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AH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치료를 위한 국내·외 항혈소판제 약물요법 가이드라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the USA, Europe and Korea Guidelines of Antiplatelet Therapy for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 정은주;이채원;백인환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0-208
    • /
    • 2015
  • Objectiv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are typically managed with dual antiplatelet therapy of acetylsalicylic acid (aspirin) and $P2Y_{12}$ receptor inhibitor. In this study, we discussed current and previous antiplatelet therapy guidelines and compared with guidelines of the USA (ACC/AHA), Europe (ESC) and Korea (KSC).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from ACC/AHA Joint Guidelines (the USA), ES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Europe) and Korea Society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Korea) web site, respectively. Results: It is significant tha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and the previous guidelines was integration of terminology from clopidogrel to $P2Y_{12}$ receptor inhibitors since prasugrel and ticagrelor, new antiplatelet drugs, has been added. The other difference was all three guidelines has differences in dose of aspirin. The most notable difference was class of recommendation(COR) in $P2Y_{12}$ receptor inhibitors. ACC/AHA and Korean guidelines recommend clopidogrel, prasugrel, and ticagrelor with COR IB; whereas, ESC recommend prasugrel and ticagrelor with IB which is higher than clopidogrel with IC. Conclusion: This research addresses important movement to revise the Korean existing guideline recommendations. New Korean antiplatelet therapy guideline should be avoiding obvious differences in ACC/AHA and ESC guidelines and harmonizing international guidelines.

심방세동 치료를 위한 미국과 유럽의 심박수 및 율동 조절 약물요법 가이드라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USA and Europe Guidelines of Rate and Rhythm Control Pharmacotherapy in Atrial Fibrillation)

  • 정은주;손기호;백인환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4-95
    • /
    • 2016
  • Objective: Atrial fibrillation (AF) guidelin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USA and Europe. Recently, the USA and Europe have updated their guidelines, respectively. These new AF guidelines help in addressing key management issues in clinical situations. This study, therefore, systematically compared guidelines for rate and rhythm control pharmacotherapy of patients with AF between the USA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nd 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AHA) and Europ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American guidelines (2014) and European guidelines (2010 and 2012). Results: Generally, there are four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ACC/AHA and ESC guidelines. Important differences are treatment classification system, level of recommendation, drug list, and dosage. In addition, ACC/AHA described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s for antiarrhythmic drugs. ESC emphasized ECG and atrioventricular nodal slowing as feature of antiarrhythmic drugs. Conclusion: This research addresses important use of anti-arrhythmic drugs and movement to accept recent recommendations in Korea.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a role of pharmacists is crucial in clinical situation.

이상지질혈증의 국내 및 국외 치료 가이드라인 비교 (Current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 최윤정;이송;김주영;이경은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6-283
    • /
    • 2017
  • Objective: Dyslipidemia is recognized as a promin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but it is manageable through therapeutic and lifestyle intervention. Interpreting the latest guidelines is essential for an application of recommendation from guidelines into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most recent guidelines on dyslipidemia treatment recommendations in Korea and USA.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2015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2013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AHA) guideline and 2016 supportive guidelines from ACC. Results: A comparison was made focused on the following: target patients based on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target goal, and treatment strategies including statin and non-statin therapies. Four target patient groups by risk were suggested in 2015 Korean guidelin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also considered for initiation of lipid lowering therapy. Titrated statin regimen was recommended by Korean guideline to reach LDL cholesterol and non-HDL cholesterol target level. In 2013 ACC/AHA guideline, four statin benefit group was introduced considering ASCVD risk and high intensity statin or intermediate intensity statin use were recommended without dose titration. 2016 update was to support non-statin therapy based on updated evidence and new consideration of ezetimibe, PCSK9-inhibitor and bile acid sequestrant was brought up. Conclusion: Guidelines are continuously updating as new and important clinical data are constantly released along with the advent of newly approved drugs for lipid disorder. This article provides resources that facilitates uptake of these recommendations into clinical practice.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r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후 심근 관류 SPECT의 유용성 (Usefulness of Myocardial Perfusion SPECT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 이종진;이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4-117
    • /
    • 2005
  • As the indication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has expanded to the more difficult and complicated cases, frequent restenosis is still expected after PCI. According to AHA/ACC guideline of the present time, routine use of myocardial perfusion single photon emission tomography (SPECT) is not recommended after coronary intervention, but symptom itself or exercise EKG is not enough for the detection of restensis or for the prediction of event-free survival. In high risk and/or symptomatic subjects, direct coronary angiography is required myocardial perfusion SPECT could detect restenosis in 79% of the patients if performed 2 to 9 months after PCI. Reversible perfusion decrease in the myocardial perfusion SPECT is known to be the major prognostic indicator of major adrerse cardiac event in PCI patients and also the prognosis is benign in the patients without reversible perfusion decrease. Though the cumulated specificity is 79% in the literature and optimal timing of myocardial perfusion SPECT is in controversy, SPECT is recommended even in asymptomatic patients at 3 to 9 months after PCI. Considering the evidences recent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myocardial perfusion SPECT is useful for risk stratification and detection of coronary artery restenosis requiring re-intervention in the asymptomatic patients after PCI.

