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TS+ radical

검색결과 1,859건 처리시간 0.024초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 및 다양한 용매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능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Various Red Seaweeds)

  • 조명래;이동진;유상권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445-451
    • /
    • 2012
  • The EtOH extracts of red seaweeds (Symphyocladia latiuscula, Chondrus ocellatus and Carpopeltis affinis)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nd 1,1-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correlated with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EtOH extracts and their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exhibited strong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mong the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obtained from n-Hexane (HX), methylenchloride (MC), ethylacetate (EA), and buthanol (BuOH), the HX fraction from C. affinis showed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other fractions. Total phenolic cont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2$ = 0.709) wit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X fraction from C. affinis is a promising natural antioxidant for healthcare products.

미성숙 목화다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 박희정;이기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6-4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래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의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목화다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및 ABTS radical의 소거능 또한 작은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페놀함량이 높은 실험군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인체 위 내부환경과 같은 pH 1.2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이다가 pH 4.2에서는 점차로 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중성에 가까운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하면 낮은 활성이었지만, 기 보고된 다른 천연물들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미성숙 목화다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에 있어서 새로운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그동안 주로 천연 솜의 생산을 위해 재배되어왔던 목화의 제한적 활용성을 더욱 다양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Syntheses of Resveratrol and its Hydroxylated Derivatives as Radical Scavenger and Tyrosinase Inhibitor

  • Lee, Hyun-Suck;Lee, Byung-Won;Kim, Mi-Ran;Jun, Jong-Ga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4호
    • /
    • pp.971-975
    • /
    • 2010
  • Eight hydroxylated stilbene derivatives including resveratrol, desoxyrhapontigenin and piceatannol as potential radical scavenger and tyrosinase inhibitor are synthesized using optimized Wittig-Horner reaction for excellent trans-selectivity in good yields. Antioxidant activity was tested against ABTS radical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performed with L-tyrosine as the substrate based on previous procedure with some modification. In general, catecholic stilbenes showed stronger activity against ABTS radical and resorcinolic moiety showed strong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Synthetic piceatannol which containing both catecholic and resorcinolic moieties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in both as ABTS radical scavenger and tyrosinase inhibitor with $IC_{50}$ values of 4.1 and $8.6\;{\mu}M$, respectively.

자생 양치식물 지상부와 근경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Aerial Part and Rhizomes of Ferns Native to Korea)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6
    • /
    • 2010
  • 메탄올을 용매로 12종 양치식물의 지상부와 근경의 건조시료를 초음파추출하여 페놀성 물질 함량 및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793{\sim}140.014\;mg{\cdot}g^{-1}$, 생시료 1 g에 $0.779{\sim}49.579\;mg{\cdot}g^{-1}$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넉줄고 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559{\sim}34.909\;mg{\cdot}g^{-1}$, 생시료 1g에 $0.714{\sim}11.487\;mg{\cdot}g^{-1}$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 중에는 관중 지상부, 생시료 중에는 더 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서 함량이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나도히초미 근경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시료의 수분함량과 추출수율을 고려하여 $RC_{50}$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생시료의 양을 계산한 결과, 나도히초미 근경보다는 더부살이고사리 지상부가 DPPH와 ABTS radical 소거용 식물소재로 적합하였다.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특히 ABTS radical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가지고비고사리 추출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가 ascorbic acid 또는 BHT와 유사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국수에 대한 4종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ABTS+, OH 라디칼, NO 라디칼, 철 이온 환원력 (ABTS+ Radical, Hydroxy Radical (OH), Nitric Oxide (NO), and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our Seaweed Species for Noodles)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21-1129
    • /
    • 2017
  • 4종의 식용 조류, 참김(Porphyra tenera), 미역(Undaria pinnatifida), 톳(Sargassum fusiforme), 잎파래(Enteromorpha linza)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ABTS+ 소거활성, 하이드록시 라디칼(OH), 산화질소(NO), 철 이온 환원력(FRAP)을 조사하였다. ABTS+ 소거활성은 Brand-Williams 등의 방법에 따랐다. 톳의 ABTS+ 소거활성은 8.0 mg/ml 일 때 61.8%로 가장 높은 반면 잎파래는 동일 농도에서 35.7%로 가장 낮았다. 참 김과 미역은 ABTS+에 대해 유사한 활성 저해를 나타내었다. 하이드록시 라디칼의 저해활성은 톳 > 참김 > 미역 > 잎파래 순이었다. 산화질소는 8.0 mg/ml 추출물일 때 톳 > 참김 > 미역 > 잎파래 순이었다. 3.5% 소금과 4종의 조류 추출물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을 국수틀에 뽑아낸 후 5분간 끓였을 때 전반적으로 4개의 산화제에 대해 활성저해가 저하되었다. 톳 8.0 mg/ml를 첨가한 국수의 경우 산화질소 활성저해는 27.2%였다. 미역 8.0 mg/ml을 첨가한 국수는 철 이온 환원력이 31.5%였다. 종합적으로 톳 추출물이 ABTS+, OH, NO, FRAP에 대해 활성저해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참김, 미역, 톳, 파래가 국수의 항산화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사료되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마가렛트, 큰금계국, 저먼캐모마일, 알프스민들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Chrysanthemum frutescens, Coreopsis lanceolata, Matricaria recutica and Hieracium pilosella Flower Extracts by Extraction Solvent)

