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X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32초

GaN stripe 꼭지점 위의 GaN 나노로드의 선택적 성장 (Selective growth of GaN nanorods on the top of GaN stripes)

  • 유연수;이준형;안형수;신기삼;;양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45-150
    • /
    • 2014
  • 3차원적 선택적 결정 성장 방법에 의해 GaN stripe 구조의 꼭지점 부분에만 GaN 나노로드를 성장하였다. GaN stripe의 꼭지점 부분의 $SiO_2$ 만을 최적화된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이를 선택적 결정 성장을 위한 마스크로 사용하였다. $SiO_2$가 제거된 꼭지점 부근에만 Au 금속을 증착하고, metal organic vapor phase epitaxy(MOVPE) 방법에 의해 GaN stripe의 꼭지점 부분에만 GaN 나노로드의 선택적 성장을 실시하였다. GaN 나노로드의 형상과 크기는 결정 성장 온도와 III족 원료의 공급량에 의해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Stripe 꼭지점에 성장된 GaN 나노로드는 단면이 삼각형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성장되었다. TEM 관측 결과, 매우 좁은 영역에서만 선택적 결정 성장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GaN 나노로드에서 관통전위(threading dislocations)는 거의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선택성장이 시작되는 부분의 결정면과 GaN 나노로드의 성장방향의 결정면 방향의 차이에 기인하는 적층결함(stacking faults)들이 GaN 나노로드의 중심영역에서 생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IMZ임플란트의 플라스틱 및 티타늄 IME의 응력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DISTRIBUTION IN IMZ IMPLANT WITH A PLASTIC OR A TITANIUM IM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하치양;최부병;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5-642
    • /
    • 1993
  • Whether stress-absorbing elements are functional in an implant system has been an issue of interest in oral implantology. The unique feature of the IMZ implant system is the planned imitation of the stress-distributing function of the structural unit of the tooth, periodontium, and alveolar bone through the use of an intramobile elemen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displacement and the stress distibutions of IMZ implant with a polyoxymethylene(POM) or a titanium IME under static load.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FEA) was applied for this study and two finite element models were created. PATRAN program(DPA Co.,USA), a software for FEA, and SUN-SPARC2GX(SUN Co., USA), a workstation computer, were used. $1Kg/mm^2$ of static load was loaded individually on each three point of crown of implant prosthesis ; central fossa(load 1), mesial cusp tip(load 2), distal cusp tip(load 3), The displacements of X- and Y-axis and total displacement were measured at mesial and distal cusp tips, mesial and distal points between crown and IME, and implant apex. The von Mises stress was measured at mesial and distal points between crown and IME, mesial and distal points between IME and TIE, mesial and distal alveolar crest, the mesial and distal midpoints of implant, and implant apex. The difference in resultant value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statistically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Under the load 1, all the displacement of implant with titanium IME at 5 measuring points was larger than that of with POM IME except total and Y-axis displacement at implant apex. And the differences in stress distributions with POM and titanium were varied. 2. Under the load 2, all the displacement of implant with titanium IME at 5 measuring points was larger than that of with POM IME except X-axis displacement at distal cusp tip. And the differences in stress distributions were varied. 3. Under the load 3, all the displacement of implant with titanium IME at 5 measuring points was larger than that of with POM IME except Y-axis displacement at mesial cusp tip. And the differences in stress distributions were varied. 4. For the displacemen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only in total displacement (P<0.1), bu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X- and Y-axis displacement(P>0.1). For the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mpared values.

