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G

검색결과 679건 처리시간 0.027초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Cathepsin F-like Cysteine Protease Gene in Escherichia coli and Its Characterization

  • Joo, Han-Seung;Koo, Kwang-Bon;Park, Kyun-In;Bae, Song-Hwan;Yun, Jong-Won;Chang, Chung-Soon;Choi, Jang-W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58-167
    • /
    • 2007
  • In this study, we have cloned a novel cDNA encoding for a papain-family cysteine protease from the Uni-ZAP XR cDNA library of the polychaete, Periserrula leucophryna. This gen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using the T7 promoter system, and the protease was characterized after partial purification. First, the partial DNA fragment (498 bp) was amplified from the total RNA via RT-PCR using degenerated primers derived from the conserved region of cysteine protease. The full-length cDNA of cysteine protease (PLCP) was prepared via the screening of the Uni-ZAP XR cDNA library using the $^{32}P-labeled$ partial DNA fragment. As a result, the PLCP gene was determined to consist of a 2591 bp nucleotide sequence (CDS: 173-1024 bp) which encodes for a 283-amino acid polypeptide, which is itself composed of an 59-residue signal sequence, a 6-residue propeptide, a 218-residue mature protein, and a long 3'-noncoding region encompassing 1564 bp. The predicted molecular weights of the preproprotein and the mature protein were calculated as 31.8 kDa and 25 kDa,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equence analysis and alignment revealed a significant degree of sequence similarity with other eukaryotic cysteine proteases, including the conserved catalytic triad of the $Cys^{90},\;His^{226},\;and\;Asn^{250}$ residues which characterize the C1 family of papain-like cysteine protease.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novel gene were deposited into the GenBank database under the accession numbers, AY390282 and AAR2701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e 2.5 kb size of the transcript and ubiquitous expression throughout the entirety of the body, head, gut, and skin, which suggested that the PLCP may be grouped within the cathepsin F-like proteases. The region encoding for the mature form of the protease was then subcloned into the pT7-7 expression vector following PCR amplification using the designed primers, including the initiation and termination codons. The recombinant cysteine proteases were generated in a range of 6.3 % to 12.5 % of the total cell proteins in the E. coli BL21(DE3) strain for 8 transformants. The results of SDS-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a cysteine protease of approximately 25 kDa (mature form) was generated.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of the enzyme were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9.5 and $35^{\circ}C$, respectively, thereby indicating that the cysteine protease is a member of the alkaline protease group. The evaluation of substrate specificity indicated that the purified protease was more active towards Arg-X or Lys-X and did not efficiently cleave the substrates with non-polar amino acids at the P1 site. The PLCP evidenced fibrinolytic activity on the plasminogen-free fibrin plate test.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베타 3-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유전자 변이와의 관련성 (Association of β3-Adrenergic Receptor Polymorphism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유병철;전만중;이용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64-670
    • /
    • 2009
  • 지방분해와 열생산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ADRB3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에서 호발하는 유전자 다형성 부위를 먼저 확인한 후 이 유전자 다형성들과 HDL-C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2006년 5월에서 12월 사이에 부산지역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건강진단을 받은 991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대상자들의 혈액에서 DNA를 분리하여 ADRB3 유전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유전자다형성 부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에서 ADRB3 유전자의 intron2 +3893T>C의 변이를 처음으로 발견하였으며 열성 대립형질의 발현빈도는 0.164이었다. Exon1의 +188T>C와 intron2의 +3893T>C의 열성 대립형질인 C형이 있을 경우 HDL-C의 농도가 낮았다. 따라서 ADRB 유전자 다형성은 HDL-C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패광대노린재 국내 분포, 기주식물 및 기초 생태 보고 (A Report of Basic Ecology and Distribution, Host Plants of Cantao ocellatus (Hemiptera: Scutelleridae) in Korea)

  • 김동언;길지현;이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3-100
    • /
    • 2013
  • 방패광대노린재는 2012년 제주도, 진도, 통영, 광주, 태안에서 분포가 확인되었다. 성충은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경에 예덕나무에 출현하며 10월 말까지 관찰이 가능하다. 실내 사육은 온도 $25^{\circ}C({\pm}2)$, 습도 65%(${\pm}2$), 광주기 16L:8D의 조건에서 성충의 암 수 형태 측정, 발육특성, 기주 및 산란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체장(female: 26.20 mm, male: 23.88 mm), 체폭(female: 11.35 mm, male: 10.57 mm ), 두폭(female: 3.84 mm, male: 3.64 mm), 주둥이(female: 7.90 mm, male: 7.27 mm). 더듬이(female: 9.87 mm, male: 9.69 mm), 앞다리(female: 12.50 mm, male: 12.27 mm), 가운뎃다리(female: 14.61 mm, male: 13.12 mm), 뒷다리(female: 16.90 mm, male: 16.53 mm), 생체중(female: 0.46 g, male: 0.31 g)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앞가슴등판 끝에 가시가 있는 개체가 있고, 가시의 유무는 마지막 5령 탈피시 생겨난다. 암 수 구분은 생식기와 배마디의 점무늬로 구별된다. 기주선호성은 예덕나무, 무늬예덕나무, 피마자, 털인동, 감귤나무, 느티나무의 열매, 엽병, 주맥, 가지를 흡즙하였다.

