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X

검색결과 1,144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의 산림토양(山林土壤)에 분포(分布)하는 포자낭과(胞子囊果)를 형성하는 아버스큘균근균(菌根菌), Glomus속(屬) (Sporocarp-forming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Glomus spp. in Forest Soils of Korea)

  • 구창덕;김태훈;이창근;이원규;강창호;이병천;이승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9-36
    • /
    • 1992
  • 한국(韓國)의 산림토양(山林土壞)에 분포(分布)하는 아버스쿨균근균(菌根菌) 중에서 균사총(菌絲叢)(hyphal plexus)를 중심으로 하여 포자(胞子)가 1개의 층으로 방사상 배열을 한 포자낭과(胞子賽囊果)를 형성 하는 Glomus속(屬)의 6개 종(種)(최근까지 Sclerocystis 속(屬)으로 분류(分類))이 단양 석회암(石灰岩) 지역(地域), 문경 탄광(炭鑛) 폐석지. 진도의 팽나무 식재지. 남해(南海)의 삼나무 조림지(造林地). 성산 일출봉 분화구(噴火口) 바닥, 서귀포 천지연 폭포 주변 찔레등 관목림(灌木林)에서 채집(採集)되었다. Glomus clavisporum의 포자(胞子)는 곤봉형으로 머리부분의 벽(壁)이 $25-33{\mu}m$으로 매우 두터우며, G. heterosporum 의 후막 포자(胞子)는 포자낭과(胞子賽囊果) 중앙부의 벽이 두터운 굵은 균사와 연결되어 있다. G. liquidambaris는 포자(胞子)사이사이에 주걱모양의 구조 (paraphysis)가 있으며, G. rubiforme는 검정색의 산딸기 모양이다. G. sinuosum 은 벽이 두터운($2-3{\mu}m$) 황금색의 균사(菌絲)가 구불구불하게 뭉쳐서 외피(peridium)를 구성한다. G. taiwanense의 포자낭과(胞子賽囊果)는 적갈색이고 포자(胞子)는 노랑색으로 머리부분의 벽(壁)이 두텁다.

  • PDF

Entyloma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 발생 (Occurrence of White Smut Caused by Entyloma cosmi on Cosmos bipinnatus in Korea)

  • 박지현;조성은;박미정;홍선희;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0-254
    • /
    • 2012
  • 2011년 7월 남양주에서 코스모스에 흰깜부기병이 크게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중부지방의 코스모스 집단식재지 9곳을 답사한 결과, 모두 50% 이상의 발병률을 보였다. 초기 병징은 잎에 담녹색이거나 퇴색부위가 생기고, 이어서 병반에는 흰 곰팡이가 서릿발처럼 밀생하였다. 각 병반이 융합되고 괴사되면서 식물체의 관상적 가치는 크게 훼손되었다. 분생포자다발은 잎 뒷면에 생기나 발병 후기에는 앞면에서도 관찰되었다. 분생포자경은 10-40개 정도가 다소 빽빽한 다발을 형성하며, 무색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길이 $20-45{\mu}m$에 폭 $2-4{\mu}m$이며, 꼭대기는 대체로 둥근 편이며, 분생포자흔은 뚜렷하지 않았다. 분생포자는 단생하며, 소시지 모양이며, 무색이며, 단세포이며, 대부분 기름방울을 가지며, 위쪽은 둥글며, 아래쪽은 둥글거나 절단형이며, 길이 $17-24{\mu}m$에 폭 $3.5-5{\mu}m$이며, 배꼽은 뚜렷하지 않았다. 포자퇴는 둥글거나 길쭉하며, 초기에는 희끗하게 보이나 후기에는 갈색의 점처럼 보였다. 겨울포자는 잎 조직 속에 박혀있으며, 근원형이거나 타원형이며, 무색에 가깝거나 옅은 황갈색이며, 길이 $12.5-20{\mu}m$에 폭 $10-15{\mu}m$였다. 이러한 균학적 특징은 코스모스 흰깜부기병균 E. cosmi V$\acute{a}$nky, Horita & Jage와 일치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E. cosmi에 의한 코스모스 흰깜부기병의 최초 보고이다.

