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I test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9초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을 위한 소스코드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est Case Based on Source Code for Quality Improvement)

  • 손웅진;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86-1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에 필요한 소스코드의 API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Doxygen 오픈소스 툴을 이용한 소스코드 분석 과정, 분석된 결과를 이용한 API 사양 정의 과정, 테스트 디자인 생성 과정, Pairwise Test 기법을 적용한 테스트 케이스 생성 과정 등의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Doxygen 오픈소스 툴을 이용한 소스코드 분석 과정은 소스코드의 API 정보인 API 명, 입력 파라미터, 리턴 파라미터 정보 등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분석된 결과를 이용한 API 사양 정의 과정은 추출한 API 정보를 바탕으로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 생성에 필요한 API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의하는 단계이다. 테스트 디자인 생성 과정은 정의된 API를 기반으로 입력 파라미터, 리턴 파라미터의 임계치 설정, 제약사항 설정 등을 통해 시나리오를 디자인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이다. Pairwise Test 기법을 적용한 테스트 케이스 생성 과정은 테스트 디자인 정보를 바탕으로 Pairwise 조합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이다. 제안된 기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명세서 기반의 테스트 케이스 생성 방법과 비교한 결과 비슷한 시간 내에 훨씬 더 많은 테스트 케이스가 생성되며, 명세 기반 기법으로는 불가능한 소스코드에 대한 기능 검증도 가능하여 소스코드내 결함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인력을 통한 수작업에 의존적으로 진행하였던 소프트웨어 개발 품질 향상 과정을 소스코드의 API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함으로써, 노동력 절감 및 제품 개발 시간 등을 단축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BioAPI v2.0 표준적합성 시험방법 개발 및 구축 (Implementation of the Methodology for BioAPI Conformance Test)

  • 신우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9-188
    • /
    • 2011
  • Biometrics is one of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within personal identification area, and its application stretches to other variety industry 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st whether these products are implemented in conformance withe the BioAPI international standard specific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specific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examples of BioAPI v2.0 conformance test suit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ISO/IEC 24709. The problems and experience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the construction are described. Three BSP products claiming conformance to BioAPI was tested by proposed the test methodology and tools.

API시험법에 의한 국내 석탄회의 품질 평가 (Evaluation of Domestic CCPs(Coal Combustion Products) Quality by API Test Method)

  • 유성원;유경근;조영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49-57
    • /
    • 2013
  • 최근, 산업부산물의 재활용과 이산화탄소 저감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는 콘크리트의 혼합재로 사용되는 것이 재활용 방안 중 최선으로 알려져 있다. 석탄회를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위하여 KS에서는 $SiO_2$, 분말도, 비중, 강열감량 및 활성도 지수 등의 품질 항목을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특히, 활성도 지수의 경우는 석탄회가 콘크리트에 사용될 때의 강도 발현성을 판정할 수 있는 가장 주요한 판정기준인데 반해서 실험소요 기간이 최소 28일 혹은 91일이 요구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활성도 지수를 대체하여 석탄회의 포졸란 반응성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API 시험법을 적용하여, API 시험결과와 활성도지수 및 K-value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API 시험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신속 측정방법인 API 시험법에 의한 국내 석탄회의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국내 석탄회는 수분 및 비중을 제외하고는 KS 품질기준을 대부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동층 보일러 애시는 고유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PI와 활성도지수 및 K-value의 경우, 각각의 상관성이 상당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령이 증가할수록 API와의 상관성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 재령의 실험을 요구하는 활성도 지수 대신에 2일 내에 결과를 알 수 있는 API시험이 석탄회의 포졸란 반응성 평가에 매우 유용한 시험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BioAPI v2.0 기반 BSP 표준 적합성 시험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oAPI v2.0 based BSP Conformance Test Suite)

  • 장지현;이동근;김재성;김학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29-141
    • /
    • 2006
  • 본 논문은 BioAPI(Biometr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v2.0 기반의 BSP(Biometric Service Provider) 표준 적합성 시험 도구의 설계 및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한 BioAPI 적합성 시험 도구는 프레임워크(Framework) 없이 독립적으로 BSP를 시험할 수 있으며, 향후 XML 형태의 Test Assertion을 이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 스케줄링 툴을 구현하였다. 또한 적합성시험 도구를 검증하기 위해 상용 지문 인식 검증(verification) 및 식별(identification) BSP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BioAPI v2.0을 기반으로 한 BSP들이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는지를 판단 할 수 있었다.

