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OU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3초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특성 -III. 한국 동해 중부 극전선역에 출현하는 수괴의 화학적 특성-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III.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Central Korean East Sea-)

  • 양한섭;김성수;강창근;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5-192
    • /
    • 1991
  • 동해 중부 극전선역에 있어서 동계와 하계에 각종 수괴의 수직분포특성과 이 수괴들의 화학적성 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계의 경우, 수온약층은 북쪽 바깥 정점들이 남쪽 연안 정점들에 비해 더 깊은 수층에 존재하고, 이 약층의 상부에는 대마난류수가, 하부수층에는 동해고유수가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하계에는 수직적으로 대마난류 표층수, 중층수, 북한한류수 및 동해고유수가 분포하고, 동해고유수는 동계보다 다소 상부수층에 존재한다. 하계에 T-S diagram으로는 북한한류수 계통의 수괴, 대마난류 중층수 및 동해고유수의 혼합수를 구분할 수 없었으나, $T-O_2$ diagram으로는 구분이 가능했다. 한편, 동계 수온과 AOU는 좋은 역의 직선 관계를 보이며, AOU의 수직분포는 생물$\cdot$화학적과정보다는 주로 물리적 혼합과정에 의해 결정됨을 시사한다. 하계에는 대마난류 표층수에서 AOU값이 가장 낮고, 동해고유수에서 가장 높으며, 북한한류수 및 대마난류 중층수의 AOU값은 위 두수괴 사이의 값을 보인다. 그러나, 북한한류수괴의 해수는 대마난류 중층수보다 용존산소 농도가 약 1-2ml/l 높은데도, 이 두수괴의 생물$\cdot$화학적 산소요구량(AOU)은 비슷하였다. 일반외양수의 경우와 같이, 인산소은 AOU와 정의 직선관계이지만, 그 기울기 $(\Delta P/\Delta AOU)$ 값은 외양역의 $1/3\mu g-at/ml$ 보다 다소 작으며, 이는 표충수중 용존산소가 아래충으로 분자확산되어 AOU값이 낮아지기 매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하계 100m 이심충에서는 그 비값이 $l/2.0 \mu g-at/ml$ 으로 훨씬 낮으며, 그 이유는 비교적 낮은 AOU값을 보이는 북한한류계통의 해수가 중층(100-200m)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질산염과 인산소은 동$\cdot$ 하계 모두 전 정점에 대해 상관 계수 r=0.93 이상으로 좋은 정의 직선관계를 보인다.

  • PDF

원문만에서 저산소 수괴의 출현과 계절적 변동 (Occurre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Oxygen-Deficient Watermass in Wonmun Bay)

  • 이필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2-400
    • /
    • 1993
  • 원문만에 대하여 저산소수괴의 출현 및 계절적 변동특성을 구명하고, 하계 저층용존산소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정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1989년 7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약 2년 6개월 동안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산소수괴의 계절적 변동은 매년 그해의 해황변동에 따라 크게 다르며, 1990년과 1991년은 하계 성층의 형성과 더불어 저층에서의 용존산소 저하현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1990년 원문만에서는 대체적으로 봄부터 용존산소의 저하가 시작되어 여름에는 강한 저산소 또는 무산소수괴가 형성되었다가 가을에 회복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2. 저산소수괴의 시공간적 변동은 기온, 일조시간, 강우량, 바람 등에 의한 수직성층의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며, 그 해역에서의 적조발생은 저산소수괴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3. 저층 용존산소 농도가 낮은 시기에는 영양염 농도가 표층에 비하여 저층에서 높은 분포였으며, 저층 산소가 정상적으로 회복된 시기에는 표${\cdot}$저층 영양염 농도가 비슷하거나 오히려 표층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또한, AOU와 인산인과의 상관성으로부터 AOU $4{\sim}5mg/l$ 이하에서의 직선과 AOU $4{\sim}5mg/l$ 이상에서의 급격한 기울기를 가진 2개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4. 1990년 원문만의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 변화 곡선은 $DO(ml/l)=9.99-0.21{\times}(day)+0.0015{\times}(day)^2-0.0000023{\times}(day)^3+{\cdots}{\cdots}$와 같이 나타낼 수 있었고, 산소소비계수 0.0458/day, 산소공급계수 0.0157ml/l/day로서 임계점의 산소농도를 3.52ml/l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공급되어야 할 산소량은 0.141ml/l/day였다.