  • PDF

고양이에서 방광요막관 게실의 외과적 치료 증례 (Surgical Correction of a Vesicourachal Diverticulum in a Cat)

  • 윤헌영;노미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09-512
    • /
    • 2012
  • 암컷, 4년령, 6.5 kg의 단모종 고양이가 배뇨실금 및 배뇨곤란 증상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방광 팽창을 동반한 배뇨곤란 증상을 확인 하였고,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서 2개의 작은 방광 결석과 방광내 슬러지를 각각 확인 하였다. 소변 검사에서 혈뇨와 세균뇨를 확인 하였다. 식염수를 이용한 방광 세척과 항생제 치료를 4주간 실시 하였으나 치료 효과가 미미하였다. 선천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배설성 요로조영술을 실시하였고, 작은 게실이 방광 앞쪽 끝에서 관찰 되었다. 방광요막관 게실이 의심 되어 탐색적 개복술을 실시 하였고 삼각형 모양의 게실이 방광 앞쪽 끝에서 확인 되었다. 방광 결석 제거를 위해 방광 절개술이 실시 되었고 게실 절제를 위해 방광 부분 절제술이 실시 되었다. 방광 앞쪽 끝 부분을 지름 약 2 cm 정도 절제 하였다. 수술 후 5일 째 정상 배뇨가 가능하였다. 수술 후 정기 검진은 신체 검사를 통해 2년 동안 실시 되었으며 배뇨 곤란과 배뇨 실금 증상이 관찰 되지 않았다.

$^{99m}Tc-MIBI$ 심근 SPECT에서 180도와 360도 데이터 집적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180^{\circ}$ and $360^{\circ}$ Data Collection in $^{99m}Tc-MIBI$ Myocardial SPECT)

  • 강건욱;이동수;곽철은;현인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8-483
    • /
    • 1995
  • We compared the influences of reconstruction methods using $180^{\circ}$ or $360^{\circ}$ data upon contrasts and discriminating capability and diagnostic accuracy in $^{99m}Tc-MIBI$ stress/rest myocardial SPECT. We reviewed SPECT images reconstructed only with $180^{\circ}$ projection data or with $360^{\circ}$ data in 18 patients and in 11 normal subjects. To compare counts of surface structures and deep structures, we measured ape# posterior wall ratios in 11 normal subjects. To compare the contrasts of images, we measured apex/ventricle ratios. To compare contrasts between normal and diseased myocardial segments, we measured count ratios of defect and normal segments in 4 patients who had single coronary artery diseases. To compare diagnostic accuracy, we scored SPECT images made with $180^{\circ}$ and $360^{\circ}$ data segmentall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for the revelation of diseased arteries with both $180^{\circ}$ and $360^{\circ}$ SPECT images. If involved coronary arteries had more narrowing than 50% In coronary angiogram, we considered them as diseased arteries Apex/posterior wall ratio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normal subjects. Apex/ ventricle ratios in normal subject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180^{\circ}$ and $360^{\circ}$ SPECT images. Defect/normal ratio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180^{\circ}$ and $360^{\circ}$ SPECT images in single vessel disease patients. The overall diagnostic accurracy was the same between $180^{\circ}$ and $360^{\circ}$ data collection. Sensitivity was 94% and specificity was 91% for both types of data collection in this sample populatio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coronary artery territor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mages made with $180^{\circ}$ and $360^{\circ}$ data. The images made with $180^{\circ}$ data had better contrast between ventricle and myocardium and between hypoperfused and normal myocardium, though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ratios of the myocardial counts of surface and deep structures. However, diagnostic sensitivities of diseased artery territorie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nd so wer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between both methods of making images with $180^{\circ}$ and $360^{\circ}$ data.

