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B smear-positiv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객담 도말 양성 환자에서 폐결핵과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구별을 위한 결핵균 PCR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PCR Test for M. tuberculosis for the Differentiation of Pulmonary Tuberculosis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in Patients with Smear-Positive Sputum)

  • 유창민;고원중;류연주;전경만;최재철;강은해;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장호;기창석;이남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528-534
    • /
    • 2004
  • 배 경 : 객담 항산균 도말 검사는 저렴하고 간편한 검사이며, 검사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결핵균과 NTM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외국에서는 도말 양성 환자에서 폐결핵과 NTM 폐질환을 구별하기 위하여 TB-PCR 검사가 권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객담 도말 양성 환자에서 객담 또는 기관지 세척액의 TB-PCR 검사가 폐결핵과 NTM 감염의 감별 진단에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진단검사의학과 임상미생물검사실로 항산균 도말 및 배양검사가 의뢰된 객담 검체 중 도말과 배양이 모두 양성인 826건의 객담 검체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이 검체가 분리된 환자 299명의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결핵균이 분리된 객담은 606건(73.4%)이었고 NTM이 분리된 객담은 220건(26.6%)이었다. 299명의 환자 중 결핵균이 분리된 폐결핵 환자는 229명(76.6%)이었고, NTM이 분리된 환자는 70명(23.4%)이었으며 모두 임상적 의의가 있는 NTM 폐질환 환자였으며, 원인균은 M. avium complex 38명(54.3%), M. abscessus 26명(37.1%), 기타 6명 등이었다. 폐결핵 환자 229명 중 112명(48.9%)와 NTM 폐질환 환자 70명 중 51명 (72.9%)에서 객담 또는 기관지 세척액을 이용한 TB-PCR 검사가 시행되었다. 검사를 시행한 폐결핵 환자 112명 중 99명(88.4%)에서 TB-PCR 검사가 양성을 보였고, NTM 폐질환 환자는 모두 음성을 보였다 (p<0.001). 객담 도말 양성 환자에서 객담 또는 기관지 세척액의 TB-PCR 검사 양성 반응이 폐결핵을 예측하는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8.4%(99/112)와 100%(51/51)였고, 양성 예측치는 100%(99/99) 그리고 음성 예측치는 79.7%(51/64)였다. 결 론 : 객담 항산균 도말 양성을 보이는 환자에서 객담 또는 기관지 세척액 TB-PCR 검사는 국내에서도 폐결핵과 NTM 폐질환을 구별하는데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객담 결핵균 도말검사가 음성일때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와 진단적 신뢰도에 관한 연구 (How Reliable is Sputum PCR Test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When Sputum Smear is Negative?)

  • 백승훈;이재명;강민종;손지웅;이승준;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이경화;조현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222-228
    • /
    • 2001
  • 목 적 : 객담 항산균 도말 양성환자에서 direct amplification test (DAT) 양성이면 폐결핵으로 확진이 가능하다. 그러나 객담 항산균 도말음성이고 DAT는 양성인 경우에는 DAT 결과가 얼마나 신뢰성이 있는지 의문이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객담 항산균 도말 음성이고 DAT 양성일 때 폐결핵진단에 있어서 DAT의 유용성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6월1일부터 1999년 5월30일 까지 한림대학교 의료원에서 폐결핵이 의심되어 결핵균 항산균 도말, 배양검사 및 DAT를 시행한 9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활동성 폐결핵의 확진은 결핵균 배양 양성이거나 조직학적으로 건락성 육아종이 증명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임상적 폐결핵의 진단 조건은 방사선 소견상 결핵성 폐침윤이 의심되고 폐렴, 폐암 등이 배제된 환자로 결핵균 배양은 음성이나, 항결핵제 3개월 이상 투여 후 증상 및 방사선 소견상 호전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DAT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에 특징적으로 존재 하는 insertion sequence (IS6110)의 특정 부위만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TB-$CRkit^{TM}$(한국생공, 대전)를 이용하였으며, 특이도를 높이기 위해 nested PCR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909 명 중 객담 항산균 도말검사는 335명에서 양성(36.6%)이었으며, 객담 결핵균 PCR이 374명에서 양성(41.1%)으로 판명되었다. 객담 항산균 도말 음성이면서 객담 결핵 PCR 양성인 환자는 39명(4.3%)으로 남자 22명, 여자 17명 이었다. 객담 결핵 PCR 양성인 환자 39 명중 32명에서 폐결핵으로 진단되었다. DAT는 확진된 결핵환자만을 대상으로 할 때 61.5%의 양성 예측율을, 확진된 폐결핵 환자와 임상적으로 진단된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할 때 82.1% 양성 예측율을 나타냈었고 위양성율은 18.0%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임상적으로 폐결핵이 의심되는 객담 항산균 도말 음성인 환자에서 객담 DAT 양성일 때 폐결핵의 조기 진단에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비결핵성 항산균증과 유사한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 Segniliparus rugosus가 동정된 첫 증례 (First Isolation of Segniliparus rugosus from a Patient with Radiologic Features Similar to Non-Tuberculous Mycobacteriosis)