관상동맥 약물 용출 스텐트 삽입 후 항혈소판제제 3제요법과 2제요법의 임상적 효과 비교 (Effect of Triple Compared to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Drug-Eluting Stent Implantation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예경남;김정태;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3-122
    • /
    • 2012
  • ACC/AHA/SCAI Guideline recommends for administration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drug-eluting stent (DES) to prevent restenosis and stent thrombosis in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Recently triple antiplatelet therapy including cilostazol is known to reduce restenosis and stent thrombosis significantly after DES implantation. However, there is lack of data providing the efficacy of triple antiplatelet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the triple therapy after DES implantation compared with the dual therapy. This retrospective study collected data from medical charts of 251 patients who received DES implantation between Jul 2006 and Jun 2008. They received either dual antiplatelet therapy (N = 154 clopidogrel and aspirin; Dual group) or triple antiplatelet therapy (N = 97 cliostazol, clopidogrel and aspirin; Triple group). Major adverse cardiac event rates (MACE, included total death, myocardial infarction,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at 12 months, 24 months, stent thrombosis, rates of bleeding complications and adverse drug reac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se two groups. Compared with the dual group, the triple group had a similar incidence of the MACE rates at 24months (12.3% vs. 12.4%, p = 0.99). There is no difference in overall stent thrombosis between two groups (Dual group 2.6% vs. Triple group 4.1%, p = 0.5).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diabetic patients got more benefit in reducing MACE rates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leeding complications and adverse drug effect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dual antiplatelet therapy, triple antiplatelet therapy did not reduce the 12-months, 24-months MACE rates and stent thrombosis. Bleeding complications and adverse drug effects were not different.

미만성 긴 병변이 있는 급성심근경색환자에서 긴 단일 용출 스텐트 시술과 중첩 스텐트 시술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icacy of Overlapped Versus Long Eluting Stent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with Diffuse Long Lesion)

  • 김원효;김인수;공창기;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19-336
    • /
    • 2020
  • 미만성 긴 병변이 있는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장기적인 임상 결과에 대해 중첩된 약물용출스텐트와 긴 단일 약물용출스텐트라는 두 가지 중재 방법으로 시술한 환자의 관상동맥조영술 결과와 임상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2008년 6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급성심근경색환자 (65.9±11.0세, 남성 306명)가 미만성 긴 관상동맥 병변 30 mm이상 병변에 대해서 두 그룹으로 나뉘었습니다. 그룹I (중첩 약물용출스텐트 그룹; n=140) 및 그룹II (긴 단일 약물용출스텐트 그룹; n=298). 주요심장사건의 발생률을 비교하였다[주요심장사건; 두 그룹 사이에서 12개월 동안 심장사망률, 심근경색, 표적병변 재개통술 및 스텐트 혈전증]. Everolimus-용출 스텐트는 그룹I보다 그룹II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28.1% vs. 51.8% p<0.001), 시술 전 평균 병변직경은 그룹II에서 약간 굵었고 (3.1±0.3mm vs. 3.2±0.3mm, p=0.042), ACC / AHA 병변 유형C의 유병률은 그룹I에서 더 높았다(41.7% vs. 25.4%, p<0.001). 12개월 동안 주요심장사건의 발생률은 그룹II보다 그룹I에서 더 높았고(18.5% vs. 14.4%, p=0.034), 심장 사망률 (2.1% vs. 4.4%, p=0.667), 심근경색 (5.0% vs. 2.7%, p=0.260) 및 스텐트 혈전증률 (0.7% vs. 1.7%, p=0.669)은 두 그룹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표적병변 재개통술 비율은 그룹I에서 더 높았다(10.7% vs. 5.6%, p=0.041).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당뇨병의 존재[위험률 2.383, 95 % 신뢰 구간 1.332-4.260, p=0.003]과 파클리탁셀-용출 스텐트[위험률 2.367, 95 % 신뢰 구간 1.371-4.086), p=0.002]는 12개월 주요심장사건의 독립적 예측인자였으며, 두 그룹 사이의 유병률에 큰 차이가 없었다. 미만성 병변이 있는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12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중첩 약물용출스텐트 그룹에서 표적병변 재개통술 비율이 더 높았고 당뇨병의 존재 및 파클리탁셀-용출 스텐트의 사용은 주요심장사건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비심장 수술 환자에서 수술 전후 심장사건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심근관류 SPECT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Myocardial SPECT for the Preoperative Cardiac Risk Evaluation in Noncardiac Surgery)