  • PDF

톨페스큐 뿌리생장부위의 횡적 해부구조 및 세포생장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질소효과 (Cross-sectional Cell Anatomy and Physiological Growth Responses of Cells in Root Growth Zones of Two Tall Fescue Genotypes at Two Nitrogen Levels)

  • Beom Heon, Song;Curtis J, Nels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7-307
    • /
    • 1995
  • 본 시험은 톨페스큐의 엽과 뿌리생장 및 탄수화물의 저장이동 양상과 관련하여 뿌리 생장부위의 횡적 해부구조 고찰을 통해 표피세포, 피층세포, 및 통도조직세포들의 횡적 신장과 이들 세포의 생리적 생장반응에 대한 질소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경당 수량성이 높은 HYT 품종과 경당 수량성이 낮은 LYT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잎과 뿌리신장 및 분얼성등 생리적 특성이 다른 품종이었다. 1. 뿌리 생장부위의 횡적 신장은 첨단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약 1.0 mm이내에서 표피세포, 통도조직세포, 및 특히 피층세포에 의해 횡적신장이 이루어지며, 1.0mm이후에는 서서히 이루어지다가 3.0 mm 부위에서 제2차 횡적신장이 이루어졌다. 2. 뿌리의 제2차 횡적 신장은 주로 피층세포의 신장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HYT와 LYT품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질소수준간에는 차이를 보여 200 ppm N 수준에서 뿌리의 횡적신장이 뚜렷하였다. 3. 뿌리의 횡적 신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피층세포의 경우,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0.5 mm 이후 횡적 세포분열이 발견되지 않아 피층세포의 횡적 분열보다는 주로 횡적 신장에 의존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3 mm 이후 피층세포들이 서로 합쳐져 큰 피층세포들을 생성되었는데, 6 mm 부위에서는 아주 큰 피층세포들이 외부층에 많이 생성되었다. 4. 통도조직세포의 경우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1 mm부위까지 급격한 횡적 신장을 보였으며, 그 이후 3 mm까지는 감소하다가 다시 서서히 증가하였다.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1mm 부위까지 급격한 횡적 신장시 품종과 질소수준간에 차이를 보여 HYT품종은 50 ppm N 수준에서, LYT품종은 200 ppm N 수준에서 높은 횡적 신장을 보였으나, 3 mm 이후에서는 두 품종 모두 200 ppm N 수준에서 넓은 통도조직세포를 가졌다. 5. 뿌리 생장점으로부터 약 6 mm부위까지 뿌리의 횡적 신장에 관여하는 세포들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표피세포는 약 10∼18 %, 피층세포는 약 67∼79%, 그리고 통도조직세포는 약 10∼22 %가 뿌리 직경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알루미늄 내성과 민감성 보리의 빠른 screening과 원형질막 H+-ATPase의 발현 (A Rapid Screening for Aluminum-tolerant and -sensitive in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Plasma Membrane H+-ATPase Expression)