  • 최선미;강효재;정윤정;임주현;최원석;황상현;박진경;황보빈;이희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1호
    • /
    • pp.82-87
    • /
    • 2012
  • In 2005, a group of mycolic acid-containing bacteria was characterized as belonging to a novel genus, Segniliparus with species Segniliparus rugosus and S. rotundus. We report a case of the S. rugosus isolated from a 54-year-old woman with radiologic features mimicking that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osis (NTM). When the patient first visited our hospital, an acid-fast bacteria (AFB) smear tested positive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polymerase chain reaction (TB PCR) was negative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sample. After 2 months, the growing colonies were reported as NTM, but could not be identified because they had died. One year after the initial visit, induced sputum samples showed the same results, positive AFB smear and negative TB PCR. At this point, the growing colonies were identified as S. rugosu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Segniliparus genus as a differential diagnosis for AFB in respiratory specimens in addition to the genus Mycobacterium.

활동성 폐결핵의 HRCT 소견 : 객담 도말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비교 (High-Resolution CT Findings of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 Different Features Between AFB Stain Positive and Negative Group)

  • 안전옥;윤보라;정진영;김유경;백만순;김기업;나문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709-719
    • /
    • 2000
  • 연구배경 : 폐결핵의의 활동성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객담검사에 더불어 HRCT가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객담 도말 및 배양검사의 결과와 HRCT 소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3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을지대학병원 호흡기내과에 내원한 활동성 폐결핵 환자를 대장으로 객담도말 및 배양검사와 HRCT를 시행하여 객담검사 결과에 따라 1군(도말(-)배양(-)군), 2군(도말(-)배양(+)군), 3군(도말(+),배양(+)군)으로 분류 하였고, 각 군에서의 HRCT소견을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도말(+),배양(+)인 3군에서는 acinar nodule, macronodule, cavity가 각각 100%. 75%, 75%로서 도말(-)배양(-)인 1군(63%, 18%, 9%)과 도말(-)배양(+)인 2군(46%, 15%, 23%)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p<0.05). centrilobular nodule and branching structure는 3군(92%)이 1군(54%) 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나(p<0.05), 2군(77%)과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객담 항상균 도말 양성군은 음성군에 비해 acinar nodule(100% vs 54%), macronodule(75% vs 17%), cavity(75% vs 1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p<0.05). 결핵균 배양 양성군은 음성군에 비해서 acinar nodule(72% vs 45%), cavity(48% vs 9%)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p<0.05). 결론 : 임상증상과 흉부 X-선으로 활동성 폐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HRCT는 활동성 판정에 도움이 되며, centrilobular nodule and branching structure, acinar nodule, macronodule, cavity등의 소견은 객담 도말 검사상 음성이라도 항결핵제 투여와 함께 균 동정을 위한 유도객담 및 기관지경 검사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creasing Trend of Isolation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 Yoo, Jung-Wan;Jo, Kyung-Wook;Kim, Mi-Na;Lee, Sang-Do;Kim, Woo-Sung;Kim, Dong-Soon;Shim, Tae-S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5호
    • /
    • pp.409-415
    • /
    • 2012
  • Background: The isolation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has been increasing in South Korea. To date, however, the cause of this increase has not been determined, and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e use of liquid media has contributed to this incr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NTM isolation and the impact of liquid media on NTM culture. Methods: Mycobacterial smear/culture results of respiratory specimens (sputum and bronchial aspirates), obtained during the years 2002, 2005, and 2010, were retriev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During the years 2002, 2005, and 2010, 83,096 sputum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31,104 patients, and were cultured for mycobacteria, using solid media only in the 2002 and 2005 specimens and both solid and liquid media in the 2010. Of these, 3,516 (4.2%) specimens were smear-positive for acid-fast bacilli (AFB). The annual rate of NTM among positive culture specimens increased from 21% in 2002 to 57.8% in 2010 (p<0.001), as did the proportion of NTM, among AFB smear- and culture-positive specimens, from 12.2% in 2002 to 45.2% in 2010 (p<0.001). In 2010, the NTM culture rate was higher in the liquid than in the solid media (13.9% vs. 8.4%, p<0.001). The NTM rate among AFB-positive specimens was higher in patients aged >50 than ${\leq}$50 years. Conclusion: The rate of NTM isolation has steadily been increasing at the hospital in South Korea, likely due in part to the use of liquid media for the culture.