Atom-by-Atom Creation and Evaluation of Composite Nanomaterials at RT based on AFM

  • Morita, Seizo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73-75
    • /
    • 2013
  • Atomic force microscopy (AFM) [1] can now not only image individual atoms but also construct atom letters using atom manipulation method [2]. Therefore, the AFM is the second generation atomic tool following the well-know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The AFM, however, has the advantages that it can image even insulating surfaces with atomic resolution and also measure the atomic force itself between the tip-apex outermost atom and the sample surface atom. Noting these advantages, we have been developing a novel bottom-up nanostructuring system, as shown in Fig. 1, based on the AFM. It can identify chemical species of individual atoms [3] and then manipulate selected atom species to the designed site one-by-one [2] to assemble complex nanostructures consisted of many atom species at room temperature (RT). In this invited talk, we will introduce our results toward atom-by-atom assembly of composite nanomaterials based on the AFM at RT. To identify chemical species, we developed the site-specific force spectroscopy at RT by compensating the thermal drift using the atom tracking. By converting the precise site-specific frequency shift curves, we obtained short-range force curves of selected Sn and Si atoms as shown in Fig. 2(a) and 2(b) [4]. Then using the atom-by-atom force spectroscopy at RT, we succeeded in chemical identification of intermixed three atom species in Pb/Sn/Si(111)-(${\surd}3$'${\surd}3$) surface as shown in Fig. 2(c) [3]. To create composite nanostructures, we found the lateral atom interchange phenomenon at RT, which enables us to exchange embedded heterogeneous atoms [2]. By combining this phenomenon with the modified vector scan, we constructed the atom letters "Sn" consisted of substitutional Sn adatoms embedded in Ge adatoms at RT as shown in Fig. 3(a)~(f) [2]. Besides, we found another kind of atom interchange phenomenon at RT that is the vertical atom interchange phenomenon, which directly interchanges the surface selected Sn atoms with the tip apex Si atoms [5]. This method is an advanced interchangeable single atom pen at RT. Then using this method, we created the atom letters "Si" consisted of substituted Si adatoms embedded in Sn adatoms at RT as shown in Fig. 4(a)~(f) [5]. In addition to the above results, we will introduce the simultaneous evaluation of the force and current at the atomic scale using the combined AFM/STM at RT.

  • PDF

NaCl 엽면살포에 따른 과수의 피해양상과 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chanism and Damage Occurrence for Foliar Spray of NaCl Solutions in Fruit Trees)

  • 김승희;송기철;박정관;박무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2-358
    • /
    • 2006
  • 조풍해(briny wind)에 대한 과수 과종간 피해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갈변율의 경시적 변화에서 배와 복숭아는 처리 후 1시간 만에 갈변이 시작되었고, 사과와 포도는 2시간 후부터 갈변증상을 나타냈나. 배와 포도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낙엽률도 증가되었다. 염분처리에 대한 사과의 에틸렌 함량은 NaCl 3.0% 처리한 경우 1, 2시간 후까지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24시간 후에는 무처리 보다 약 3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5일 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사과의 염분처리에서 뒷면처리는 앞 뒷면 전체처리한 경우와 동일한 갈변과 낙엽률을 보였다. 엽령에 따른 NaCl의 반응은 사과와 배 모두에서 성엽이 유엽보다는 피해가 크게 나타났고 배보다는 사과가 염에 대해 민감하였다. 처리시기에 따른 염피해 에서 7월 30일 처리는 사과에서 측아가 발아되었으며, 정단은 배 30%를 제외하고 나머지 과종은 100% 발아하였다. 상위엽과 정단의 호르몬 함량을 조사한 결과에서, 잎의 t-zeatin 함량은 대포구가 염처리구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하지만 IAA와 ABA는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상위엽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관절경적 상완 이두근 건고정술의 임상적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tenodesis of the proximal biceps tendon using by interference screw)