  • 김현성;오정민;안성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2-79
    • /
    • 2011
  • 본 연구는 간이 수경재배법을 이용하여 보리의 알루미늄 스트레스 내성과 민감성 품종을 간편하고 빠르게 screen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선별된 품종간의 뿌리의 생장, 뿌리 조직의 염색, 알루미늄 함량, 원형질막의 $H^+$-ATPase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l. 보리 65가지 품종을 간이 수경재배법을 이용하여 $20{\mu}M$ 알루미늄을 24시간 처리 후 뿌리생장의 차이로 내성 세 품종(자예2, 자예6, 모치무기)과 민감성 세 품종(흰쌀, 올쌀, 품2)을 선별하였다. 2. 알루미늄에 내성 품종은 알루미늄 처리 농도(0, 5, 10, $20{\mu}M$)에 따라 뿌리 생장 감소폭이 적었으나, 민감성 세 품종은 상대적으로 낮은 $5{\mu}M$ 농도에서부터 80%의 생장이 억제되었다. 3. 내성인 자예2와 민감성인 품2의 알루미늄 처리 후, 농도별(0, 5, 10, $20{\mu}M$), 시간별(3, 6, 12, 24시간)로 0.2% hematoxylin으로 염색 시 주로 apex에 3시간 이후부터 염색되었으며, 민감성 품2가 내성인 자예2에 비해 농도와 시간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매우 심각하였다. 4. $20{\mu}M$로 24 시간 처리된 뿌리 apex(10 mm)의 알루미늄 함량을 측정한 결과, 내성인 자예2는 주당 47.1 nmol의 함량을 보여 주었으나, 민감성인 품2는 주당 64.9 nmol의 높은 함량을 보여 주었다. 5. 24시간 동안 $20{\mu}M$ 알루미늄을 처리한 뿌리 원형질막 $H^+$-ATPase 발현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한 결과, 내성인 자예2는 차이가 없었으나, 민감성 품2는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로 보아 원형질막 $H^+$-ATPase가 알루미늄의 내성 기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6. 본 연구를 통해 간이 수경재배와 hematoxylin을 이용한 염색으로 간단하고 빠르게 보리의 알루미늄 내성과 민감성 품종의 screening을 할 수 있었고, 보리뿐 아니라 쌀, 밀 등의 다른 종자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으로 근관충전시 치근면 온도상승 분석 (ANALYSIS OF TEMPERATURE RISE ON THE ROOT SURFACE DURING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 김영주;황윤찬;김선호;황인남;최보영;정영진;정우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4호
    • /
    • pp.341-347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emperature rise on the root surface while the root canal is being obturated using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prepared for repeated canal obturation. Ten thermocouples (Omega Engineering Inc., Stanford, USA) were placed at 1 mm increment from the anatomical root apex. The real temperature of Buchanan plugger was recorded before insertion into the root canal. The root canal was obturated with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as described by Buchanan and the root surface temperature was recorded during obturation at $150^{\circ}C,{\;}200^{\circ}C,{\;}250^{\circ}C{\;}and{\;}300^{\circ}C$ temperature settings of System B HeatSource (Model 1005, Analytic technologies, Redmond, WA, USA). After completion of the temperature recording, the dentinal-cementum thickness at each sites was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followed by Scheffe's test and linear regressio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temperature was set at $150^{\circ}C,{\;}200^{\circ}C,{\;}250^{\circ}C{\;}and{\;}300^{\circ}C$ on the digital display of System B HeatSource, the real temperature of the plugger at the 1mm point from the tip revealed $130.82{\pm}2.96^{\circ}C,{\;}158.00{\pm}5.26^{\circ}C,{\;}215.92{\pm}6.91^{\circ}C{\;}and{\;}249.88{\pm}3.65^{\circ}C$ respectively. 2. The position of 8 mm from the anatomical apex showed the highest temperature increase at each temperature settings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ositions (p<0.0l). The temperature rise was constantly increased toward coronal portion from apex of the root. 3. The maximum temperature increase on the root surface was $2.37{\pm}0.09^{\circ}C{\;}at{\;}150^{\circ}C{\;}setting,{\;}3.11{\pm}0.12^{\circ}C{\;}at{\;}200^{\circ}{\;}setting,{\;}3.93{\pm}0.09^{\circ}C{\;}at{\;}250^{\circ}C{\;}setting{\;}and{\;}5.69{\pm}0.15^{\circ}C{\;}at{\;}300^{\circ}C$ settin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be relatively kind to the supporting tissues of the root that the root canal is obturated using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at $150^{\circ}C,{\;}200^{\circ}C,{\;}250^{\circ}C{\;}and{\;}300^{\circ}C$ temperature settings on digital temperature display of System B HeatSource.

다양한 치근단공 크기와 근관단면의 형태를 가지는 치아에서 taper의 정도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NAL TAPERING IN TEETH OF VARIOUS APICAL SIZE &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N MICROLEAKAGE)