임상검체별 결핵균 검출을 위한 자동화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Automated PCR Test for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Clinical Samples)

  • 최우순;신소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2-1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automated TB-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The 807 cases were analyzed with their TB-PCR, AFB smear and culture in bronchial washing fluids, sputum and body fluids samples. The TB-PCR positive of the bronchial washing fluid, sputum and body fluids were 11.3%, 7.3% and 3.6%, respectively, in cases of AFB smear-negative and culture-negative. The sensitivity values of the bronchial washing fluid, sputum and body fluids were 93.3%, 100% and 5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ulture result. The sensitivity of body fluids was lower than that of the bronchial washing fluid and sputum. The specificity values of the bronchial washing fluid, sputum and body fluids were 83.3%, 89.0% and 95.7%,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ulture result. In conclusion, the automated TB-PCR assay proved to be a useful method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the bronchial washing fluid and sputum. But we think that there is still a need for us to study body fluids further.

  • PDF

A Simple, Single Triplex PCR of IS6110, IS1081, and 23S Ribosomal DNA Targets, Developed for Rapid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of Mycobacterium from Clinical Samples

  • Nghiem, Minh Ngoc;Nguyen, Bac Van;Nguyen, Son Thai;Vo, Thuy Thi Bich;Nong, Hai V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5호
    • /
    • pp.745-752
    • /
    • 2015
  • Tuberculosis (TB) is the most common mycobacterial infe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requiring a rapid, accurate, and well-differentiated detection/diagnosis. For the rapid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TC) from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a novel, simple, and primer-combined single-step multiplex PCR using three primer pairs (6110F-6110R, 1081F-1081R, and 23SF-23SR; annealing on each of IS6110, IS1081, and 23S rDNA targets), hereafter referred to as a triplex PCR, has been developed and evaluated. The expected product for IS6110 is 416 bp, for IS1081 is 300 bp, and for 23S rDNA is 206 bp by single PCR, which was used to verify the specificity of primers and the identity of MTC using DNA extracted from the M. tuberculosis H37Rv reference strain (ATCC, USA) and other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OTT) templates. The triplex PCR assay showed 100% specificity and 96% sensitivity; the limit of detection for mycobacteria was ~100 fg; and it failed to amplify any target from DNA of MOTT (50 samples tested). Of 307 blinded clinical samples, overall 205 positive M. tuberculosis samples were detected by single PCR, 142 by conventional culture, and 90 by AFB smear methods. Remarkably, the triplex PCR could subsequently detect 55 positive M. tuberculosis from 165 culture-negative and 115 from 217 AFB smear-negative samples. The triplex PCR, targeting three regions in the M. tuberculosis genome, has proved to be an efficient tool for increasing positive detection/discrimination of this bacterium from clinical samples.

객담 전처리 방법에 따른 객담 항산균 도말 및 배양 양성률 비교연구 (Comparison of Smear and Culture Positivity using NaOH Method and NALC-NaOH Method for Sputum Treatment)