  • 권석현;전철홍;최윤홍;한상수;김정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29
    • /
    • 2012
  • 목적: 상완 이두근 장두의 고정술을 시행하는데 있어 관절경을 이용한 간섭 나사못(interference screw) 고정술후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상완 이두근 장두의 건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중 회전근개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20예였다. 결과는 VAS, ASES, 상완 이두근 구의 압통, 고정실패 및 변형의 정도로 판단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비해서 VAS, ASES 점수는 의미 있게 호전되었으나(p<0.05), 최종 추시시 17%(5예)에서 상완 이두근 구의 통증이 존재하였고, 10%(3예)에서 고정실패 및 BAD (biceps apex distance)의 증가로 인한 Popeye 변형이 존재하였다. 또한 회전근개 파열을 동반한 군과 그렇지 않는 군에서는 최종 추시시 회전근개 파열이 없는 군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5). 결론: 상완 이두근 근위부 병변에 의한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관절경적 상완 이두근 장두의 건고정술은 모두 최종 추시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17%에서 상완 이두근 구의 압통이 존재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교정적 치아초기배열단계시 발생하는 치근 변화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ROOT SURFACE CHANCES DURING THE INITIAL LEVELING AND ALIGNMENT PHASE IN ORTHODONTIC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 최정윤;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91-600
    • /
    • 1998
  •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치가 예정된 치아를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치료과정 중의 한 부분인 초기치아배열단계에서 다양한 기간과 크기의 교정력을 가하여 치아배열기간, 교정력의 크기,치아이동방향에 따라 치근표면에 일어나는 흡수와 회복 양상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치료받지 않은 13개의 치아를 대조군으로 하고 교정치료계획상 제1소구치를 발거하기로 예정된 37개의 치아를 실험군으로 하여 20-450gm의 초기교정력을 가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 37개 중 22개의 치아($59.5\%$)에서 치근흡수가 발견되었다. 치근흡수는 최소실험기간인 3주군부터 나타났으며 흡수부위의 회복은 3개월군부터 나타났다. 2. 교정력의 기간 증가에 따라 치근흡수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교정력이 클수록 상아질을 포함하는 홉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치근 흡수의 부위는 하중 받는 부위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치근 흡수 부위의 면적과 가장 상관성이 높은 변수는 교정력의 크기였다.

  • PDF

전라북도 지역의 치과적 생체 연령추정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Age Estimation Cases of Living Body Based on Dental aspect in Jeollabuk-do)

  • 엄애자;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67-176
    • /
    • 2008
  •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 구강내과에 의뢰된 연령추정 121례를 분석 및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추정 의뢰인의 성별 분포는 남성(58.7%)이 여성(41.3%)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의 과반수(55.4%)를 차지하였다. 2. 호적 연령과 주장 연령의 차이는 5세 이상(34.1%) 차이가 가장 많았고, 이는 5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다. 3. 연령을 늘리려는 의뢰인(64.2%)이 줄이려는 의뢰인(35.8%)보다 많았으며, 이는 남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10세 미만과 20대는 나이를 줄이려는 경우가, 10대, 30대이상에서는 나이를 늘리려는 경우가 많았다. 4. 복지를 이유로 연령정정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복지혜택과 관련해서는 50대 이상이, 직장과 관련해서는 40대와 50대가, 교우관계와 관련해서는 30대와 40대가, 가족 관계와 관련해서는 50대가, 취업과 관련해서는 10대와 20대가 가장 많았다. 5. 연령추정 방법은 20세 이상에서는 영구치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였으며, 10세 이상 20세 미만에서는 치근단공 폐쇄시기를, 10세 미만에서는 영구치 석회화 정도를 각각 사용하였다. 20세 이상에서 영구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영구치의 상실시기와 하악각의 증령적 변화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였다. 6. 각 방법에 의해 추정된 연령의 77.7%는 의뢰인이 주장하는 연령에 근접하였으나, 22.3%는 호적상의 연령에 근접하여 의뢰인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았다.

