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scoparia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한석사초(사초과) (A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var. scoparia (Cyperaceae))

  • 천경식;정경숙;임형탁;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47-249
    • /
    • 2014
  • 사초과의 미기록 귀화식물인 한석사초(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var. scoparia)가 강원도 인제군 한석산에서 발견되었다. 타래사초절에 속하는 본 종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유럽과 뉴질랜드에 도입되어 분포하고 있고, 암꽃의 비늘조각이 피침형이며, 과포가 큰 특징으로 인해 아시아에 분포하는 근연종인 C. leporina L. 그리고 타래사초와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채집지의 이름을 따서 '한석사초'로 명명하였으며, 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 도해, 생태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사철쑥과 비쑥의 분류학적 실체 (Taxonomic ident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and A. scoparia Waldst. & Kit.)

  • 박명순;남보미;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
    • /
    • 2011
  •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과 비쑥(A. scoparia Waldst. & Kit.)의 분류형질인 뿌리 형태, 잎 크기, 두상화서 크기는 사철쑥의 연속변이에 포함되어 두 분류군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 아니며, 다른 분류학적 중요형질인 생육형에 있어서 관찰된 국내의 모든 표본과 생체들은 반관목 또는 다년초로서, 비쑥의 형질인 1, 2년초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분포하는 개체 중 기존에 비쑥으로 알려진 다년초의 개체들은 사철쑥의 변이이며, 1, 2년초인 비쑥은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쑥의 독성물질 확인과 생장억제작용 (Identifica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Phytotoxic Substances from Artemisia scoparia)

  • Kil, Bong-Seop;Hyeon-Gyeong Yo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4호
    • /
    • pp.295-304
    • /
    • 1996
  • KDIC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scoparia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Seven phenolic compounds and thirty nine terpenoids were identified. Most abundant within each group were cinnamic acid and camphor, respectively. The KDICicals were prepared as aqueous extracts and then used for germinati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tests. The extracts were inhibitory to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receptor lants. This inhibitory effect was dependent on concentration. When the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n chlorophyll content was assayed, both chlorophylls a and b were shown to be reduced. The reduction in seedling elongation and growth in dry weight paralleled the reduction in chlorophyll concentration. These KDICical substances, including phenolic compounds and terpenoids, from Artemisia scoparia were responsible for the growth inhibition of the selected species.

  • PDF

Improved plastid transformation efficiency in Scoparia dulcis L.

  • Kota, Srinivas;Hao, Qiang;Narra, Muralikrishna;Anumula, Vaishnavi;Rao, A.V;Hu, Zanmin;Abbagani, Sadanandam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323-330
    • /
    • 2019
  • The high expression level of industrial and metabolically important proteins in plants can be achieved by plastid transformation. The CaIA vector, a Capsicum-specific vector harboring aadA (spectinomycin resistance), is a selectable marker controlled by the PsbA promoter, and the terminator is flanked by the trnA and trnI regions of the inverted repeat (IR) region of the plastid. The CaIA vector can introduce foreign genes into the IR region of the plastid genome. The biolistic method was used for chloroplast transformation in Scoparia dulcis with leaf explants followed by antibiotic selection on regeneration medium. Transplastomes were successfully screened, and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3 transgenic lines from 25 bombarded leaf explants was determined. Transplastomic lines were evaluated by PCR and Southern blotting for the confirmation of aadA insertion and its integration into the chloroplast genome. Seeds collected from transplastomes were analyzed on spectinomycin medium with wild types to determine genetic stability. The increased chloroplast transformation efficiency (3 transplastomic lines from 25 bombarded explants) would be useful for expressing therapeutically and industrially important genes in Scoparia dulcis L.

점액표피양암종 세포주에서 Kochia scoparia 추출물의 세포자멸과 자가포식 유도 효과 (Apoptosis and Autophagy Induced by Methanol Extract of Kochia scoparia in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 Line)

  • 도미향;유미현;김욱규
    •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67-174
    • /
    • 2018
  • Natural products are vastly utilized as a source of chemotherapeutic agents for human cancers. Kochia scopraia is traditionally used for the cure of urological and dermatological diseases. Recently, methanol extract of Kochia scoparia (MEKS) has been shown to have anti-cancer activity to various human cancers. However, there is no report demonstrat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MEKS in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cells. In this study, the authors studied the effects of MEKS on the cell proliferation and underlying mechanism in YD15 human MEC cells. MEKS decreased YD15 cell proliferation proven by trypan blue exclusion assay and induced apoptosis, evidenced by cell cycle analysis and western blotting. Autophagy induction by MEKS was verified by western blotting. In addition, MEKS regulated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ed Akt, phosphorylated p38 and Nrf2 protein. This results can imply that MEKS might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human MEC cells.

