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모델

검색결과 2,268건 처리시간 0.024초

다양한 매질내의 손실특성 개선을 위한 크로스바 구조의 대칭 결합선로에 대한 해석 (Analysis of Symmetric Coupled Line with Crossbar Embedded Structure for Improve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n the Various Lossy Media)

  • 김윤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8호
    • /
    • pp.61-67
    • /
    • 2010
  • 일반적으로 MIS(도체-부도체-반도체)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대칭 결합선로에 대한 해석 절차는 모드(even and odd) 해석에 기초한 특성임피던스와 전파상수를 추출함으로서 단층의 결합선로 해석 절차와 동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손실매질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스트립선로의 손실특성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MIS 구조로 된 전송선로의 Si와 SiO2층 사이에 0전위를 가진 도체를 일정한 간격의 주기적인 배열로 고안된 새로운 모델의 MIS구조에 대한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해석방법이 사용된다. 특히 전송선로에 대한 유전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0전위를 가진 주기적인 결합의 도체로 이루어진 구조가 시간영역의 신호를 통해 시험된다. 다양한 손실률을 가진 불완전 유전체에 따른 주파수 의존적인 추출된 전송선로 파라미터와 등가회로 파라미터가 주파수 함수로서 나타내진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구조의 불완전 유전체에 대한 전송선로 파라미터가 주파수 함수로 구해진다.

제어 방식에 따른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시뮬레이션 (Performance Simulation of Geothermal Heat Pump (GHP) System with Different Control Schemes)

  • 이두영;최재호;민경천;손병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4권1호
    • /
    • pp.35-41
    • /
    • 2016
  •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히트펌프 등 시스템 구성 요소의 에너지 소비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 냉난방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외기온도 제어 방식이 지열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현재 국내에서 주로 적용하는 제어 방식(Control-A)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TRNSYS 17)를 이용하여 가상 지열 시스템의 모델을 구축한 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외기 온도 제어 방식(Control-B)은 버퍼 탱크의 온도를 외기 온도에 따라 제어하기 때문에, 간절기 때 효과적이었다. 기존 제어 방식과 비교했을 때, 외기 온도 제어 방식은 히트펌프 전력 소비량을 7.7%(147 kWh 절감) 그리고 순환펌프 전력 소비량을 7.5%(28.1 kWh 절감) 줄일 수 있었다.

유기랭킨사이클용 소형 스크롤 팽창기 제작 및 성능 특성 연구 (Fabrication and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Scroll Expander for Organic Rankine Cycle)

  • 백승동;성태홍;이민석;김경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무급유식 스크롤 압축기를 개조하여 유기랭킨사이클(ORC)용 소형의 스크롤 팽창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팽창기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태로 총 체적은 $0.0394m^3$이며, 성능특성 연구를 위해 작동유체로 R245fa를 사용하는 ORC 사이클을 구축하고, 다양한 팽창기 입구압력 및 회전속도 조건에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성능시험에서 획득한 열역학적 물성값을 스크롤 팽창기의 semi-empirical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해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열역학적 분석을 통해 계산한 실험값과 시뮬레이션값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품질확보를 위한 평면도 측정기 개발 (Development of Ground Plan a Measuring Instrument for Quality Assurance)

  • 민병로;김덕기;전유태;정준희;이환;유수호;차산이;이대원;오세부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51-151
    • /
    • 2017
  • 본 연구는 인력을 이용한 품질검사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에서 불량 및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으로 평면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설계는 Auto CAD를 이용하였다. 평면도 측정기의 크기는 가로${\times}$세로${\times}$높이를 $1000{\times}600{\times}1800mm$로 하였다. 프레임은 $60{\times}60$ 프로파일을 이용하였고 다른 구성 부품은 SUS304 재질을 이용하였다. 측정대상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녹색 버튼을 누루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림 8은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기는 국내업체인 데바의 모델명 EA-20N의 Air Micrometer을 사용하였으며 측정핀의 위치는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평면도 측정 중 설정치수와 같이 않으면 NG 명령과 함께 부저가 울리도록 프로그램하였다. 불량이 발생하면 그림 8과 같이 나타났다. 불량 측정을 위해 측정부의 결과 값이 나타나며 불량이 발생하면 어느 위치에서 불량이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결과 값은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품질확보를 위해 100EA를 측정한 결과 0.00258, 0.00259, 0.00259, 0.00263, 0.00251, 0.00286, 0.00275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측정값의 검증은 하이트게이지로 측정한 결과 0.002 이내의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평면도 측정기를 이용한다면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여 가격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MIRD 인형팬텀의 넓고 평행한 감마선빔에 대한 선량 환산계수 계산 (Calculation of Dose Conversion Coefficients in the Anthropomorphic MIRD Phantom in Broad Unidirectional Beams of Monoenergetic Photons)

  • 장재권;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47-58
    • /
    • 1997
  • MCNP4A 코드를 이용하여 MIRD 인형팬텀의 정면과 후방에서 입사하는 넓고 평행한 감마선빔에 대한 단위 공기커마당 유효선량 환산계수와 단위 플르언스당 장기의 등가선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감마선은 0.03-10 MeV 에너지 구간에서 20개의 단일에너지에 대해 수행되었다. 환산계수의 계산결과를 ICRP/ICRU의 연구결과 발표예정 출판물에 주어진 해당되는 값과 비교한 결과 편차 10%이내에서 일치하고 있다. 결과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MIRD 팬텀과 ADAM/EVE 팬텀의 기하학적 차이가 주원인이며 또한 계산에 사용된 전산코드와 단면적 차이 등으로 판단된다. 특정 식도 모델을 사용한 결과로부터 얻어진 유효선량과 흉선과 췌장에 대한 등가선량을 채택함으로써 얻어지는 유효선량은 약간(최고 5%)의 차이를 보인다. 기타장기로부터 상부대장을 제외했을 때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감마선 선량학적 측면의 경우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회전헤드에 대한 주행테이프의 부상특성 (II) -실험해석- (Flying Characteristics of Running Tape above Rotating Head (II) -Experimental Analysis-)

