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normal cotyledo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강활(Ostericum koreanum Kitagawa)의 잎절편체 배양으로 부터 발생된 여러가지 형태의 체세포배를 통한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from Somatic Embryo with Structural Diversity from Leaf Explant Culture of Ostericum koreanum Kitagawa)

  • 조덕이;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56
    • /
    • 1998
  • 강활(Ostericum koreanum Kitagawa)의 잎절편배양으로부터 체세포배 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체세포배의 이상자엽에 관한 NAA와 싸이토카이닌(kinetin, BA)의 영향 및 체세포배의 자엽수와 발아와의 관계을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배발생능캘러스는 여러 가지 농도의(0, 0.1, 0.5, 1, 2mg/L) NAA와 싸이토카이닌(kinetin, BA)이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는 희고 물기가 많고 부드러웠으며 배양중에 갈변하면서 연노랑색의 배발생능 캘러스로 되었으며 이로부터로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1mg/L NAA+0.1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상에서 계대배양 없이 60일간 배양하여 고빈도 체세포배를 얻을 수 있었다. 성숙한 체세포배는 계대배양없이 동일 배지상에서 2주후 발아하여 소식물체로 되었다. 성숙한 체세포배는 2개 자엽을 갖는 정상적인 자엽배가 39.8%이었고, 주발모양, 1개, 3개 및 4개자엽배 등은 3.1% 33.6%, 15.3% 및 8.2%이었다. 정상적인 2개 자엽 체세포배의 발아율은 97.4% 이었고 주방모양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를 제외하고(33.3%) 비정상 자엽배에서도 정상자엽체세포배의 발아율과 거의 비슷하였다.

  • PDF

4배체 포도간 교배된 이상자엽실생으로부터 저·고4배체 식물의 선발 (Selection of Hypo- and Hyper-tetraploid Seedlings from Abnormal Cotyledons Seedlings Obtained during Crossing of Tetraploid Grapes (Vitis Complexes))

  • 박영식;김인종;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10-817
    • /
    • 2010
  • 본 실험은 4배체 포도의 방임수분과 인공수분으로부터 획득된 실생으로부터 이상자엽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특히 이들 이상자엽 실생으로부터 저 고4배 식물을 선발하였다. 이상자엽은 크게 5 형태로 구분되었다. 4배체 4품종의 방임수분 실생에서 이상자엽의 발생빈도는 1.6%로 조사되었고, 이상자엽실생 중 이수체 발생율은 20.4%이었다. 4배체 품종의 방임수분에서 얻어진 이수체 식물은 3개체(4n = 4x-2 = 74), 4개체(4n = 4x-1 = 75), 3개체(4n = 4x+1 = 77)로 총 10개체이었다. 4배체 16품종간 교배실생에서 이상자엽의 발생빈도는 3.4%이었다. 이상자엽실생 중 이수체 발생율은 22.0%이었다. 4배체 품종간 교배에서 얻어진 이수체 식물은 2개체(2n = 4x-2 = 74), 9개체(2n = 4x-1 = 75), 1개체(2n = 4x+1 = 77), 1개(2n = 4x+3 =79)로 총 13개체이었다. 본 실험결과 4배체 포도품종간 인공교배를 통해서 얻어진 이상자엽실생들은 대부분 이수체식물로 육묘단계에서 효율적인 선발이 가능성한 것으로 나타냈다.

당근(Daucus carota L.)의 현탁배양을 통한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카드뮴의 영향 (Effect of Cadmium on Somatic Embryogenesis from Cell Culture of Daucus carota L.)

  • 조덕이;신은경;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7-232
    • /
    • 2000
  • 당근 유식물체의 자엽을 절편으로 유도된 배형성능 세포를 여러가지 농도의 카드뮴 (0, 50. 100, 200. 500, 1000 $\mu$M)이 첨가된 MS 액체배지에 배양한 다음 MS 기본배지에 옮겨서 체세포배 발생을 유도했고 한편 카드뮴 처리구와 카드뮴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구에서 체세포배를 얻었다. 현탁배양에서 정상적인 2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 발생은 카드뮴 첨가 배지에서 감소하였으나 비정상적인 3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가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비정상적인 1개, 3개 및 4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보다 정상적인 2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의 식물체 재생률이 가장 높았다. 카드뮴 처리구에서 발생된 체세포배의 발아율은 자엽수에 관계없이 대조구에서 발생된 체세포배의 발아율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Effect of 2,4-D on embryo formation and its morphology in anther culture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Park, Gyu-Hwan;Kim, Dai-Hee;Kim, Jin-Ho;Choi, Yong-Hwa;Oh, Jung-Youl;Kwon, Yong-Sham;Kim, Myung-Mi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19-21
    • /
    • 2002
  • The pathway of embryos formed anther culture in herbaceous peony was influenced by addition of 2,4-D. MS medium with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lone did not arise direct embryogenesis, but was proliferate callus. Embryos through calli were produced on medium containing 0.2 mg/1 zeatin or without growth regulators. Direct embryogenesis was obtained from MS basal medium. However, after the anthers were cultured on medium with 0.1 mg/1 2,4-D, 3 g/1 AC, 30 g/1 sucrose, 2 g/1 gelrite for 40 days. Its efficiency (32.3 %) was markedly improved when anthers cultured on medium without 2,4-D. Embryo morphology was also affected by the 2,4-D used in medium. The induction of normal embryos with two cotyledons was higher in the embryos formed through direct embryogenesis than those formed callus. The embryos formed from calli were mainly showed abnormal embryo with one, three, four cotyledons or hors and bowling pin type.