  • 김정희;이경하;이세준;유미경;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2호
    • /
    • pp.95-101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근단공의 크기가 다양한 치아에서 근단공 확대의 유무에 따른 근관성형시 치아의 미세누출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1근관 치아 60개를 치근첨 상방 5mm에서 절단후 각 치아의 근단공 크기에 따라 큰 근단공 (L) 작은 근단공 (S)으로 나누었다 이 두 군을 치근첨 상방 5mm의 횡단면상 근관의 형태로 원형 (R)과 난형 (O)으로 나누었다(SR, SO, LR, LO). 각 군은 Quantec series Nickel-Titanium (Ni-Ti) rotary file을 이용하여 .02 taper로 성형 후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하였다. 누출은 40 $cmH_2O$ 압력하에 fluid transport method로 측정하였다. 측정 후 누출이 있는 시편은 .04 taper와 .06 taper로 재근관치료 하여 다세 미세누출을 평가하였다. 통계학적으로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2 taper로 성형한 군에서는 근단공의 크기에 따른 미세누출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고 (p < 0.05) .04 taper로 성형한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2.근첨 상방 5 mm에서 근관단면의 형태에 따른 미세누출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 > 0.05). 3. LR group과 LO group에서는 .02 taper로 성형한 군과 .04 taper로 성형한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상악동 골이식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 시 골이식재의 높이 변화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 (A radiographic evaluation of graft height changes afte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and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 김지선;이서경;채경준;정의원;김창성;최성호;조규성;채중규;김종관;방은경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277-286
    • /
    • 2007
  • The edentulous posterior maxilla generally provides a limited amount of bone height because of atrophy of the ridge and pneumatization of the maxillary sinus,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is one of the surgical techniques for reconstruction of the severely resorbed posterior maxil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and the long-term changes of graft height afte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by lateral window approach. From September 1996 to July 2004,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with mixed grafts of autograft, allograft, xenograft and alloplast were performed on 45 patients and 100 implants were placed. We evaluated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and the changes of BL(bone length)/IL(implant length) according to time using panoramic radiographs.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was 91.0% for follow-up period. The mean reduction of graft heights was 0.34mm(3.0%) for 6 months and 1.22mm(1O.66%) for 3 years after augmentation. The total mean BL/IL was $1.34{\pm}0.21$ during 5 year observation period after augmentation and decreased slightly over time. The result means that graft materials were stable above the implant apex. BL/ILs of 1stage proced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1-2 year, 3-4 year after augmentation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ose of 2 stage procedure. The graft materials of both procedures were stable above the implant apex.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f BL/IL were observed in the grafts combined with low amount of autogenous bone or without autogenous bone. The graft materials of both groups were stable above the implant apex.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with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showed predictable clinical results and the grafts combined with low amount of autogenous bone or without autogenous bone had long-term resistance to resorption in maxillary sinus.

하악 제1 대구치 근단부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Y OF THE APICAL ROOT CANAL SYSTEM IN KOREAN MANDIBULAR FIRST MOLAR)

  • 정현;박상진;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37-144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하악 제1 대구치 60개를 대상으로 생리적 근단공의 크기와 형태, 근심 치근의 치근단 3mm에서 isthmus의 발생 빈도와 형태, 그리고 원심 치근의 치근단 3mm의 근관 형태를 입체현미경하에서 60배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근심 치근은 두 개의 근단공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으며(51.67%), 원심 치근은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다(71.66%). 2. 부근단공의 빈도는 근심 치근의 1개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26.07%) 3. 생리적 근단공의 크기는 근심 치근에서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 0.329mm, 근심 협측 근단공은 0.266mm, 근심 설측 근단공은 0.246mm였으며, 원심 치근에서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 0.375mm, 원심 협측 근단공은 0.291mm, 원심 설측 근단공은 0.237mm로 나타났다. 4. 근단공의 형태는 oval 형태 (69.93%)가 가장 많았다. 5.근심 치근의 치근단 3mm에서 isthmus의 발생빈도는 55%였으며, partial isthmus는 31.66%, complete isth-mus는 23.34%로 나타났다. 6.원심 치근의 치근단 3mm의 근관 형태는 oval형태(50.64%)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하악 제1대구치의 성공적인 근관 치료를 위해서는 생리적 근단공의 실제 크기와 형태 및 isthmus의 존재에 대한사전 지식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