Docker를 활용한 코드 테스트 API 구현 (Implementation of code test API using Docker)

  • 최효현;이병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99-50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Docker를 활용하여 코드 테스트 API를 활용한 코딩 테스트 웹 사이트를 구현한 결과를 보인다. 코드 테스트에서 다양한 언어 지원을 위해 Dockerfile 템플릿을 개발하여 언어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Docker를 이용하여 격리된 환경에서 코드를 실행하고 평가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채점을 수행한다. Docker의 curl[1]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서버와 통신을 통해 결과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작성한 코드에 대한 평가를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다.

  • PDF

분산 환경에서의 생체인증 API 표준 적합성을 위한 XML Test Assertion 적용 방안 (Application Methodology of XML Test Assertion for BioAPI Standard Conformance Tests in Distributed Environment)

  • 손민우;김영채;신동일;신동규;신용녀;김재성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2-567
    • /
    • 2007
  • 분산 환경에서 신분 확인을 위한 생체인증기기가 이용되는 경우 그 기기가 생체인증 표준인 BioAPI를 준용하여 제대로 구현된 것인가에 대한 적합성 시험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적합성 시험은 분산 환경의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표준 규격을 준용한 제품이라는 신뢰성을 주게 된다. 기존에 제공되는 있는 BioAPI(Biometr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v2.0 기반의 BSP(Biometric Service Provider)는 오프라인 상에서 BioAPI기반의 제품의 준용 여부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분산 환경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준용 여부를 평가 받기 힘들며 이에 따른 동시 서비스 제공도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BioAPI v2.0 기반의 제품들이 분산 환경에서 제공되는 9개 모델의 표준화된 환경으로 구분하고, 원활한 적합성 시험을 위하여 XML기반의 Test Assertion을 설계하여 생체인증 API 표준 적합성을 시험하였다. XML Test Assertion을 이용한 생체인증 적합성 시험을 위한 메시지 플로우를 밝혀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Linux Kernel 2.6.X에서 SCTP API 분석 (Analysis of SCTP API on Linux Kernel 2.6.X)

  • 민경주;정옥조;강신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49-952
    • /
    • 2003
  • TCP/UDP가 차지하고 있던 전송 프로토콜에 멀티미디어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전송을 위해 개발되어 차세대 전송프로토콜로 지칭되는 SCTP가 최근의 리눅스 커널 2.6.0-testX에 탑재되었다. 리눅스 커널 2.6에 탑재된 SCTP는 lksctp라는 패키지 형태로 구현하고 배포하였는데, 실제 커널에서 SCTP API를 분석하고, TCP, UDP와의 비교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안정화 상태를 점검하고 검증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리눅스 커널에 탑재된 SCTP API를 분석하고, 테스트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기술한다.

  • PDF

만성질환자 대상 한국어판 자율성 선호도 도구(K-Autonomy Preference Index)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utonomy preference index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 이지애;안보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81-3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자율성 선호도 측정 도구(K-API)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총 569명의 만성질환자가 참여하였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고,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으로 확인하였다. 원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K-API는 두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i) 의사결정 선호도, (ii) 정보추구 선호도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K-API는 자율성 선호도의 53.4%를 설명하며, 2개 요인으로 구성된 도구의 적합도 지수가 충족되었다. Cronbach's α는 의사결정 선호도는 .77, 정보추구 선호도는 .7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K-API의 타당도가 신뢰도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API 도구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연어 관계 분석을 통한 Java API 패턴 추출 및 추천 방법 (Java API Pattern Extraction and Recommendation using Collocation Analysis)

  • 권찬우;황상원;남영광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11호
    • /
    • pp.1165-1177
    • /
    • 2017
  • 소프트웨어 개발 진행 시 개발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API의 사용 방법을 검색하지만,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추상구문트리의 연어 관계를 이용하여 API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추천하는 시스템 JACE(Java AST Collocation-pattern Extractor)를 개발하였다. JACE는 자바 추상구문트리를 분석하여 API 호출 노드를 추출한 후, 노드 간 연어 관계를 분석하고 연어 관계 사전을 구축한다. 구축된 연어 관계 사전을 이용하여 연어 관계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것을 패턴으로 정의한다. 정의된 패턴은 이클립스 플러그인으로 제작된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 요청 시 추천된다. 실험을 위해 794개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분석하였고, 약 1천 5백만개의 API 호출 노드를 추출하여 실험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검색 시스템들보다 더 유용한 예제 코드 및 사용법을 제시하였다.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Usability Test of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 구중억;이응봉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5-214
    • /
    • 2009
  • 본 연구는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과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두 실험시스템의 사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용성은 전체적으로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 보다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이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도서관들이 인터넷서점, 검색엔진, 웹포털 등에서 공개한 도서검색용 Open API를 통해 제공되는 풍부한 콘텐트를 온라인목록에서 공유하고 활용하면 서지데이터의 확충, 주제접근과 주제검색 능력의 확대, 메타 검색서비스의 확장, 소장도서의 이용가능성 증대, 목록비용의 절감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