  • PDF

Effect of Fluorescent Light Treatment during Imbibition and Culture on Growth of Soybean Sprout

  • Kang, Jin-Ho;Park, A-Jung;Jeon, Byung-Sam;Yoon, Soo-Young;Lee, Sang-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2-296
    • /
    • 2003
  • The lateral root formation in soybean sprout culture declines its quality. This study was done to measure the effect of fluorescent light treatment during 24 hour imbibition and 6-day culture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soybean sprout. After 6 day culture, the sprouts were sorted as normal (>4cm), abnormal (<4cm) and non-germination by their hypocotyl lengths, and lateral roots, fresh and dry weights were measured. Lateral roots were less formed in the fluorescent light treatment last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imbibition than in the treatment for 50 minutes a day during the culture. The fluorescent light treatment during the imbibition mainly affected the germination and growth compared to the treatment done during the culture. Compared to the dark imbibition, the light treatment during the imbibition resulted in more normal sprouts, thicker diameters of hypocotyl and hook, and more fresh weights in cotyledon, hypocotyl, whole sprout, and economic yield. However, these results were reverse in lengths of hypocotyl and root,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roots. It is concluded that the fluorescent lamp mainly irradiating red and blue lights can be used for the sprout production as an alternative light replacing blue and red lights treated during the imbibition because it blocked the lateral root appearance and stimulated growth of the sprout.

에틸렌 저해제에 의한 배추 자엽조직의 기내 재분화율 향상 (Enhancement of Shoot Regeneration by Ethylene Inhibitors from Cotyledon Explant of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 이혜승;조화진;김병동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67-271
    • /
    • 1995
  • 배추의 기내재분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엽을 치상재료로 하여 에틸렌 억제제인 AgNO$_3$와 STS를 첨가하여 그 영향을 조사하였다. AgNO$_3$의 경우에는 100 $\mu$M이 첨가되었을 때 STS에서는 5 $\mu$M이 첨가되었을 때, 무처리구의 4%, 2%에 비해 각각 가장 높은 22%와 15.3%의 재분화율을 보였다. 자엽연령에 대해서는 파종 후 3일 지난 자엽을 사용하였을 때 58%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배양용기에 따른 효과는 1회용 페트리디쉬에서 가장 높았으나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뿌리유기 조건은 생장조절제가 포함되지 않은 처리와 NAA가 0.1 mg/L 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그 형태 및 밀도, 활력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기내에서 뿌리가 형성된 식물체를 4$^{\circ}C$에서 4주간 처리하여 추대를 유기하였고 형태적으로 정상적인 화기를 볼 수 있었으며 이들로부터 종자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다유들깨'품종의 하배축에서 캘러스를 통한 고효율 식물재분화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through callus induction from the hypocotyl of Perilla frutescens L var. Dayu)

  • 서여월;손지희;강홍규;선현진;이효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248-254
    • /
    • 2023
  • 본 연구는 종유용 들깨 품종인 다유들깨'의 유식물체에서 캘러스 유도를 통한 고효율의 재분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이미 보고된 바 있는'남천들깨'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다. 캘러스는 잎, 자엽, 하배축 중 0.1 mg/L NAA와 0.5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다유들깨의 하배축에서 가장 건강한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암상태와 장일조건에서 각각 캘러스를 유도한 후 신초 재분화를 유도했을 때 모든 조건에서 남천들깨보다 다유들깨가 재분화율이 월등하게 높았다. 또한 0.1 mg/L NAA와 0.5 mg/L BA 배지의 암상태와 장일조건에서 다유들깨 하배축의 신초 재분화율은 각각 86.7%와 84.4%로 두 조건 간 차이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암조건에 비해 장일조건에서 유도된 캘러스의 재분화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다유들깨의 하배축으로부터 고효율의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식물생장호르몬 조합실험을 수행한 결과 NAA 없이 0.5 mg/L BA 만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높은 90%의 재분화율을 보여 주었으며 이 중 정상적인 식물체가 70.5% 와 비정상적인 식물체가 19.3%로 조사되었고 NAA가 첨가되거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정상 식물체의 출현율이 높아졌다. 정상적으로 재분화된 신초는 1/2 MS 배지로 옮긴 후 10~15일 후에 뿌리가 관찰되었고 30일 후에는 완전한 식물체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다유들깨 하배축을 이용한 재분화체계는 지금까지 보고된 다른 들깨 품종들의 재분화 체계에 비해 재분화 효율이 높았으며 향후 들깨에서 조직배양과 형질전환에 의존하는 유전자편집 등의 분자육종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