Influence of Bradykinin on Catecholamine Release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 Lim, Dong-Yoon;Kim, Il-Hwan;Na, Gwang-Moon;Kang, Moo-Jin;Kim, Ok-Min;Choi, Deok-Ho;Ki, Young-W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4호
    • /
    • pp.231-238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dykinin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receptors and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model of the rat adrenal glands, and to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Bradykinin $(3{\times}10^{-8}M)$ alone produced a weak secretory response of the CA. however, the perfusion with bradykinin $(3{\times}10^{-8}M)$ into an adrenal vein of the rat adrenal gland for 90 min enhanced markedly the secretory responses of CA evoked by ACh $(5.32{\times}10^{-3}M)$, excess $K^+$ ($5.6{\times}10^{-2}M$, a membrane depolarizer), DMPP ($10^{-4}$ M, a selective neuronal nicotinic agonist) and McN-A-343 ($10^{-4}$ M, a selective M1-muscarinic agonist). Moreover, bradykinin ($3{\times}10^{-8}$ M) in to an adrenal vein for 90 min also augmented the CA release evoked by BAY-K-8644, an activator of the dihydropyridine L-type $Ca^{2+}$ channels. However, in the presence of $(N-Methyl-D-Phe^7)$-bradykinin trifluoroacetate salt $(3{\times}10^{-8}M)$, an antagonist of $BK_2$-bradykinin receptor, bradykinin no longer enhanced the CA secretion evoked by Ach and high potassium whereas the pretreatment with Lys-$(des-Arg^9,\;Leu^9)$-bradykinin trifluoroacetate salt $(3{\times}10^{-8}M)$, an antagonist of $BK_1$-bradykinin receptor did fail to affect them. Furthermore, the perfusion with bradykinin $(3{\times}10^{-6}M)$ into an adrenal vein of the rabbit adrenal gland for 90 min enhanced markedly the secretory responses of CA evoked by excess $K^+$ $(5.6{\times}10^{-2}M)$. Collectively, thes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bradykinin enhances the CA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both nicotininc and muscarinic receptors) and membrane depolariz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B_2$-bradykinin receptors, not through $B_1$-bradykinin receptors. This facilitatory effect of bradykinin seems to be associated to the increased $Ca^{2+}$ influx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dihydropyridine L-type $Ca^{2+}$ channels.

해삼 당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ietary Effect of Glycoprotein from Sea Cucumber(Stichopus japonicus))

  • 류홍수;문정혜;유병진;문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0-248
    • /
    • 1996
  • 육상생물에 비해 활성물질의 급원으로서 이용율이 낮은 해양생물자원인 해삼(홍삼, 청삼 및 흑삼)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그 화학성분의 조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를 실험하였다. 일반 성분의 함량은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으며, 특히 점질다당체의 주성분인 chondrotin sulfate의 함량이 2.6~3.2%를 함유하고 있다. 동결건조해삼분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유화성과 유화안정성은 동결건조해삼분말 보다 각각 56~77%, 33~71%로 증가하였다. 당단백질은 보수력을 측정하기에 곤란할 정도로 증류수에서의 용해도가 높았으며, 동결건조해삼분말의 보수력은 913.4%(홍삼), 673.5%(청삼) 및 870.4%(흑삼)로 나타났다. 점도는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당단백질의 점도가 제일 높았으며 청삼과 흑삼은 유사하였다. 해삼에서 분리한 당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은 홍삼이 청삼 및 흑삼에 비해서 전체 단백질에 차지하는 구성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며(홍삼 96%, 청삼 91.6% 및 흑삼 88.2%), 각 당단백질의 Asx와 Glx는 모두 10%이상을 차지하였고, 특히 histidine이 2% 이하의 낮은 결과를 보였다. 동결건조분말에 비해 당단백질의 valine, phenylalanine 및 lysine의 함량은 모두 약 2배 증가하였는데 비해 glycine은 약 60~70%, Arg은 약 40% 감소하였다. 동결조건해삼분말 중 청삼과 여기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몇종의 단백질 식품(casein, 분유, 콩단백추출 및 오징어)에 여러 가지 비율로 첨가시켜 소화율의 저해효과를 보았을 때 casein, 분유, 콩단백질추출물의 소화율이 3.5~6%와 4.5~11.4%의 저해효과를 보았으나 오징어 단백질에 대해서는 모두 큰 저해효과가 없었다.