  • 임석태;이동수;강원준;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3-281
    • /
    • 1999
  • 목적: 우리는 비심장 수술 환자에서 수술전후의 심장사건의 위험도를 평가할 때 미국 순환기학회/미국 심장학회(이하ACC/AHA)에서 제시한 임상적 여러 지표에 더하여 심근관류 SPECT가 도움되는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에 비심장 수술을 시행한 118명(혈관수술 18, 비혈관수술 100)을 대상으로 수술 전에 휴식 T1-201/부하 Tc-99m MIBI 심근관류 SPECT를 시행하고 중한 심장사건과 경한 심장사건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지표, 운동능력, 수술 종류에 따라 분류한 것의 심장사건 예측률과 심근관류 SPECT 소견을 가역관류감소, 지속관류감소, 정상으로 나누었을 때 심장사건 예측률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지표들에 대해 심근관류 SPECT가 부가 효용이 있는지 다변량 로짓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심장사건은 전체 환자의 21%에서 발생하였으며 심근관류 SPECT에 가역적 심근관류 이상이 있는 경우에 심장사건의 발생빈도가 높았다. 임상적 분류와 수술 종류도 사건 발생을 예측할 수 있었으나 다변량 분석에 수술 종류(p=0.0018)와 심근관류 SPECT 소견(p=0.0001)이 유의한 예측지표이었다. 심근관류 SPECT 결과가 수술 종류에 따른 위험 예측을 더욱 계층화할 수 있었다. 결론: 비심장수술 환자에서 수술 종류에 더하여 심근관류 SPECT가 심장사건 발생을 예측하는 유용한 지표이었다.

  • PDF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의 중단기 수술 성적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Operation for Infective Endocarditis on Mitral Valve)

  • 안병희;전준경;유웅;류상완;최용선;김병표;홍성범;범민선;나국주;박종춘;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27-34
    • /
    • 2004
  •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은 다른 심장질환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고, 대부분의 임상연구가 대동맥판에 발생한 심내막염에 편중되어 있어, 승모판 심내막염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이에 대한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으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23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2예는 인공판막 심내막염이었고 나머지 21예는 자가판막 심내막염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4.8$\pm$15.7 (11∼66)세였고 연령분포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17예에서는 혈역학적 불안정이나 거대 우종으로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12예에서 울혈성 심부전, 4예에서 신부전, 2예에서 비장 및 신장경색, 2예에서 일시적 뇌손상, 1예에서 뇌농양 소견을 보였다. NYHA 기능 분류상 Grade II가 7예, Grade III가 9예, Grade IV가 6예이었다. 술 전 심초음파상 승모판 역류우세가 19예, 협착우세가 4예이었으며, 우종은 20예(86.9%)에서 관찰되었다. 혈액배양 검사상 10예(43.4%)에서 원인균이 동종되었는데 Streptococcus viridans 5예,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2예, 그리고 Corynebacterium, Haemophillis, Gernella 각각 1예씩 이었다. 수술 적응증은 ACC/AHA 지침에 근거하였으며, 평균 외래 추적관찰기간은 27.6$\pm$23.3 (1∼97)개월이었다. 결과: 13예에서 승모판치환술을 시행하였는데 9예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하였고 4예에서 조직판막을 사용하였다. 10예에서 다양한 수기의 승모판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동반수기로는 6예에서 대동맥판 치환술, 2예에서 삼첨판 성형술, 1예에서 변형된 미로수술, 1예에서 심실중격결손 낙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 2예, 종격동염 1예, 저심박출증 1예, 페렴 1예가 있었다. 술 후 30일 이내의 조기사망이나 병원 내 사망 및 판막 연관성 합병증은 없었다. 1예의 환자가 수술 3개월 후 다시 판막성형술을 받았고, 술 전 우종 전색에 의한 뇌경색을 보인 1예의 환자가 술 후 31개월에 뇌출혈로 사망하여 만기 전 체판막 연관성 사망률은 4.3%, 판막연관성 합병증은 8.6%였다. 1, 3, 5년 valve-related event free rate는 90.8%, 79.5%, 79.5%이었고 1, 3, 5년 생존율은 100%, 88.8%, 88.8% 이었다. 결론: 승모판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 시에는 감염된 조직의 완전 절제가 중요하며, 감염된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 대체물이나 수술 기법상의 차이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고, 술 전에 감염이나 우종 전색에 의한 뇌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술 후 추적관찰 중에도 뇌혈관 손상 가능성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Infective Endocarditis)

