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fat ratio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4초

린코마이신과 남은 음식물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l Lincomycin and Food Waste on Performance and Blood Components of Broiler Chicks)

  • 박재홍;김은성;김상호;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7-277
    • /
    • 2000
  •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l lincomycin at different food waste supplements on performance and blood components of broiler chicks. Diets were based corn, soybean meal and contained 3,100㎉/kg ME, 21% CP for the rest two weeks. Three levels of dietary lincomycin(LM ; 0, 2.2, 4.4 mg/kg) and food waste(FW : 0, 7.5, 15%) were added for both experiments.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FCR) were measured for five weeks. Blood components, liver weight and abdominal fat ratio to body weight were exa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 Metabolizable energy of food waste used in formulating diet prior to feeding trials were measured 2,504(Expt 1) and 2,734㎉/kg(Expt 2), respectively. In Expt 1, weight gain of birds fed 4.4mg/kg L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 LM treatment(P〈0.05). It also tended to increase in 7.5% food waste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CR of chicks fed 2.2mg/kg LM suppleme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other treatments. However, chicks fed food waste supplements had higher FCR than control as a dietary FW level increased(P〈0.05).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blood components of all treatments. Liver to body weight ratio of birds fed 7.5% FW supplements decreased significantly(P〈0.05), but was no consistency in LM treatments. In Expt 2, weight gain of chicks fed 15% FW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and 7.5% FW. It tended to increase as dietary supplemental LM increased. It also increased in no LM treatment with 15% FW compared to that of control. However, the birds fed 2.2mg/kg LM with 15% FW exhibited higher weight gain than dther treatments. As FW supplement increased, the feed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P〈0.05).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blood components except serum calcium. Weights of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W or LM.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ndicated that chicks fed 4.4mg/kg LM supplements maximized growth rate of all treatments and improved FCR in 2.2mg/kg LM.

  • PDF

Effect of diets with different energy and lipase levels on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trait in broilers

  • Hu, Y.D.;Lan, D.;Zhu, Y.;Pang, H.Z.;Mu, X.P.;Hu, X.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275-1284
    • /
    • 2018
  • Objective: A 28-d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s with different energy and lipase levels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profiles, gut health, and carcass quality in broilers. Methods: A total of 720 one-day-old male Ross 308 broilers ($45.4{\pm}0.5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four treatments: i) RET, reduced energy treatment (metabolizable energy = 2,950 and 3,100 kcal/kg for starter and finisher diet), ii) BDT, basal diet treatment (metabolizable energy = 3,050 and 3,200 kcal/kg for starter and finisher diet, iii) RET015, RET+0.15 g/kg lipase, and iv) RET03, RET+0.3 g/kg lipase. There were 10 replications (cages) per treatment with 18 birds per cage. Results: During d 1 to 14, broilers fed BDT, RET015, and RET03 diets had higher (p<0.05) body weight gain than those fed RET diet. During d 1 to 14, 15 to 28 and the overall experiment, feed conversion ratio in RET03 treatment was lower (p<0.05) compared with RET treatment. On d 14,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M), ether extract (EE), and gross energy in RET03 treatment was higher (p<0.05) than those in RET treatment, while the ATTD of N was increased (p<0.05) by RET03 treatment. On d 28, broilers fed RET03 diet had higher (p<0.05) ATTD of DM than those fed RET and RET015 diets, while the ATTD of EE in BDT and RET03 treatments was increased (p<0.05) compared with RET and RET015 treatments. Broilers fed RET03 diet had higher villus height (VH) and VH:crypt depth (CD) ratio than those fed RET and BDT diets. The activity of pancreatic lipase in BDT and RET03 treatments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RET treatment. Conclusion: Taken together, lipase supplementation (3,000 U/kg feed)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VH, VH:CD ratio and lipase activity, but decreased triglycerid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he abdominal fat percentage in broilers fed reduced energy diet.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gut health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incorporated with single cell protein