  • PDF

하눌타리박의 뿌리로부터 분리 정제한 Trypsin Inhibitor들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rypsin Inhibitors Purified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Root)

  • 박은주;윤두희;조은정;류병호;김희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87
    • /
    • 1994
  • 하늘타리박의 뿌리인 괄루근에서 분리 정제한 trypsin inhibitor는 TRTI-1과 TRTI-2 두 종류였으며 gel-filtration과 SDS-PAGE 전기영동에서 얻은 결과로부터 TRTI-1은 $4,000{\sim}5,000\;Da$의 분자량을 가진 monomer이며 TRTI-2는 $20,000{\sim}24,000\;Da$의 분자량을 가친 homodimer임을 알 수 있었다. 온도의 안정성에 있어서는 TRTI-1은 $100^{\circ}C$에서 2시간 이상 안정하였으며, TRTI-2는 $0{\sim}70^{\circ}C$의 온도에서는 안정하였으나 $80^{\circ}C$에서부터는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100^{\circ}C$에서는 저해능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Trypsin 활성에 대해서 TRTI-1, TRTI-2 및 상품화된 soybean BBI의 농도에 따른 저해능을 보면 TRTI-1, TRTI-2 및 soybean BBI의 각각의 농도가 $0.8{\mu}M,\;6{\mu}M,\;4{\mu}M$일 때 1mg/ml의 trypsin을 50% 저해하였으며, trypsin의 반응속도에 대한 TRTI의 저해 실험에서 TRTI-1와 TRTI-2 모두 trypsin의 가수분해를 경쟁적으로 저해하였으며 $K_{m}$값은 저해제가 없는 경우 $0.37\;{\mu}M$에 대해 각각 0.97, $0.63\;{\mu}M$이었다. 여러 protease에 대한 TRTI-1과 TRTI-2의 저해능 실험 결과 elastase, pepsin, Nagarase, papain, thermolysin, chymotrypsin, thrombin 및 collagenase 등은 저해하지 못하였고 trypsin만을 특이하게 저해하였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감수분열 특이적 Protein Kinase인 Ime2의 역할 (A Specific Role of Ime2, Meiosis-specific Protein Kinase, in the Eary Meiotic Pathway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임선희;탁연수;선우양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8-265
    • /
    • 1999
  • 출아효모에서는 질소원의 고갈과 MATa/MAT${\alpha}$ 이배체 세포의 감수분열기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에 의해 체세포분열기의 G1기에서 감수분열기로의 진행이 결정된다. 이러한 두 경로는 감수분열기 특이적인 IME 유전자군에 의한 전사조절에 의해 활성화되어 감수분열기가 시작된다. 본 연구는 IME2 유전자가 protein kinase 로서 감수분열기의 어떤 과정에 직접 관여하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PCR mutagenesis를 통하여 온도감수성 ime2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전체 62개의 온도감수성 변이주 중에서 온도에 따른 포자형성능과 감수분열기 재조합 빈도에 대하여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는 3종류의 변이주들(ts ${\cdot}$ ime2-11, ts ${\cdot}$ ime2-12와 ts ${\cdot}$ ime2-13)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3종류의 온도감수성 변이주를 이용하여 제한온도에서 감수분열기 초기과정 중 결손을 조사하기 위해, FACScan analysis를 한 결과 IME2유전자가 감수분열기의 DNA 복제과정의 개시 및 완료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고, his4 혹은 arg4 locus에서 감수분열기 재조함 빈도의 측정으로 재조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Delta}$mre4 파괴주에 IME2유전자를 과다발현시켜 그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감수분열기 특이적인 protein kinase 인 IME2와 MRE4가 감수분열기 초기과정인 재조합 과정에서는 동일한 경로에 작용한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 PDF

유전자변형 베타-카로틴 강화 쌀의 주요 영양성분 분석 (Analyses of Nutrient Composition in Genetically Modified β-Carotene Biofortified Rice)

