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JCC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7초

골육종의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CXCR4 발현 및 예후로서의 의미 (Differential Expression of CXCR4 in Conventional High-grade and Low-grade Central Osteosarcoma and Its Prognostic Implications)

  • 박혜림;서진원;;;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7
    • /
    • 2012
  • 목적: 케모카인 수용체인 CXCR4는 암에서 발현되며 암의 전이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통상적인 조직학적으로 고등급인 골육종과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에서 CXCR4 발현을 비교하고 CXCR4 발현과 예후 간에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상 및 방법: 총 63명의 골육종 환자에서 CXCR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고 임상적, 병리학적 인자 및 전체적인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CXCR4는 통상적인 고등급(조직학적 등급 3 및 4) 골육종의 76.3%에서 발현된 반면 저등급(조직학적 등급 1 및 2) 중심부 골육종의 36%에서 발현되었다. 또한 고등급 골육종의 47.4%에서 미만성으로 발현된 반면 모든 저등급 골육종은 병소에 국한되어 발현되었다. CXCR4 발현은 조직학적 등급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01). 전체적인 생존률은 CXCR4 발현 증가(p=0.0058), 고등급의 조직학적 등급(p<0.0001), 어린 연령(p=0.0140)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성별, 종양 크기, AJCC 병기와는 연관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결론: CXCR4 발현은 골육종에서 고도의 조직학적 분화도가 나쁜 등급 및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다.

두경부암(頭頸部癌)에서 중성자선(中性子線) 치료(治療)의 효과(?果) (The Effect of Neutron Therapy on Head and Neck Cancer)

  • 유성렬;고경환;조철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38
    • /
    • 1989
  • The result of neutron therapy on head and neck cancer using KCCH -Cyclotron neutron which had been using from October 1986 to September 1989 in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Among the total of 27 patients the cases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were 14 and the cases of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of AJCC stage IV were 13. The local control rate was 80%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and 46.2%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The 2 year survival rate was 60%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and 38.5%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gnosis according to the pathologic types, squamous cell carcinoma revealed a pattern of poor prognosis. The major complication from the neutron therapy had developed 7.1% i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and 23.1%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In conclusion, neutron therapy is superior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and also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when it can avoid to treat some site of low tolerance.

  • PDF

A prediction of overall survival status by deep belief network using Python® package in breast cancer: a nationwide study from 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 Ryu, Dong-Won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5
    • /
    • 2018
  • Breast cancer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cancer related death among women. So prediction of overall survival status is important into decided in adjuvant treatment. Deep belief network is a k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We intended to construct prediction model by deep belief network using associated clinicopathologic factors. 103881 cases were found in the Korean Breast Cancer Registry. After preprocessing of data, a total of 15733 cas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82.4 months. In univariate analysis for overall survival (OS), the patients with advanced AJCC stage showed relatively high HR (HR=1.216 95% CI: 0.011-289.331, p=0.001). Based on results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input variables for learning model included 17 variables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rate. output was presented in one of two states: event or cencored. Individual sensitivity of training set and test set for predicting overall survival status were 89.6% and 91.2% respectively. And specificity of that were 49.4% and 48.9% respectively. So the accuracy of our study for predicting overall survival status was 82.78%. Prediction model based on Deep belief network appears to be effective in predicting overall survival status and, in particular,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decide on adjuvant treatment after surgical treatment.

전산화 단층 촬영상에 의한 상악동 악성종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MALIGNANT TUMORS OF THE MAXILLARY SINUS BY COMPUTED TOMOGRAPHY)

  • 단정배;박태원
    • 치과방사선
    • /
    • 제19권1호
    • /
    • pp.137-147
    • /
    • 1989
  • CT findings of proven 25 malignant tumors of the maxillary sinu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 be of help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The results were follows: 1. Average age was 54 years old, and eighteen were males and seven were females with a ratio of 2.6:1 2.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featur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19 cases) and others were two case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ne case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mucoepidermoid tumor, histiocytic lymphoma, unidentified malignant tumor. 3. CT findings were sinus opacificaqtion (4%), soft tissue mass (92%), low densities within soft tissue mass (44.%), air densities within soft tissue mass (24%), osteosclerosis (4%), bone destruction (92%), bone displacement (32%), fat plane obliteration (76%). 4. CT in the malignant maxillary sinus tumors approved the value in evaluation of tumor extension to nasal cavity, ethmoid sinus, orbit, infratemporal fossa, pterygopalatine fossa, pterygoid fossa, pterygoid muscle, cheek skin and intracranial cavity. 5. Twenty four cases (96%) were stage Ⅲ, stage Ⅳ according to AJCC TNM classification. 6. Bone findings were destruction, displacement, sclerosis and most frequent site of bone destruction was the medial wall of the antrum(92%). 7. Tumor growth pattern showed destructive pattern in 18 cases(72%), and squamous cell carcinoma showed destructive pattern. (P<0.05)