비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염증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Artemisia scoparia)

  • 윤원종;이정아;김지영;오대주;정용환;이욱재;박수영
    • 생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0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the aqueous EtOH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Artemisia scoparia.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positive controls such as 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trolox, and allopurinol in these assay systems. Moreover,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A. scopari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that the nitric oxide (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rostaglandin E2 $(PGE_2)$ production activated with LPS $(1{\mu}g/ml)$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The amounts of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tting. Tn the sequential fractions of hexane and dichloromethane inhibited the NO and $PGE_2$ production and the protein level of iNOS and COX-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coparia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MAPK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Artemisia scoparia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by Downregulating the MAPK Pathway)

  • 오정환;파티 카라데니즈;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999-1006
    • /
    • 2018
  • 비쑥(Atermisia scoparia)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서 유라시아 지역 분포하며, 염생습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일종이다. 비쑥은 민간요법에서 이뇨제, 소염제, 간염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비쑥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화합물의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 모델에서 지방세포 내에서의 중성지방 생성 및 지방세포 분화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지방전구세포 3T3-L1을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비쑥 추출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형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지방세포분화 인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및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p38, ERK, JNK의 인산화가 억제되었다. 이를 통해 비쑥 추출물은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지방세포 분화 인자 조절을 통해 지방 생성과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비쑥 추출물의 MAPK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부안댐 기수역내부의 염생식물에 관한 생태적 주제성 (Ecological Motif on the Salt-Water Plants of Brackish Area in Buandam)

  • 오현경;변무섭;이명우;황보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1-318
    • /
    • 2006
  • 본 연구는 전북부안군 부안댐 기수역 내부의 염생식물 현황과 군락 종조성 및 상재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염생식물에는 6과 13속 14종 2변종 총16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벼과식물이 5종류, 명아주과와 국화과 식물이 각각 4종류로 분석되었다. 염생식물 군락으로는 갯잔디-비쑥군락, 비쑥-갯사상자군락, 갯질경-비쑥군락, 비쑥구락, 칠면초군락, 갯보리군락, 나문재군락, 갯잔디군락, 갯잔디-칠면초군락, 모새달군락 등 총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상재도 분석 결과, 군락구분종에는 I 에 모새달, 갯사상자, 갯질경, 칠면초, 갯보리, 나문재 등이 확인되었으며 II 에는 갯잔디, 비쑥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반종에는 I 에 갯보리, 갯강아지풀, 물피, 모새달, 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갯메꽃, 갯개미취 등이, II 에 갯잔디, 나문재, 사철쑥 등이, III 에 칠면초와 비쑥, IV에 갯사상자, V에는 갯질경과 큰비쑥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염생식물이 출현하고 기수역의 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모새달군락을 중심으로 생태학습이 가능한 공간으로 기수역의 생태적 주제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적지이다.

Anti-Rheumatoid Arthritis Effect of the Kochia scoparia Fruits and Activity Comparison of Momordin Ic, its Prosapogenin and Sapogenin

  • Choi, Jongwon;Lee, Kyung-Tae;Jung, Hyun-Ju;Park, Hee-Sun;Park, Hee-Juh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36-342
    • /
    • 2002
  • MeOH extract of Kochia scoparia was fractionated into $CHCl_3-$, EtOAc- and BuOH extracts and the last fraction were hydrolyzed by 3%-NaOH ($MeOH-H_2O$) to compare the bioactivities on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f BuOH fraction afforded a large amount of $3-Ο-{\beta}-D-xylopyranosyl {\;}(1{\rightarrow}3)-{\beta}-D-glucuronopyranosyl$ oleanolic acid (momordin Ic, 4) and that of acid hydrolysate of BuOH fraction gave $3-Ο-{\beta}-D-glucuronopyranosyl oleanolic$ acid (momordin Ib, 3), its 6'-Ο-methyl ester (2) and oleanolic acid (1).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f alkaline hydrolysate afforded a large amount of 4. MeOH extract and both EtOAc- and BuOH fractions were active in the rheumatoidal rat induced Freund's complete adjuvant reagent (FCA) whereas $CHCl_3$ fraction was inactive. Compound 1 and 4 showed significant activities in the same assay but oleanolic acid 3-Ο-glucuronopyranoside (3) showed no activity. These fashions were also observed in carrageenan-induced edema of the rat and in the antinociceptive activity tests undertaken in hot plate- and writhing meth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mordin Ic and its aglycone, oleanolic acid, could be active principles for rheumatoid arthritis.

인간 섬유육종세포에서 비쑥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암전이 억제 효과 (Anti-invasive Effect of Artemisia scoparia Halophyte Extract and it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in Human Fibrosarcoma Cells)

  • 김준세;공창숙;심현보;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00-1109
    • /
    • 2021
  • 염생식물인 비쑥은 식용이 가능한 약용식물로서 살충, 항염, 항콜레스테롤, 해열, 항균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로 자극된 인간 섬유육종 HT-1080 세포에서 5가지 활성검색방법 즉 : gelatin zymography, MMPs ELISA, wound healing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비쑥의 조추출물과 그 용매 분획물의 MMP-2와 MMP-9 효소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쑥 시료들을 메틸렌 클로라이드(MC)와 메탄올(MeOH)로 각각 2번 추출하여 합한 것을 조추출물로 사용하였으며 이 조추출물은 MMP-2와 MMP-9 효소활성에 대해 유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조추출물은 용매극성에 따라 다시 n-hexane, 85% aq.MeOH, n-butanol 및 물 분획층으로 분획되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4개의 용매 분획물들중에 n-hexane과 85% aq.MeOH 분획이 gelatin zymography와 MMP ELISA assay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wound healing assay, RT-PCR 및 Western blot assay에서 H2O 분획을 제외한 모든 용매 분획물들이 세포 이동,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