  • Hombegowda, Gangavadi P.;Suresh, Bypanahalli N.;Shivakumar, Mysore C.;Ravikumar, Puttamallappa;Girish, Bekkere C.;Rudrappa, Satturu M.;Indresh, Huchamanadoddi C.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2호
    • /
    • pp.1951-196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ingle cell protein (SCP), produced from Methylococcus species, as a protein source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gut health of broiler chickens. Methods: Ten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diets containing 0 (Control), 2.5%, 5%, 7.5%, and 10% SCP replacing either soybean meal (T1 to T5) or fish meal (T6 to T10) were formulated. Each diet prepared for starter (0 to 14 days), grower (15 to 21 days), and finisher (22 to 42 days) phases was offered to four replicates of 10 chicks each (n = 400). Growth performance at different phas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nd intestinal morphology on 42nd day of trial were measured. Results: Body weight gain in groups fed 2.5% and 5% SCP diets were comparable to control during different phases and cumulatively, however lower (p<0.01) in 7.5% and 10% SCP diets. Feed conversion ratio was better (p<0.01) in 2.5% and 5% SCP diets. Dressing percentage, abdominal fat percentage and meat:bone ratio were not affected (p>0.05) by SCP inclusion in the diets. However, breast percentage was higher (p<0.01) in 2.5% and 5% SCP groups and thigh percentage higher in 7.5% and 10% SCP groups. Total microbial count in duodenum, jejunum and ileum were not affected (p>0.05) by SCP inclusion up to 10% in diets. Duodenal villi length and crypt depth were highest (p<0.01) in group fed 5% SCP diets and lowest in group fed 10% SCP diets. Jejunal villi length and crypt depth as well as ileal villi length were lowest (p<0.01) in group fed 10% SCP diets. Body weight gain, feed consumption, feed conversion ratio and gut health were better (p<0.01) in broilers fed fish meal based diets compared to soybean meal based diets.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inclusion of SCP up to 5% replacing soybean meal in broiler diets is beneficial in improving growth rate, breast yield and gut health status.

8주간의 출산 전 필라테스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출산 후 여성의 장내미생물, 신체구성, 혈중지질, 비만호르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8 weeks Pregnancy Pilates Exercise and Probiotics Combined Treatment on Postnatal Women's Gut-microbiota,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Obesity Hormones, Inflammatory Indicators)

  • 현아현;최동훈;엄현섭;김지선;오은택;조준용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78-89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전 필라테스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출산 후 여성의 장내미생물, 신체구성, 혈중지질, 비만호르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총 15명의 임산부를 운동+프로바이오틱스섭취군(PEX, n=5), 운동군(EX, n=5), 대조군(CON, n=5)으로 구분하였다. PEX 집단과 EX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였고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실시하였으며, PEX 집단은 매일 공복에 프로바이오틱스 1 캡슐을 섭취하였다. 그 결과 출산 후 PEX 집단의 체지방 및 WHR 수치가 감소하였다. 장내미생물의 변화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미큐테스, 박테리오데스의 구성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 호르몬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PEX 집단에서 사후 렙틴, IL-6, TNF-a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혈중 지질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출산 전 필라테스와 프로바이오틱스 병행 처치는 출산 후 여성의 복부지방 감소에 효과적이며 염증 및 비만 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산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Effect of Supplementing 2-Hydroxy-4-(Methylthio) Butanoic Acid and DL-methionine in Corn-soybean-cottonseed Meal Diet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s

  • Liu, Y.L.;Song, G.L.;Yi, G.F.;Hou, Y.Q.;Huang, J.W.;Vazquez-Anon, M.;Knight, C.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8호
    • /
    • pp.1197-1205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feeding DL-2-hydroxy-4-(methylthio)butanoic acid (HMTBA) and DL-methionine (DLM) supplemented corn-soybean-cottonseed meal die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and muscle color of broilers. The trial was designed as a $2{\times}3{\times}2$ factorial experiment, including two methionine (Met) sources (HMTBA and DLM), three equimolar graded levels of Met supplementation (i.e., 0.08, 0.16, and 0.24% in the starter diet and 0.07, 0.14, and 0.21% in the grower and finisher diets, respectively), and two sexes (male and female). Additionally, one basal diet for each sex was formulated to be limiting in Met to test the dosage response of increasing supplemental Met levels. Four hundred and twenty 10-d-old broilers were randomly allotted to 14 treatments (seven each for males and females), with five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and six chicks per pen.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between the two Met sources in growth performance and muscle deposition of broilers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d 10 to 49). With the increasing Met supplementation levels, average daily gain was increased (quadratic; p<0.01) during the starter, grower, and overall phases, average daily feed intake was increased (quadratic; p<0.01) during the starter phase, and feed:gain ratio was decreased (quadratic; p<0.05) during the grower and overall phases. At the end of finisher phase, Met supplementation increased breast muscle content (quadratic; p<0.01) and thigh muscle content (linear; p<0.05), and decreased abdominal fat content (quadratic; p<0.02). Compared to the broiler fed DLM, broilers fed HMTBA had superior breast and thigh muscle coloration (p<0.01). Male broilers had higher weight gain and feed intake and better feed conversion than female broilers (p<0.01). The fat content of thigh muscle in female broiler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broilers (p<0.03). The best fit comparison of HMTBA vs. DLM was determined by Schwarz Bayesian Criteria index, which indicated that the average relative bioefficacy of HMTBA vs. DLM was 120% with 95% confidence limit 67 to 17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et supplementation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s fed corn-soybean-cottonseed meal diets irrespective of Met sources. Compared to DLM, HMTBA has the same molar bioefficacy on improving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broilers; however, HMTBA fed birds had superior meat color to DLM fed birds.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대사증후군 유병율과 관련 위험요인 분석 1. 신체계측결과와 건강습관을 중심으로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1. Based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Health Behaviors)