  • PDF

진행성 두경부암에서 선행항암요법과 방사선요법의 치료성적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 Protocol Based Study)

  • 김철호;최진혁;이진석;오영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2-176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Standard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laryngeal, hypopharyngeal, and some oropharyngeal cancers includes total laryngectomy. In an attempt to preserve the larynx through induction chemotherapy, we designed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definitive radiation in patients with potentially respectable head and neck cancer to determine whether organ preservation is feasible without apparent compromise of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The twenty-six patients diagnosed advanced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Stage III or IV (AJCC 2002) and performed organ preservation protocols in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1994 to 200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Neoadjuvant chemotherapy showed an overall response rate of 84.6% and a complete remission (CR) rate was 59.1% following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Seven of thirteen patients were able to preserve their larynges for more than two years b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e were no treatment related mortality after 2 cycles of induction chemotherapy. Conclusion: Although Organ preservation protocol through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need more controlled randomized study, it was considered alternative treatment modality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Melanoma Incidence Mortality Rates and Clinico-Pathological Types in the Siberian Area of the Russian Federation

  • Gyrylova, Svetlana Nikolaevna;Aksenenko, Mariya Borisovna;Gavrilyuk, Dmitriy Vladimirovich;Palkina, Nadezda Vladimirovna;Dyhno, Yuriy Alexandrovich;Ruksha, Tatiana Gennadievna;Artyukhov, Ivan Pavlovic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201-2204
    • /
    • 2014
  • Russian rates for melanoma incidence and mortality are relatively low as compared to some other white populations but the tumor is of increasing importance. In this paper, data are based on a retrospective descriptive analysis of melanoma epidemiology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Krasnoyarsk Territory belonging to the Siberian Federal District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age-adjusted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for the period 1996-2009 were determined with subsequent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opathological data of 103 primary melanoma cases. Our results showed that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in the region under consideration match the Russian national trends and correspond to epidemiological data of the countries of Eastern Europe. Stratification of melanoma cases by age, sex, clinicopathological state and localization revealed a prevalence of lesions on the trunk and lower extremities. Most melanomas diagnosed were of superficial spreading type and the third Clark's level of tumor invasion and stage II according to AJCC. In spite of comparatively low r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the trend to increase of melanoma cases in the region under consideration obviously calls for more attention and further investigation.

이하선의 상피-근상피 암종 1례와 국내에 보고된 33건의 증례 분석 (A Case of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of Parotid Gland and Analysis of 33 Cases Reported in Korea)

  • 김지원;김민수;김보성;김성동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61-65
    • /
    • 2021
  •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is rare, low-grade malignant neoplasm that compromises approximately 1% of all salivary gland neoplasms. We reported a 68-year-old woman with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in the parotid gland. We analyzed demographic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ivary gland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which has been reported in 33 cases in Korea from 1992 to 2017, and compared this result to overseas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erms of mean age at diagnosis, the predominance of females, low frequency in regional lymph nodes, and distant metastasi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 classification and AJCC stage at diagnosis in domestic cases are more advanced than those of overseas cases. Although the recurrence rate in domestic cases has been reported lower than that of overseas, further study may be needed considering that the follow-up period after treatment is short in domestic cases.

다중 모드 데이터를 사용한 폐암 생존분석 검토 (Review of Lung Cancer Survival Analysis with Multimodal Data)

  • 최철웅;김현지;심은석;임아연;이윤준;정선주;김경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84-787
    • /
    • 2020
  • 폐암 환자의 생존율을 예측할 때 미국암연합회(AJCC)의 TNM병기 분류체계에 의해 진단되는 최종병기를 많이 사용한다. 최종병기는 폐암환자의 임상데이터 중 하나로 종양의 위치, 크기, 전이정도를 고려하여 환자의 폐암 상태를 판별하는 정보이다. 최종병기는 개략적인 환자의 상황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보다 구체적인 생존분석을 위해서는 임상데이터 뿐만 아니라 PET/CT와 같은 영상 데이터를 함께 분석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과학적 접근을 통해 폐암환자의 임상데이터, CT영상과 PET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는 생존분석기법을 검토한다. 실험을 통해 다중 모드 데이터를 활용하는 생존분석을 위해 비선형모델 개발과 Feature임베딩 기법 고도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The 1998, 1999 Patterns of Care Study for Breast Irradiation after Mastectomy in Korea)