  • 강형석;성낙문;이선숙;김도형;전두수;황수희;민진홍;김진희;원영섭;박승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5호
    • /
    • pp.379-384
    • /
    • 2008
  • 연구배경: NaOH (sodium hydroxide) 기법을 이용한 전처리 객담과 NALC-NaOH (N-acetyl-L-cysteine-sodiumhydroxide) 기법을 이용한 객담의 항산균 도말 및 결핵균배양 양성률 그리고 배지 오염률을 비교하여 실험실 검사과정 중의 일부분을 개선함으로써 검사 결과의 개선이 가능한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6월부터 2008년 6월까지 국립마산병원에서 객담 검사가 시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에게서 객담배출 요령을 충분히 교육한 후 두개의 객담 검체를 채취하여 통상적인 NaOH 기법과 NALC-NaOH 기법을 각각 적용한 후 도말 및 배양 결과 그리고 배지 오염률을 비교하였다(n=436). 결 과: 항산균 도말 검사에서는 NaOH 기법에 비하여 NALC-NaOH 기법이 다소 높은 양성률(33.0% vs. 39.0%)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78). 결핵균배양 검사에서는 배지 오염률(culture contamination)은 각각 3.2%와 3.0%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배양양성률은 NALC-NaOH 기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배양 양성률(39.7% vs. 28.0%, p=0.0003)을 보였으며, 배양 결과를 도말 검사 결과와 연관 지어 분석하였을 때 도말 검사상 음성인 경우 NaOH 기법과 NALC-NaOH 기법은 각각 7.2%와 15.8% (p=0.0017), scanty를 보인 객담의 경우 각각 42.9%와 60.8% (p=0.036)의 배양 양성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 론: 도말 검사에서 음성이나 scanty를 보여 상대적으로 결핵균의 수가 적은 객담의 경우 NALC-NaOH를 이용함으로써 배양 양성률을 개선 시킬 수 있었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폐결핵의 진단과 치료 경과 관찰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ssociation of Serum Vitamin D Levels with Bacterial Load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 Yuvaraj, B.;Sridhar, M.G.;Kumar, S. Vinod;Kadhiravan, T.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9권3호
    • /
    • pp.153-157
    • /
    • 2016
  • Background: Vitamin D is known to have diverse effects on various systems in the body.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a link exists between the serum vitamin D status and tuberculosi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alterations in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in newly diagnosed sputum acid fast bacilli (AFB) positive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nd to study the association, if any,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different levels of sputum smear positivity. Methods: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were estimated in 65 sputum AFB positive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nd 65 age and gender-matched healthy controls. Results: The levels of serum 25 hydroxy-vitamin D in tuberculosis patien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levels of serum 25 hydroxy-vitamin D in healthy controls. However, among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erum 25 hydroxy-vitamin D and levels of sputum positivity. Conclusion: Serum vitamin D levels negatively correlates with bacterial load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폐결핵 재치료에서 Ofloxacin, Prothionamide, Cycloserine, Streptomycin(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4제요법의 임상 효과 (A Clinical Effect of Ofloxacin, Prothionamide, Cycloserine Streptomycin(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in Re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 송주영;유민규;홍재락;정재만;김영준;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295-301
    • /
    • 1995
  •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 1979년까지의 초치료는 INH + SM + PAS(또는 EMB)의 18개월 요법이 표준처방으로 이용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서 INH + EMB + RFP의 9개월 요법을 설시하다가 INH + RFP + PZA + EMB(또는 SM)의 6개월 표준 단기요법이 정착되었다. 그후 폐결핵의 초치료 성적은 매우 괄목할만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초치료 실패 및 재치료 실패 환자들의 경우 약제 내성균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약제가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1980년대에 개발된 Quinolone 계통의 Ofloxacin(OFX)은 광범위 항생제로서 호흡기 절환을 비롯한 여러 감염성 질환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폐결핵의 치료에도 일부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 또한 입증된 바 있다. 이에 재치료 처방으로 PTA + CS + OFX와 주사제로서 Streptomycin(SM), Kanamycin(KM), Tuberactinomycin(TUM) 중 하나를 첨가한 4제 요법으로 치료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국립 공주 결핵병원에 입원하였던 도말양성 환지중 초치료 또는 재치료에 실패한 환자 92명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객담도말 양성환자 92명중 67명(73%)에서 균음전되었다, 2) 균음전시기는 치료시작후 1개월 이내에 24명(36%)로 제일 많았고 4개월 이내에 85%의 균음전율을 보였다. 3) 흉부 엑스선 사전의 호전은 전체적으로 49% 이였고 균음전율은 흉부 엑스선상 경증, 중등증, 중증에서 각각 100%, 93%, 68% 이었다. 4) 균음전율은 1년미만, 1년에서 3년미만, 3년에서 5년미만, 5년이상의 질병기간에서 각각 87%, 76%, 65%, 그리고 55% 이었다. 5) PTA의 부작용은 위장장애가 대부분 이었으며 간기능장애, 경련이 각각 7%, 1% 나타났다. CS의 부작용은 신기능장애, 정신병, 경련이 각각 2%, 1%, 1% 이었고, KM에 의한 이명은 1%, OFX에 의한 설사는 4% 이었다. 결론: 환자의 병력이 짧을수록, 흉부 엑스선상 경증와 중등증 일수록 좋은 성적을 보여 주었다. 초치료 실패환자에서 흉부 엑스선상 중증으로 이행되기전에 재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균음전은 물론 흉부 엑스선성 호전도 보여줄 수 있다. 소수 2차 항결핵제가 부작용으로 중단된 경우도 있었지만, 2차 항결핵제의 부작용은 대부분 위장장애을 호소하기 때문에 환자의 협조하에 규칙적으로 복용토록 하여 완치 퇴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