  • 우정향;신소림;장영득;이철희
    • 화훼연구
    • /
    • 제17권3호
    • /
    • pp.158-164
    • /
    • 2009
  • 본 연구는 불과 80% 에탄올 용매가 마가렛트, 큰금계국, 저먼캐모마일 및 알프스민들레 꽃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에서 27.15~40.25%,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24.92~42.84%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4종 모두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많게 나타났으며, 큰금계국 꽃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함량이 가장 많았다. 4종 꽃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Fe^{2+}$ chelating 효과는 모두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알프스민들레 꽃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기장 높았으며, 합성 항산화제인 BHT 보다 소거활성이 높았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저먼캐모마일 꽃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국화과 꽃 추출물은 DPPH radical 보다는 ABTS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저먼캐모마일과 큰금계국 꽃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와 BHT 보다 우수하였다. $Fe^{2+}$ chelating 효과는 알프스민들레 꽃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기장 우수하였다. EDTA와 chelating 효과를 비교한 결과, 4종의 꽃 추출물은 EDTA 보다 chelating 효과가 극히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 마가렛트, 큰금계국, 저먼캐모마일, 알프스민들레 등 국화과 4종의 꽃을 이용하여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할 때에는 8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시료의 항산화 물질 추출 효율 및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Major. from Korea

  • Choi, You Jin;Hwang, Keum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86-191
    • /
    • 2013
  • Screenings of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Major. fruits extracted 80% methanol were performed using four antioxidant assay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oth in total phenolic contents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extract were measured to be $224.4{\pm}0.52$ mg GAE/100 g and $12{\pm}0.25$ mg QE/100 g, respectively. When the tested concentration was $500{\mu}g/mL$,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were 84.15% and 88.8%, respectively. The reducing power and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at the manner of dose-depend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hanolic extracts of Crataegus pinnatifida Bge. fruits possess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ay serve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수입산 열대·아열대 과일의 항산화 활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of imported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 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7-58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입산 열대 아열대 과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FRAP 활성, tyrosinase 저해효과,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석류가 12.22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순으로 파인애플이 3.77 mg GAE/g이었으며, 용과, 그린키위, 파파야, 옐로우망고가 2.45~2.99 mg GAE/g의 범위로 나타났다. 석류는 DPPH, ABTS,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환원력에서 다른 과일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고 그 다음으로 파인애플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석류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시료 농도 5 mg/mL에서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와 대등한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용과와 파파야는 대부분의 항산화 효과 실험에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꼬마리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oxidative stress from fraction of Xanthium strumarium L.)

  • 민영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15-220
    • /
    • 2017
  • 도꼬마리 (X. strumarium )는 국화과에 속하며, '창이자'라는 한약명으로 사용되는 다년생 식물이다. 열매부위와 지상부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융합 식물활성작용을 관찰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실험법으로는 1,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ABTS assay를 사용하였다. 도꼬마리의 추출물은 단일분리가 아닌 ethanol, petroleum ether, 그리고 ethyl acetate로 추출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연구에 사용되는 radical scavenging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and ABTS를 투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꼬마리는 천연유래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Evaluati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Extracts

  • Kim, Seong Yeong;Shin, Kwang-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96-202
    • /
    • 2013
  • Citron seed extracts (CSEs) were made using distilled water (CSEW), ethanol (CSEE), and n-hexane (CSEH), to measur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observed the highest in CSEE (188.71 ${\mu}g/mL$), and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CSEE>CSEW (141.11 ${\mu}g/mL$)>CSEH (26.19 ${\mu}g/mL$) at 10 mg/mL. CSEE (63.56%) and CSEW (56.6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hen compared with CSEH (28.57%).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SEE (45.53%) and CSEW (40.02%) were also observed to be higher, whereas CSEH did not show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CSEE (26.85%) showed a greater activity than that of CSEW (7.84%) at 1,000 ${\mu}g/mL$. Limonin and nomilin contents had the highest values (1.882% and 2.089%) in CSEE, and with 0.327% and 0.139% in CSEW; however, CSEH showed relatively very low values at 0.061% and 0.026%, respectively. Among the CSEs tested, CSEE as a by-product from citron may provide an important source of dietary antioxidant compounds with rich polyphenol and limonoid contents,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including the complement activatio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