  • 이혜상;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1-517
    • /
    • 2010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자 1,431명 중 대사증후군 유병율은 38.2%(남자 23.5%, 여자 46.9%)로 남자에 비해 여자의 유병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의 대사증후군 비율이 증가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유병율이 가장 높은 요인은 혈압이었고, 다음은 낮은 HDL-콜레스테롤, 복부비만, 높은 혈당, 높은 혈중 중성지방 순으로 나타나 이 지역 주민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압을 내리고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며 복부비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한 개 이상 가진 사람은 94.7%, 두 개이상은 68.9%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요인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는 남자에 비해 여자가 2.953배 높았다. 체지방율의 경우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에서 남녀 각각 5.786배와 13.498배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았으며, 체질량지수로는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에서 남녀 각각 3.782배, 13.301배, 고도비만에서는 21.516배, 21.482배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았다. 건강관련 습관인 흡연, 음주, 운동, 농사활동 시간은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안동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압과 폐경 여성들의 복부비만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건강관련 습관인 흡연, 음주, 운동 등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육용계에 있어서 계통간 산육능력 및 체중증가에 따른 각 부위별 증가양상 추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Growth Pattern Cut-up Parts in Four Broiler Strain in Growing Body Weight)

  • 양봉국;조병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1-156
    • /
    • 1990
  • 본 연구는 육용계육종개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육용계 4계통(H, T, M, A)을 306수 공시하여 성장률 및 체중증가에 따른 체중구성요소들과 산육률의 상대비율(%)을 Trial 1 (생체중:900~l,000g), Trial 2 (생체중 : 1,300~l,500g), Trial 3 (성체중 1,600~1,800g), 그리고 Trial 4 (생체중 :1.8kg 이상) 순서로 추정하였다. 공시된 Broiler는 1987년 7월 2일부터 동년 9월 13일까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가축육종 농장에서 사육되었고, 도체시험을 가하였다. 조사사항 및 방법은 전기한 바와 같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계통(H, T, M, A) 각각에서 7주령 체중과 0~7까지의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살펴보면 H계통은 $2.150\pm$34.9, 2.55 및 99.7%였으며, T계통은 $2.138\pm$26.2, 2.125 및 99.7%, M계통은 $1.960\pm$23.1과 2.084 및 100.0%였고 A계통은 $2.319\pm$27.9와 2.030 및 100.0%였다. 4계통 모두 정상발육을 하였다. 2. 0~7주령까지 2주간격으로 조사한 성장률에 대한 성적을 살펴보면 2주령을 제외한 전주령에서 계통간에 뚜렷한 유의차를 보였다. 성장속도를 표시해 주는 회귀계수값 기울기 b값을 보면, bA=1.015, bH=0.968, bM=0.950, bT=0.942순으로, A계통의 경우 bA=1.015로서 유의적으로 제일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3. 체중구성요소들 체중증가에 따라 각부위들의 체중비율이 증가되는 부위는 다음과 같다. 우모, 복부지방 및 흉부 그러고 퇴경부 등이고, 반면에 감소되고 있는 부위는 방혈중, 두부, 가식내장 및 불가식내장이었고, 체중증가에도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익부 및 배부이었다. 각 부위별 계통간 유의차를 보이는 것은 우모의 경우 Trial 4에서 계통간 유의차를 보였고, 각부의 경우는 Trial 3에서 계통간 유의차를 보였으며 복부지방량의 경우 Trial 1에 유의차를 보인 뒤 나머지 단계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가식부위들 중 계통간간 유의차가 있는 것은 경부에서(Trial 2) 나타났다. 정육이 가장 많이 퇴경부와 흉부의 중량비율(%)을 살펴보면 Trial 4에서 흉부중양비율(%)은 H, T, M, A계통에서 19.2, 19.0, 19.0, 19.0%였고 퇴경부 경우는 23.0%, 23.3, 22.8 그러고 23.0%로 흉부중량비율(%)보다 퇴경부중양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체중증가에 따른 증가속도는 흉부가 머 빠른 속도로증가했다. 4. 흉부와 퇴경부의 산육률을 보면 폐부의 산육률에 있어서 계통간 유의차는 Trial 2와 Trial 4에서 산육률의 계통간 유의차를 보였다. 증가속도가 제일 빠른 T계통은 흉폐부근육위주로 개량되었다고 판단된다. Trial 4에서 각 계통간(H, T, M, A)에서 각부의 산육률을 보면 각각 77.2%, 78.9%, 73.5%, 74.8%를 나타냈으며, 퇴경부의 경우 계통간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H계통의 경우는 성장속도가 제일 빠르게 나타났다. 반면, 흉부에서 제일 성장속도가 빨랐던 T계통은 퇴경부 산흉율은 bT=0.775로 오히려 감소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퇴경부 산육율을 H, T, M, A계통별로 살펴보면 80.3%, 78.4%. 79.7% 그리고 80.2%였다. 5. 체중구성요소들의 중상비율간의 상관근도는 계통간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구성요소중 체중과 상관정도가 높은 부위들은 방혈양, 두부, 각부, 흉부, 퇴경부등이였다. 복부지방(%)은 어느 계종에서나 주로 불가식내장과 높은 유의상관을 보였으나, 가식부위와의 상관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 PDF