  • 김혁;김영학;정원상;신경욱;김지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19-626
    • /
    • 2010
  •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 적응증 및 시기 등은 논란의 대상이다. 저자들은 본 교실에서 최근 10년간 연속적으로 수술받은 감염성 성내막염 환자들에 대한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수술 적응증 및 시기 등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연속적으로 수술한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 23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은 modified Duke criteria에 준하였고 남녀 비율 2.8:1, 평균연령 $46.78{\pm}16.19$ (24~76)세, NYHA 기능 분류상 class I 1예(4.3%), class II 4예 (17.4%), class III 10예(43.5%), class IV 8예(34.8%)였다. 수술 전 혈액내 균 배양 검사에서 8예 (34.8%)가 원인균이 동정되었고 수술 전 평균 항생제 사용기간은 $20.78{\pm}16.00$ (1~56)일이었다. ACC/AHA 심장판막질환 지침중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 적응증에 근거하여 수술을 진행하였으며 12예(52.2%)에서 긴급 수술이 필요하였다. 23명의 환자 모두 외래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평균 외래 추적 관찰 기간은 $49.26{\pm}33.21$ (11~128)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소견상 우종은 20예에서 발견되었고 대동맥판막 치환술 9예, 승모판막 치환술 8예, 승모판막 성형술 1예, 대동맥판막 치환술과 승모판막 치환술을 함께 시행한 3예가 있었다. 승모판막 성형술 l예를 제외한 20예의 판막치환술 환자 중 19예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하였다. 감염된 점액종의 제거술이 1예, 감염된 심박동기 lead의 제거술 및 감염조직 절제술이 1예였다. 수술 후 평균 항생제 투여 기간은 $24.39{\pm}15.98$ (l2~85) 일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출혈로 재수술한 2예, 심낭막절개술 후 증후군으로 배액술이 필요했던 l예, 수술장에서 발생한 저심박출증 l예, 수술 후 일과성 뇌 허혈증이 있었던 l예 등이었다. 수술 전후로 비교한 NYHA 기능분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있었고(p<0.001) 평균 좌심실 구현률은 유의하지 않았으며(p=0.468) 좌심실 이완기말/수축기말 크기, 좌심방 크기는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p<0.05). 결론: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에서 적절한 수술 적응증을 적용하여 조기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는 적시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혈류역학적으로 안정된 경우는 충분한 항생제 투여로 전신성 염증의 소설을 유도한 후 수술을 시행하여 전 예에서 수술 사망이나 감염의 재발없이 좋은 단중기 수술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엽성 기게 심장판막 환자에 대한 낮은 강도의 항응고제 요법의 결과에 대한 임상분석 (Low-intensity Oral Anticoagulation Versus High-intensity Oral Anticoagulation in Patients with Mechanical Bileaflet Prosthetic Heart Valves)

  • 정성철;김미정;송창민;김우식;신용철;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30-438
    • /
    • 2008
  • 배경: 기계 심장판막 대치술 후 발생하는 혈전성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 항응고제 치료로써 와파린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이때 환자에 따른 적절한 와파린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INR을 참고하는데 통상 대동맥판막은 $2.0{\sim}3.0$, 승모판막은 $2.5{\sim}3.5$가 참고치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임상 경험상 대부분의 환자에서 이 수치로 유지하였을때 출혈성 합병증(비출혈, 혈뇨, 자궁출혈, 뇌출혈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참고치보다 더 낮게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원에서는 기계 심장판막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혈전성 합병증의 빈도가 낮은 적정한 INR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이엽성 기계 심장판막 대치술을 받고 생존한 3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동맥판막치환 환자들(60명)은 INR $1.5{\sim}2.0$ (1군), $2.0{\sim}2.5$ (2군), 2.5 (3군) 이상의 세 군으로 나누고 승모판막치환(171명)이나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을 동시에 치환한 환자들(80명)은 INR $1.5{\sim}2.0$ (1군), $2.0{\sim}2.5$ (2군), $2.5{\sim}3.0$ (3군), 3.0 (4군) 이상의 네군으로 나누어 혈전성 합병증 발생률, 중요출혈성합병증 발생률을 조사하여 각각의 생존함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대동맥 판막치환 환자 중 혈전성 합병증은 2명, 출혈성합병증은 4명이 발생하였고 세군의 혈전성 합병증의 생존함수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출혈성 합병증의 생존곡선에서 1, 2군과 3군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승모판막치환이나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을 동시에 치환한 환자들 중 혈전성 합병증은 13명, 출혈성 합병증은 15명이 발생하였고 네 군의 혈전성 합병증의 생존함수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출혈성 합병증은 1, 2군과 3, 4군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모든 판막에서 INR이 $1.5{\sim}2.5$ (1군과 2군)로 유지한 환자들이 그 이상으로 유지한 환자들보다 혈전성 합병증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출혈성 합병증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이엽성 기계판막에서 적정한 INR은 $1.5{\sim}2.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