  • PDF

Reconstruction of a long defect of the median nerve with a free nerve conduit flap

  • Campodonico, Andrea;Pangrazi, Pier Paolo;De Francesco, Francesco;Riccio, Michel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2호
    • /
    • pp.187-193
    • /
    • 2020
  • Upper limb nerve damage is a common condition, and evidence suggests that functional recovery may be limited following peripheral nerve repair in cases of delayed reconstruction or reconstruction of long nerve defects. A 26-year-old man presented with traumatic injury from a wide, blunt wound of the right forearm caused by broken glass, with soft tissue loss, complete transection of the radial and ulnar arteries, and a large median nerve gap. The patient underwent debridement and subsequent surgery with a microsurgical free radial fasciocutaneous flap to provide a direct blood supply to the hand; the cephalic vein within the flap was employed as a venous vascularized chamber to wrap the sural nerve graft and to repair the wide gap (14 cm) in the median nerve.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the patient followed an int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and was monitored for functional performance over 5 years of follow-up. Our assessment demonstrated skin tropism and sufficient muscle power to act against strong resistance (M5) in the muscles previously affected by paralysis, as well as a good localization of stimuli in the median nerve region and an imperfect recovery of two-point discrimination (S3+). We propose a novel and efficient procedure to repair >10-cm peripheral nerve gap injuries related to upper limb trauma.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CIMT using PNF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 방대혁;송명수;조혁신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3호
    • /
    • pp.451-46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with subacute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group using both mCIMT and PNF or a group using mCIMT alone. Each group underwent twenty sessions (1 h/d, 5 d/wk) for 4 weeks. Patients were assessed with the action research arm test (ARAT), the Fugl-Meyer assessment for the upper extremities (FMA-UE),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and motor activity logs (MALs; amount of use [AOU] and quality of movement [QOM]). Results: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tragroup improvement in the ARAT, FMA-UE, MBI, and MAL-AOU (p<0.05). The group using both mCIMT and PNF exhibited greater improvement in the ARAT, FMA-UE, MBI, and MAL-AOU than did the group using mCIMT alone. Statistical analy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AT (p=0.01), FMA-UE (p=0.01), MBI (p=0.00), and MAL-AOU (p=0.01)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applied mCIMT combined with PNF for subacute stroke patients, an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s. Therefore, mCIMT using PNF may be more effective than mCIMT alone in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and ADLs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편마비 환자의 환측 기능회복을 위한 연구 (The study of paralytic side functional recovery on hemiplegia)

  • 김지혁;조영하;김용권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16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functional levels of affected upper extremities after treating hemiplegic patients by applying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CIMT).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0 hemiplegic patients with scores of 25 or more i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transferred to the departments of physical therapy in two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from December, 2001 to march, 2002,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leven subjects with fixing unaffected arms by CIMT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patient group and the other 9 patients to control group without fixing unaffected arms. The function of upper arms for both groups were evaluated by using Actual Amount of Use Test(AAUT) and Motor Active Log(MAL) before and after physical therapy. The malts were as follows: The recovery rates of upper extremity by AOU(Activity of Use) and QOM(Quality of Movement) were 23.9% and 27.3% for CIMT treated group, and by 8.3% and 4.6% for the control group on the average, respectively, in AAUT after physical therap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nd in MAL, the average recovery rates were 27.3% by AOU and 22.6% by QOM for CIMT treated group while 3.1% by both AOU and QOM for the control group,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groups.

  • PDF

북동태평양 KODOS 해역의 유기탄소 및 겉보기산소량 특성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and Apparent Oxygen Utilization in the NE Pacific KODOS Area)

  • 손주원;손승규;김경홍;김기현;박용철;김동화;김태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13
    • /
    • 2005
  • The samples for organic carbon analysis were collected between $5^{\circ}\;and\;17^{\circ}N$ along $131.5^{\circ}W$ in the northeast Pacific KODOS (Korea Deep Ocean Study) area. The mean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TOC) in the surface mixed layer $({\sim}50 m)$ was $100.13{\pm}2.05{\mu}M-C$, while the mean concentration of TOC in the lower 500m of the water column was $50.19{\pm}4.23{\mu}M-C$. A strong linear regression between TOC and temperature $(r^2=0.70)$ showed that TOC distribution was controlled by physical process. Results from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chlorophyll-a and TOC, and between chlorophyll-a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decreasing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in the surface layer caused by non-biological photo-oxidation process. Below the surface layer, biologic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occurred. DOC accumulation dominated in the depth range of $30{\sim}50m$ and DOC consumption occurred in the depth range of $50{\sim}200m$. TOC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apparent oxygen utilization (AOU) and TOC/AOU molar ratios ranged from -0.077 to -0.21. These ratios indicated that TOC oxidation was responsible fur $10.9{\sim}30.1%$ (mean 20.2%) of oxygen consumption in the NE Pacific KODOS area. In the euphotic zone, distributions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were controlled by photo-chemical, chemical, biological and physical processes.