Liver CT 검사에서 프로토콜 변화에 따른 선량 감소와 영상의 질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d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Reduction in Liver Dynamic CT Scan with the Protocol Change)

  • 조유진;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2호
    • /
    • pp.107-114
    • /
    • 2015
  • 간 역동적 CT(Liver Dynamic Computed Tomography; LDCT) 검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관전압을 낮게 설정한 후 프로토콜을 변화시켰을 때 방사선량과 영상의 질을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유지하면서 방사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LDCT를 시행한 환자 중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18.5~24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복부 CT 검사 프로토콜을 적용한 A그룹 20명(관전압: 120 kVp, SAFIRE strength1)과 관전압을 낮게 설정한 B그룹 20명(관전압: 100 kVp, SAFIRE strength 0~5 적용)이었다. 영상의 질 평가는 동맥기의 간 실질 조직, 대동맥, 상장간막동맥, 복강동맥, 내장지방 그리고 백그라운드에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설정해 잡음(noise),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 CT number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는 경험이 풍부한 영상의학과 전문의 2명이 0~3점까지로 평가하였다. 방사선량은 총 DLP(dose length product)와 유효선량, CTDIvol(volume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을 비교하였다. 관전압 100 kVp에서 SAFIRE가 높을수록 잡음은 감소하고, CT number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SNR과 CNR은 SAFIRE 단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관전압 120 kVp와 비교하여 잡음, SNR, CNR이 SAFIRE strength 2, 3에서 가장 유사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SAFIRE strength 2가 가장 많았고 관전압이 100 kVp일 때 영상의 질이 더 좋다고 평가한 경우는 SAFIRE 1이었다. 방사선량은 120 kVp에 비해 100 kVp에서 21.69% 감소하였다. BMI가 비교적 높지 않은 LDCT 검사의 경우 공장에서 출고될 당시에 관전압이 높게 설정되어 있어 불필요한 방사선피폭이 우려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에 따라 관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SAFIRE strength를 2로 조정하면 영상의 질 저하 없이 방사선량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호(紫胡)뿌리 분말 첨가전료(添加錢料)가 육계(肉鷄)에 생산성(生産性)과 장기발육(臟器發育) 및 체액조성(體液造成)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Root Powder Addition of Bupleurum falcatum on Broiler Productivity, Serum Contents and Development of Organs)