협설만곡치아의 파노라마방사선영상소견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of the buccolingual dilaceration)

  • 김영호;정환석;허경회;이원진;허민석;이삼선;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0권1호
    • /
    • pp.39-44
    • /
    • 2010
  • Purpose : We want to identify the appearance of the buccolingual root dilaceration teeth in the panoramic views and spec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eeth. Materials and Methods : One thousand-six patients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both panoramic and CT image criteria. We diagnosed and excluded certain teeth from the samples; both prosthodontic or pathologic lesion appearing teeth and mesiodistally dilacerated ones. We meticulously discerned buccolingually dilacerated teeth in the CT images and total 48 samples were selected. The degree of severity in dilaceration was standardized by 2 types of criteria. The samples were differentiated into 3 groups and again categorized into six types showing from the panoramic views: irregular view on the root apex area, clear blunt on the root tip, stepping on root tip, double lamina dura or double tip, arrow-target shaped root, bull's eye, normal view. Results : The types of teeth selected from total 48 buccolingual root dilaceration samples wer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 premolars, canines, and lateral incisors. The direction of dilaceration was an even percentage to each buccal and lingual side for most selected teeth, however, that of both canines and lateral incisors were directed in almost a buccal side. In the panoramic views, the root types of the buccolingually dilacerated teeth were irregular view on the root apex area, clear blunt on the root tip, stepping on root tip and normal types were almost always normal view. The more severity in dilareated degree, the more chances of observation in the panoramic views were clear blunt on the root tip and stepping on root tip. Conclusion : As observed in the shape of stepping on root tip or double lamina dura in the panoramic views, there can be much more probability to diagnose as a buccolingually dilacerated root.

치수생활력 검사 방법으로서 laser Doppler flowmeter의 신뢰도 (THE RELIABILITY OF LASER DOPPLER FLOWMETER IN PULP VITALITY TEST OF TEETH)

  • 남동우;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83-690
    • /
    • 1998
  • 미완성 치근을 가진 영구 중절치에 대한 치수생활력검사에서 LDF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8-9세의 취학 아동 35명을 대상으로 전기치수검사 및 LDF에 의한 치수생활력 검사를 시행하고 대조군으로 23-24세 성인 남녀 35명의 상악 영구중절치를 대상으로 동일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미완성 치근단을 가진 치아는 방사선 사진상 Moorrees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치근 발육 5 및 6 단계로 한정하였다. 전기치수검사는 최초의 감각이 나타나는 시기를 역치로 정하였으며, 대상 치아당 3회 이상 실시하였고, 위음성 반응의 가능성 때문에 검사간 간격은 3분 이상으로 하였다. LDF는 안정된 signal이 나타날 때 까지 5분 이상 관찰하였으며, 안정상태 도달 후 5분 이상 측정하였다. 모든 반응인자의 정규 분포를 확인한 다음, 대조 치아 및 시험 치아간 LDF 및 전기치수검사의 역치를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1. 전기치수검사시 미완성 치근에서는 28.4%에서만 반응이 나타났으며, 완성 치근의 경우 100%에서 반응이 나타났고, LDF에 의한 검사시 미완성 치근 및 완성 치근 모두에서 100% 반응이 나타났다. 2. 완성 치근 및 미완성 치근을 가진 치아의 전기 치수검사 역치는 미완성 치근을 가진 치아가 큰 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1). 3. 완성 치근 및 미완성 치근을 가진 치아 사이의 LDF 수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각도(Collum Angle)에 대한 연구 (MAXILLARY INCISOR CROWN-ROOT ANGLE(COLLUM ANGLE) IN DIFFERENT MALOCCLUSIONS)

  • 홍희숙;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3
    • /
    • 1995
  •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악 중절치의 장축은 치근첨(Root Apex)과 절치단(Incisor Edge)를 연결한 선을 사용하지만 일부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치관장축과 치근장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두장축이 이루는 각을 치관-치근각도(Collum Angle)라 하며, 이 각도는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과정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30명, 제 II 급 2류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31명에서 치관-치근 각도를 계측하여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항목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치관-치근 각도의 평균값은 제 I 급 부정교합에서는 $3.11^{\circ}{\pm}3.54^{\circ}$,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1.23^{\circ}{\pm}2.41^{\circ}$, 제 II급 2류 부정교합에서는 $3.77^{\circ}{\pm}4.39^{\circ}$,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3.90^{\circ}{\pm}4.08^{\circ}$ 이었다. 2. 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와 제 II급 2류, 제 III급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치관-치근 각도와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다른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 제 I급 부정교합에서는 IMPA,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Wits, 제 II급 2류 부정교합과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Overbite이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