  • 금기창;심수정;이익재;박원;이상욱;신현수;정은지;지의규;김일한;오도훈;하성환;이형식;안성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7-15
    • /
    • 2007
  • 목 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 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 PCS)를 계획하였다. 그 두 번째 단계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에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임의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49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 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등 9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7개 병원에서 입력된 28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은 $20{\sim}81$세(중앙값 44세)였다. 환자의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6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 9.7%, T2: 59.2%, T3: 25.6%, T4: 5.2%이었으며 T0가 1예 있었다. 액와림프절 곽청술에서 떼어낸 림프절이 10개 미만인 환자가 10.5%, 10개 이상인 환자가 86.7%이었으며 7.3%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었고,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4%, $4{\sim}9$개가 38.8%,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38.5%였다. 따라서 병기 I기: 0.7%, IIa기: 3.8%, IIb기: 9.8%, IIIa기: 43.0%, IIIb기: 2.8%, IIIc기: 38.5%이었다.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시기에 따라서는 수술 후에 항암약물치료를 마치고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가 47.9%로 가장 많았고, 수술 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에 다시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35.0%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수술 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그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도 12.5%였다. 방사선치료 범위는 전체의 5.6%가 흉벽만 치료받았고 20.3%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27.6%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25.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19.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시행하였다. 2예(0.7%)에서는 내유방림프절만 치료하였다. 흉벽의 방사선치료 방법에 있어서는 57.3%에서 양쪽 접선조사를 사용하였고, 42%에서는 전자선으로 치료하였다. 양쪽 접선조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54.8%에서 조직보상체를 사용하였고, 전자선으로 치료한 경우는 52.5%에서 사용하였으며 흉벽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91.3%에서 $45{\sim}50.4\;Gy$이었으며, 5.9%에서 그 이상이 2.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쇄골상 림프절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89.5%에서 $45{\sim}50.4\;Gy$이었으며, 2.4%에서 그 이상이 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결 론: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치료와는 달리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는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성적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방사선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전절제술의 치료결과 및 실패양상 비교 (Breast Conservation Therapy Versus Mastectomy - Preliminary Results of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in Early Breast Cancer)

  • 김연실;윤세철;정수미;유미령;정상설;최일봉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15-123
    • /
    • 2004
  • 목적 :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유방보존수술+방사선치료) 혹은 유방전절제술로 치료했던 환자의 초기 치료성적과 실패양상을 비교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AJCC병기 I, II로 치료를 받았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8명은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85명은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50 Gy 전 유방조사 후 원발부위에 10$\~$15 Gy 추가 조사하였다. 유방보존치료 환자의 34.1%$\%$ 유방전절제 환자의 45.5$\%$에서 항암화학요법이 병용되었다 양 치료군의 5년생존율과 5년무병생존율, 실패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치료실패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앙 추적기간은 63개월이 었다. 결과 : 양 치료군 간에 5년생존율, 5년무병생존율의 유의한 차이(p>0.05)는 없었으며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의 치료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다. 추적기간 중, 유방전절제군에서 11명(12.5$\%$) 유방보존치료군에서 10명(11.8$\%$) 재발하였다. 초기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각각 6명, 5명이었고 원격전이가 각각 5명, 4명으로 차이가 없었다. 국소재발 단독의 경우 양 치료군에서 구제치료 후 대부분의 환자가 무병생존 (5/6 유방전절제술, 3/5 유방보존치료)하였다 그러나 원격전이 환자의 경우 양 치료군 모두에서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구제치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가 진행 혹은 사망하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의 1명의 환자만이 원격전이 후 구제치료에 성공하여 무병생존하였다. 양 치료군 간에 반대편유방암 발생률 및 다른 장기의 2차 원발암 발생률의 차이는 없었고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차이가 없었다. Log-rank 단변량분석에서 치료 실패와 관련된 유의한 위험인자는 양 군 모두에서 N 병기, 액와 림프절 전이 숫자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에서는 수술절연침범유무가, 유방전절제군에서는 high nuclear grade가 치료실패와 관련된 위험인자였다(p<0.05). 결론 : 분석결과 AJCC 병기I, II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전절제술은 생존율뿐 아니라 치료 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장기간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