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natural enem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파프리카의 겨울작형 시설재배에서 천적을 이용한 해충 밀도억제 효과 (Biological Control of Insect Pests with Arthropod Natural Enemies on Greenhouse Sweet Pepper in Winter Cropping System)

  • 김정환;변영웅;김황용;박창규;최만영;한만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85-391
    • /
    • 2010
  •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 주로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2005년 11월과 2006년 2월에 2회에 걸쳐 $m^2$당 3.3마리를 방사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를 트랩 당 2.0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방제를 위해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2007년 1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4 회에 걸쳐 $m^2$당 232.3마리를 방사하여 담배가루이 밀도가 7월 말까지 트랩 당 6.6마리 이내로 억제되었으며, 8월 하순부터 담배가루이 성충이 외부에서 온실내로 급격히 많은 수가 유입되었으나 작기종료로 피해는 없었다.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방제를 위해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2008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7회에 걸쳐 $m^2$당 44.5마리를 방사하여 차응애 밀도를 잎 당 1.7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는데, 이는 담배가루이 천적인 지중해이리응애도 차응애를 포식하였기 때문이다. 전딧물 방제를 위해 진디벌뱅커플랜트를 $660m^2$당 5.5포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윌까지 7회에 걸쳐 $m^2$당 9.5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 밀도를 잎 당 2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Oligota kashmirica benefica (딱정벌레목:반날개과)의 응애류 포식량과 포식선호성 (Predatory Preference and Predation Amount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Coleoptera: Staphylinidae) about Spider Mites)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1
    • /
    • 2003
  • 포식성 천적 O. kashmiricabenefica의 식식성 응애류 3종에 대한 포식량, 포식선호성 그리고 동족포식을 조사하였다.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먹이인 응애의 밀도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5^{\circ}C$ 항온조건하에서 O. kashmirica benefica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각각 21.9, 13.5, 14.1마리씩 포식하였다. 유충의 포식량은 영기가 증가할수록 많아져서, 1령, 2령, 3령 유충이 각각 2.8, 11.2, 25.4마리의 귤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유충기간(5일, $25^{\circ}C$)동안 각각 77.7, 61.3, 73.0마리씩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과 성충은 글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중에서 특정한 종을 선호하는 경향은 없었으며, 먹이가 없을 때에도 동족포식 정도는 매우 낮았다.

한국산 미기록속 Areotetes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the Genus Areotetes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Korea)

  • 한윤종;손주형;임종옥;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07-311
    • /
    • 2022
  • 과실파리, 굴파리의 유충에 기생하는 Areotetes van Achterberg & Li, 2013(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바 있다. 현재까지 Areotetes속에는 4종이 보고되어 있다. 금번 연구에서 Areotetes속의 1종, Areotetes carinuliferus van Achterberg & Li, 2013를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본 종의 형태 진단, 분포, 도해도를 작성하였고, 추가적으로 미토콘드리아 COI 데이터를 제공한다.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LED 광원의 유인효과 (The Attractant Effects of LED Lights on Aphidius colemani)

  • 함은혜;남윤복;전혜정;박영균;임언택;이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15-622
    • /
    • 2022
  • 본 연구는 콜레마니진디벌의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4개의 LED 광원(385, 405, 450, 및 660 nm)을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Y자관 시험에서 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385 nm LED 광원만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유인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3개의 LED 광원(385, 405, 및 450 nm)과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비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450 nm > 385 nm > 405 nm 광원 순으로 유인효과가 높았으나 450 nm와 385 nm 광원간 유의차는 없었다. UV-A에 속하는 385 nm LED 광원은 피부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제외하였고, 최종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광원으로 선발하였다.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우화기구에 적용한 결과, 87.4%의 높은 유인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천적 품질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타민 A 강화 벼의 대규모 GMO 포장에서 곤충다양성 분석 (Studies on Insect Diversity Related to Genetically Engineered Vitamin A Rice under Large Scale Production)

