로, pot 실험에서는 단수처리하여 수분부족을 유기하고 PEG 농도, 품종 및 생육시기별로 엽의 수분 potential, 질산환원효소의 활성 및 ABA 함량을 조사하였다. 1. 엽의 수분 potential은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으며 생육시기에 따라서는 제1엽기보다 제3엽기와 제5엽기에 높았는데,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엽의 수분 potential은 단수처리 3일후에 무처리에서보다 약 2.2배가 감소되었다. 2.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은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제1엽기보다 제3엽기와 제5엽기에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팔달콩이 새알콩과 단엽콩 보다 높았다. 단수처리에서는 처리 3일후에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무처리에서보다 약 47%가 감소되었다. 3. ABA의 함량은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았고 제1엽기와 제3엽기보다 제5엽기에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팔달콩이 새알콩과 단엽콩보다 높았다. 단수처리에서는 처리 3일 후에 ABA의 함량이 무처리에서보다 약 1.7배가 증가하였으며 생육후기보다 생육초기에 더욱 증가하였다.

  • PDF

염 및 건조스트레스 하에서 포복형 백리향의 생육과 Abscisic Acid 농도변화 (Growth and Abscisic Acid Changes of Creeping Thyme in the Exposure of NaCl and Drought)

  • 김민제;엄석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28-334
    • /
    • 2009
  • Experimental purpose was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 and abscisic acid (ABA) responses against salt/drought stresses. In the shoot biomass, creeping thyme was tolerated in mild NaCl stress, ranging 0 to 100 mM, while it was severely reduced in higher salinity. Under constant drought stress, the shoot biomass of creeping thyme showed a worse value compared to that of 100 mM NaCl treatment. Chlorophyll degradation was more severe in immature leaf than mature leaf under salt and drought stresses. In salt stress, immature leaf produced much amounts of ABA compared to mature leaf and also immature leaf showed faster increase of ABA than that of mature leaf. In drought stress, immature leaf responded to stress within 24 hours by the increase of ABA, while mature leaf responded to at 72 hours. Our results recommended that the optimal salinity level of creeping thyme was 50~100 mM NaCl.

스트레스 내성 식물 호르몬인 앱시스산의 산업적 활용 전망 (Future Prospects for Industrial Application of Abscisic acid, a Stress-resistant Phytohormone)

  • 이정호;김승희;유하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514-523
    • /
    • 2020
  • 이동성이 없는 식물은 주위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이를 대응하기 위한 방어 기작으로 스트레스 저항성 단백질과 조절 단백질이 생성된다. 앱시스산은 이러한 신호전달 역할을 하는 호르몬 분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잎의 노화, 종자의 휴면 등 식물의 생리적 반응에도 관여한다. 특히 식물이 아닌 동물, 조류(algae) 등 다른 생물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총설에서는 앱시스산의 생합성 및 신호전달 과정 그리고 그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농생명공학, 의생명공학, 산업생명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생명공학분야에서 앱시스산을 활용한 작물량 증대, 질병 치료제 개발, 바이오에너지 생산 등 최신 응용 연구 및 산업적 활용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Gibbrellic Acid와 Abscisic Acid가 보리 초엽(?葉)의 핵산(核酸) 및 핵산분해효소(核酸分解酵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ibbrellic Acid and Abscisic Acid on Ribonucleic Acid and Ribonuclease in Barley Coleoptiles)

  • 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42-246
    • /
    • 1977
  • 보리(Hordeum vulgare cultivar Sedohadaka)초엽에 $1{\times}10^{-5}M$ Gibbrellic acid 및 $1{\times}10^{-5}M$ Abscisic acid를 처리(處理)하여 RNase활성(活性)의 경시적(經時的) 소장(消長)을 무처리구(無處理區)와 비교(比較)하고, 핵산(核酸)의 형태(形態)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는 RNase의 활성(活性)을 억제(抑制)시키는 반면(反面)ABA는 촉진(促進)시켰다. 2)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 정상적인 식물(植物)에 비(比)하여 r-RNA의 비(比)가 낮고 r-RNA의 비(比)가 높았는데 이것은 배양(培養)중 RNase의 작용(作用)에 의한 것 같다. 3) GA는 r-RNA의 분해(分解)를 완화시켰으나 ABA는 촉진(促進)시켰는데 이것은 RNase의 활성(活性)과 관계된 것 같다. 4) GA는 DNA-RNA 복합체(複合體)의 합성(合成)을 촉진(促進)시켰으나 ABA는 이를 억제시켰다. 5) ABA에 의한 s-RNA의 증가(增加)는 r-RNA의 분해산물(分解産物) 때문이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