  • 민옥기;김수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07-11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테이프의 미소한 수직 변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이에 대한 계측 이론 및 계측방법을 정립한다. 회전 헤드와 주행 테이프를 구동할 수 있는 실 험 장치를 개발하고 주행 테이프의 변형을 정밀 계측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을 구성한 다. 이러한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속이면서 미소한 주행 테이프의 변형에 대해 비접촉적인 방법으로 3차원 계측을 실시한다. 헤드의 형상 및 크기가 다른 모델들을 설계 및 가공을 통해 제작하여 주행 테이프의 부상 특성을 평가한다. 주행 테이프의 부상 특성에 관한 수치 해석 결과에 대하여 실제와의 부합 여부를 검토할 수 있도록 실험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비접촉 측정 시스템으로 계측한 테이프의 3차 원 변형에 대한 실험 결과와 수치 해석 결과를 비교 검토한다.

직접분사엔진의 분사압력 변화에 따른 유동장 및 분무특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Injection Pressure Effect on the Flow Fields and the Spray Characteristics in Direct Injection Engine)

  • 양희천;정연태;유홍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9호
    • /
    • pp.2339-2358
    • /
    • 1993
  • Since the rate and completeness of combustion in direct injection engines were controlled by the characteristics of gas flow fields and sprays, an understanding of those was essential to the design of the direct injection engines. In this study the numerical simulations of injection pressure effects on the characteristics of gas flow fields and sprays were preformed using the spray model that could predict the interactions between gas fields and spray droplets. The governing equations were discretized by the finite volume method and the modified k-.epsilon. model which included the compressibility effects due to the compression/expansion of piston was used.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calculation of the spray characteristics in the quiescent environment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re were good agreements between the results of calculation and the experimental data, except in the early stages of the spray. In the motoring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 substantial air entrainment into the spray volume was emerged and hence the squish motion was relatively unimportant during the fuel injection periods. It was found that as the injection pressure increased, the evaporation rate of droplets was decreased due to the narrow width of spray and the increased number of droplets impinged on the bottom of the piston bowl.

선박용 2행정 디젤기관의 성능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imulation Program of Two-Stroke Marine Diesel Engines)

  • 최재성;정찬호;조권회;이진욱;하태범;김형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62-68
    • /
    • 2010
  • 대기오염 및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디젤기관의 친환경, 고효율에 대한 요구가 선박기관에도 강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새로운 기술들이 연구, 적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주로 신조선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선박은 건조된 후 비교적 장기간 이용되기 때문에 이미 운항중인 현존선에 대하여도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는 주로 엔진성능의 개선에 관한 연구가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선박용 2행정 디젤기관의 성능을 시뮬레이션 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결과를 보고한다. 현존선의 엔진성능은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화되어 가기 때문에 엔진의 열화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이다. 예측결과는 엔진메이커에서 사용하고 있는 TOP-CODE 프로그램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양호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박 전원용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시스템의 스택 공급 가스의 열관리 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Management of Stack Supply Gas of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for Ship Applications)

  • 박상균;김만응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765-77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선박 전원용 SOFC 시스템에 대한 HIL(Hardware-In-the-Loop)을 구축하기 위하여 실시간 코드 생성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 모델을 개발을 하였다. 또한, 메탄을 연료로 사용한 내부개질형 500kW급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애노드와 캐소드 공급가스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료전지 스택 배기가스의 유량 분배, 연료 및 공기 공급 유량, 공급 공기 온도의 영향이 애노드 및 캐소드 공급 가스의 온도 특성과 연료전지 스택 출력 및 시스템 효율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터빈 출구에 위치한 3-Way 밸브의 위치가 0.839에서 애노드와 캐소드 공급 가스 온도가 약 830K에서 동일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애노드와 캐소드 공급 가스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 및 시스템 효율을 충분히 고려하여 메탄 공급 유량을 최적화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가연성 기체 혼합물에서 복잡한 구조에 따른 화염 가속 모델링 (Modeling of Flame Acceleration Considering Complex Confinement Effects in Combustible Gas Mixture)

  • 곽민철;여재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3호
    • /
    • pp.315-324
    • /
    • 2012
  • 본 연구는 가연성 기체로서 에틸렌-공기 혼합물로 채워져 있는 관에서 장애물과 굽은 관에 의한 지형적 효과에 따라 변화하는 충격파와 화염의 상호 작용, 화염 가속, 연소폭발천이 현상을 수치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델은 지배방정식으로 Navier-Stokes 방정식과 경계조건 처리 방법으로 ghost fluid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지형적 영향을 달리한 여러 모델링을 통하여 화염과 강한 충격파의 충돌에 의한 열점 생성과 화염 전파의 지연 혹은 가속 현상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평균 화학적 에너지 발생률이 대략 20 MJ/($g{\bullet}s$)에서 폭굉으로 천이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동일 위치 열점 생성에도 불구하고 폭굉의 발생 시기가 반응물의 부재와 화염면 전방의 온도와 압력 차에 의해 지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