울릉분지 해역 동해 중층수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 the Ulleung Basin)

  • 김경렬;이태식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8-290
    • /
    • 1991
  • 1988년 5월 한바다호를 이용하여 울릉분지 해역의 21개 정점에서 CTD 관측과 동시 에 화학성분들의 개관적 분포 특성을 최대 600 m 깊이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성분들의 대표적 수직분포를 하면, 영양염이 고갈되어 있는 30~40 m 두께의 표면혼합층과 수온 및 염분을 포함한 모든 화학성분들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수온약층, 그리고 거의 특 성이 균일한 수심 약 200 m 이하의 심층으로 구분된다. 북위 37$^{\circ}$ 12'을 동서로 잇는 CTD 관측선상에서 약 190 m 깊이에 동해 중층수의 특징인 염분 최소층이 관측되었으 나, 이층의 용존산소 농도가 230~275 uM로서 기존에 알려진 동해 중층수의 특징인 290 uM (6.5 ml/l) 이상의 용존 산소가 관측되지 않았다. 그러나 겉보기 산소활용 (AOU)과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염분 최소층에서 그 위나 아래 깊이에 비하여 일관성 있게 작은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염분 감소에 따른 겉보기 산소활용 및 제영양염들 의 감소 경향을 통해 중층수의 특징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동해 해수의 새로운 추적 자로서 활용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 PDF

동해 극전선역의 영양염류 순환과정 1. 추계 수괴와 영양염 분포와의 관계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1. Relationships between Water 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Pattern in Autumn)

  • 문창호;양한섭;이광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3-526
    • /
    • 1996
  • 1994년 11월 탐양호를 이용하여 동해 극전선역의 11개 정점에서 CTD 관측과 동시에 화학적 성분들의 개괄적 분포특성을 최대 1,000m 깊이까지 조사하였다.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 등의 수직분포를 보면 정점 C3 및 D5 남쪽으로 $40\~50m$ 두께의 표면 혼합층이 있는 대마난류표층수, 수심 $50\~75m$ 사이의 대마난류 중층수, 200m 수심 부근의 동해중층수, 수심 300m 이하의 동해고유수 그리고 혼합수 등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영양염의 경우 표층에서의 낮은 농도는 수은약층 부근에서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그후 동해 중층수 부근의 수층에서 다소 감소가 있었으며 300m 이심에서는 규산염을 제외하고는 일정하였다. 규산염은 수심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수괴인 동해 고유수에서 Si/P의 비율이 25.16으로 가장 높은 것과도 일치하며 규산염의 재생산 속도가 다른 영양염에 비하여 느림을 보여주고 있다. N/P의 비율이 표층에서 평균 18.56으로 다른 해역에 비하여 매우 높았으며, 이는 밀도약층 부근에서의 질산염 공급이 많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각 정점의 밀도약층에서 계산된 수직확산계수 $(K_z)$$0.66\~1.43$ (평균 1.19)$cm^{2}/sec$, 이에 따른 질산염의 공급량은 $73.38\~138.43$ (평균 103.72) ${\mu}g-at/m^{2}/hr$로서 다른 해역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겉보기 산소이용량 (AOU)은 표층에서 낮았고 저용존산소의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증가하였다가 고용존산소의 동해 중층수에서 다소 감소가 있었으며 그후 수심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인산염과 AOU $({\triangle}P/{\triangle}AOU)$의 기울기는 0.50이였다. 이러한 영양염 분포와 수괴의 관계는 동해 극전선역에서 영양염류의 순환과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할 것이다.

  • PDF

가속도계를 활용한 뇌졸중 환자의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이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상지 기능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ount of Use on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Using an Accelerometer in Stroke Patients on the Upper Limb Function Assessment for Improving Life Care)

  • 곽호성;김선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11-51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측정된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과 상지 기능 간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임상 작업치료를 시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2019년 5월 2일부터 2020년 7월 18일까지 원주시에 위치한 Y병원에 내원해 있는 뇌졸중 환자를 40명을 대상으로 가속도계(Accelerometer), 퍼글 마이어 평가(Fugle-Meyer Assessment: FMA), 운동 활동 척도(Motor Activity Log: MAL), 연세 양손 활동 검사(Yonsei-Bilateral Activity Test: Y-BAT)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건측의 사용량과 FMA, MAL의 사용량(Amount of Use: AOU), 움직임의 질(Quality of Movement: QOM), Y-BAT를 통한 양손 수행의 질과 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환측의 사용량은 FMA, MAL의 AOU, QOM, 양손 수행의 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측정한 환측과 건측의 실제 사용량이 상지기능 평가항목으로써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Effect of Task-Oriented Bilateral Movements on Arm Global Synkinesi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 Kang, Jeongil;Baek, Seungyun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40-2146
    • /
    • 2020
  • Background: Stroke patients exhibit arm global synkinesis (GS), involuntary movement due to muscle weakness and irregular muscle tension. But currently there are few studies examined the effects of GS on activat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e effects of task-oriented bilateral movements, which promote brain plasticity and are based on neurological theory, using the unaffected arm and the affected arm. Design: Quasi-randomized trial. Methods: Twenty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I (n=10) and experimental group II (n=10). Before the intervention, arm GS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the Motor Activity Log evaluat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uses of the affected arm in daily life. The same items were measured four weeks later. Results: The changes in the GS of the arm of experimental group I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bending motions (P<.05).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use (AOU) and the quality of movement (QOM) scores (P<.01). Comparing the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S appeared during bending motions (P<.05), and in the AOU (P<.01) and the QOM scores (P<.05). Conclusion: The intervention in GS reduced the abnormal muscle tension of the affected side by increasing the use of the ipsilateral motor pathway, indicating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s with smooth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mus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