  • 이영택;김재광;하선화;조현석;서석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5-109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베타-카로틴 강화 유전자변형 벼(GM 벼)와 그 모종 벼인 낙동벼(non-GM 벼)로부터 쌀(현미, 백미)의 일반성분, 베타-카로틴, 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변형 쌀에서 주요 영양성분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M 쌀은 non-GM 모종 쌀과 일반성분 함량이 유사하였고 GM 쌀 100 g당 약 0.2 mg의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GM 쌀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가 지방산 전체의 94% 이상으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non-GM 쌀과 전체적인 지방산 조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아미노산은 Asp>Arg>Leu>Ala>Ser>Val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무기질 함량은 P>K>Mg>Na>Ca>Zn>Fe의 순이었으며, non-GM 쌀에 비해 대부분의 아미노산과 무기질 함량이 약간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베타-카로틴 강화 유전자변형 쌀은 의도한 바의 베타-카로틴이 쌀의 종실에 생합성 됨과 함께 쌀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질 함량에는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의 췌장소화효소 분비에 미치는 사료성분에 관한 연구 (Dietary Factors for Secretary Digestive Enzyme from the Pancreas in the Chicken)

  • 양성익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9-232
    • /
    • 1989
  • 본 연구는 닭에 있어서 사료성분에 대한 췌장소화효소(amylase. trypsinogen 및 chymotrypsinogen) 분비기구에 대해서 검토했다. 먼저, 췌효소분비의 단기응답실험에 유용한 새로운 췌액채취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을 이용해서 아미노산 및 glucose를 날개정맥으로 투여한 결과 phenylalanine만이 trypsinogen 및 Chymotrypsinogen이 증가되었지만 그 외의 아미노산 및 glucose에 의해서는 분비증가 효과가 없었다. Cholecystokinin(CCK)투여 에 의해 췌효소분필는 즉각적으로 높은 분비반응을 보였으며, 이 반응은 또한 농도의존성을 나타냈다. CCK투여는 chymotrypsinogen의 쪽이 amylase 및 trypsinogen보다 높은 비율로 분비되는 선택적인 분비반응을 나타냈다. 아미노산과 CCK을 공동투여하면 첨가한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췌효소분비반응은 여러 가지 형태로 증가되었지만 glucose와의 공동투여에서는 CCK 단독투여와 비교해서 차가 없었다. Valine과 arginine을 여러 가지 농도로 CCK와 공동 투여한 결과, valnine에서는 0.5mM일때, arginin에서는 5mM일때 가장 높은 분비반응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아미노산의 조합에 의한 췌효소분비반응에 대해서 검토했다. 즉, 아미노산 mixture, threonine+phenylalanine+isoleucine, Threonine+phenylalanine, threonine+isoleucine 및 phenylalanine+isoleucine과 CCK를 공동투여 했다. 각 물질을 투여한 후 50분간 분비한 효소를 비교하면, threonine+phenylalanine에 의한 췌효소분비반응은 아미노산 mixture에 의한 분비반응과 동일하게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닭에 있어서 췌장소화효소분비는 CCK와 아미노산의 사이에 협동작용이 있으며, 그 협동작용은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인 분비반응을 함으로써 장내소화가 진행된다고 본다.

  • PDF

목질계 당화액배지로부터 고온내성 변이주 Brettanomyces custersii H1-39의 고정화에 의한 에탄올생산 (Ethanol Production an Immobilized Themotolerant Mutant of Brettanomyces custersii H1-39 from Wood Hydrolyzate Media)

  • 박승원;홍영기;김승욱;홍석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2-179
    • /
    • 2000
  • 여러 재질의 담체를 이용하여 H1-39변이주를 고정화시켜 3.4% 목질계 당화액을 탄소원으로 $37^{\circ}C$, $40^{\circ}C$, $43^{\circ}C$에서 에탄올 발효를 하였는데 전반적으로 유리세포 배양시보다 에탄올 수율, 생산성, 세포수율, 세포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온도 37$^{\circ}C$에서는 Ca-alginate와 ABG bead에 고정화된 H1-39변이주에서 각각 가장 높은 14.8 g/1의 에탄올을 생산하였으며 특히 H1-39변이주를 ABG bead에 고정화하여 배양하였을 때 생산성이 1.23g/1-h로 가장높았다. $40^{\circ}C$에서는 ABG bead에 고정화된 H1-39 변이주에서 가장높은 15.2g/1의 에탄올을 생산하였으며 생산성도 0.84g/1-h 로 유리세포 배양시보다 약 91% 증가하였다. 한편 $43^{\circ}C$에서는 ABP고정화 배양을 통해 가장 높은 13.8g/1의 에탄올 생산과 0.77g/1-h의 생산성을 나타내어 유리세포 배양시 보다 각각 14%와 93%의 증가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