  • 조성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7-194
    • /
    • 1995
  • 초생웅리(初生雄離)Hibreed Ross P. S 120 birds) 120수를 철제(鐵製) 케이지에서 6주간(1994년 6월 24일TEX>${\sim}7월 4일) 수용하여, 전후기(前後期) 육계사료(肉鷄飼料)에 자호근부(紫胡根部)를 분말화하여 0.0, 0. 2, 0. 5, 1. 0 %씩 밀기율과 대체(代替)하여 급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호근부(紫胡根部) 첨가부(添加區)의 사료섭취양(飼料攝取量)을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나 기호성(嗜好性)은 좋았다. 2. 증체양(增體量)은 시호근부 1. 0% 첨가구에서 1, 845g으로 대조구의 1, 619g보다 수당(首當) 226g 높아14% 이상 증체효과(以上 增體效果)가 나타났다 3.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은 대조구에서 2. 02로 가장 높았고 1. 0% 시호근부 첨가구에서 1.81로 유의(有意)하게 낮았다 (P<0,01) . 4. 도체양(屠體量)은 시호근부 1.0% 첨가구에서 높았고, 도체율(屠體率)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 01). 5. 가슴고기 생산량은 1.0% 시호근부 첨가구에서 253g으로 대조구보다 42g이 더 많았으머 생체중(生體重)에 대한 가슴고기량의 비율에서도 높았다. 6. 다리고기 생산량은 시호근부 첨가수준이 증가될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여 시호근부 1.O% 첨가구에서 높았으며 생체중에 대한 다리고기 비율도 우수 하였다. 7. 간장(肝臟), 비장(脾藏), 심장(心臟) 및 근위(筋胃)의 중량은 생체중이 무거울수록 각 장기 중량도 높아지는 경향으로 나탸나 시호근부 1.0% 첨가구에서 무거웠다. 8. 복경(腹經)과 근위주위(筋胃周圍) 축적 지방은 시호근부 1.0%첨가구에서 50.21g으로 높게 측정 되었다. 9. 혈청(血淸) 총(總) 단백질(蛋白質) 함량은 대조구예서 가장 높았고, 시호근부 첨가수준이 증가 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혈청 cholesterol과 triglyceride 함량(含量)은 생체중에 대한 지방축적률(脂肪蓄積率)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함량도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 PDF

비만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에 있어 Adipokine과 체지방분포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Adipokines in the Pathogene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Distribution and Insulin Resistance)

  • 양혜란;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2호
    • /
    • pp.185-192
    • /
    • 2007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소아 비만 환자에서 발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발병에 TNF-${\alpha}$, adiponectin, leptin 등의 adipokine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이들 adipokine과 체지방분포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3월에서 2005년 6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비만한 소아 61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상태에 따라 대상 환자들을 지방간 질환이 없는 소아 비만 환자(n=23), 단순 지방간(n=20),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18)의 세군으로 나누고, 각 환자에서 혈중 TNF-${\alpha}$, leptin, adiponectin 농도를 측정하고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로서 HOMA-IR을 계산하였으며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VSR (visceral-subcutaneous fat ratio)을 산출하였다. 결 과: 총 61명(남 : 여=42 : 19, 평균 연령 11.2${\pm}$1.3세)의 환아를 대상으로 지방간 질환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세 군 간의 성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p=0.422, p=0.119). 각 군의 혈중 TNF-${\alpha}$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22.13${\pm}$6.37 vs. 21.35${\pm}$6.95 vs. 25.17${\pm}$9.30; p=0.342), leptin 농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0.29${\pm}$8.57 vs. 16.42${\pm}$6.85 vs. 20.10${\pm}$7.86; p=0.330), adiponectin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서 혈중농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6.08${\pm}$1.38 vs. 5.69${\pm}$0.79 vs. 4.93${\pm}$1.75; p=0.026). 복부 전산화단층 촬영에서 산출한 VSR도 지방간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0.31${\pm}$0.08 vs. 0.32${\pm}$0.11 vs. 0.47${\pm}$0.14; p=0.001). HOMA-IR도 세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77${\pm}$3.67 vs. 6.89${\pm}$7.05 vs. 10.42${\pm}$6.73; p=0.000). 그러나 adiponectin과 HOMA-IR 또는 VSR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r=-0.117; p=0.450 & r=-0.106; p=0.499). 결 론: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한 소아에서 간 내 지방 축적과 지방간염으로의 진행과정에 모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며, 비만한 소아의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adipokine 중에서 adiponectin이 단순지방간에서 지방간염으로의 이행하는 기전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