  • 김경민;류태훈;서상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7-162
    • /
    • 2010
  • 본 연구는 대규모 GMO 격리포장에서 비타민 A 영양성분이 강화된 황금벼의 안정성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모본으로 사용된 '낙동'을 대조로하여 수행하였다.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GMO 실습격리포장 에서 총 사용면적 4,700 $m^2$에서 황금벼와 모품종인 '낙동'에 대해 거미류를 포함한 곤충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개체들은 기능별로 해충군, 천적군, 거미군으로 크게 구분하여 계수하였으며, 조사된 개체군의 해충군, 천적군, 거미류 등의 밀도는 기능군 별로 황금벼와 '낙동'간에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해충의 발생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낙동'에서 발생량이 다소 많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시기별 평균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황금벼와 '낙동'과의 해충 발생양상에는 유의성을 찾기가 어렵다고 판단된다. 또한 천적류 발생 양상은 해충과는 달리 황금벼에서 발생량이 다소 많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시기별 평균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천적 발생양상에는 특이한 유의성을 없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비타민 A 영양성분이 강화된 황금벼에서의 해충 및 천적의 개체군 밀도 및 발생양상은 모본인 '낙동'에서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추나비고치벌(Cotesia glomerata L.)의 생태적 특성 및 고랭지 배추밭에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기생률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tesia glomerata L. (Hymenoptera: Braconidae) and Its Parasitism Rates for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in a Kimchi Cabbage Field in The Korean Highland Area)

  • 권민;김주일;홍은주;이영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55-362
    • /
    • 2019
  • 배추나비고치벌(Cotesia glomerata L.)은 배추흰나비(Artogeia rapae L.)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 유충을 공격하는 내부기생 천적으로, 여름배추를 주로 생산하는 고랭지 채소밭에서 배추흰나비와 배추좀나방을 동시에 생물적 방제하기 위한 천적자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배추나비고치벌에 대한 온도별 생육반응과 성비, 먹이에 따른 수명을 실험실내에서 조사한 결과, 배추나비고치벌의 알-유충 기간 및 번데기 기간은 20℃에서 각각 12.1 ± 2.1일, 6.4 ± 1.8일이었으며,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알-유충 및 번데기 시기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7.7℃, 8.5℃였다. 여러 상이한 온도에서 사육한 배추나비고치벌 우화성충의 암수를 조사한 결과, 15℃에서 61.0 ± 4.5%, 20℃에서 44.2 ± 1.0%, 25℃에서 39.0 ± 2.3%의 성비를 보여 온도가 낮아질수록 암컷의 발생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배추나비고치벌 성충에 10% 설탕액을 급여한 결과 수명은 20.4 ± 0.2일이었으며, 아무것도 급여하지 않은 경우는 3.6 ± 0.1일이었다. 실내 대량 사육을 통해 확보한 배추나비고치벌 성충을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8월 초에 고랭지 배추밭에 방사하고 노지 기생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햇수가 지날수록 노지 기생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Y=0.2696X+2.8633, R2=0.3994). 가장 높은 기생률을 보인 연도는 2013년의 7.6%이었고, 가장 최근인 2018년에는 6.5%의 기생률을 나타내었다.

불개미를 이용한 송충의 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ed Wood Ants (Formica sp.) for the Control of Pine Caterpillar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 김창효;김종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9-114
    • /
    • 1973
  • 불개미를 송충의 천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경남지방에 있어서 불개미의 분포, 일만 생태, 이식가능 한계기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블게미는 1-3령기인 송충을 포식하였다. 2) 경남 지방의 불개미의 분포는 18개군 474개소에 분포하고 있으며 총면적은 $7,702,559m^2$였다. 3) 불개미 집의 분포는 하부에 $60\%$, 중부에 $39.5\%$ 및 상부에 $0.5\%$였다. 4) 조소의 높이와 군세는 정비례하며 회귀 방정식은 Y=6,200 X-27,813이였다 또한 조소와 수분과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불개미의 이식 한계기는 5월-9월이었고 불개미를 이식한 바 1연간에 5개의 집을 만들었다.

  • PDF

사막이리응애의 살응애제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californicus (Acari: Phytoseiidae) to Acaricides)

  • 이성민;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8-423
    • /
    • 2015
  • 포식성 천적 사막이리응애에 대하여 9종 살응애제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살응애제 중 cyenopyrafen. spirodiclofen, spiromesifen, acequinocyl, bifenazate, flufenoxuron과 cyflumetofen 등은 사막이리응애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었으며, 암컷성충의 산란수와 산란된 난의 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또한 이들 살응애제의 난에 대한 처리에서도 부화율에 영향이 없었다. Etoxazole은 암컷성충의 생존율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이들이 산란한 난의 부화율이 매우 낮았으며, 난에 대한 처리에서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Pyraclofos는 암컷성충에 대해 고독성으로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Cyenopyrafen. spirodiclofen, spiromesifen, acequinocyl, bifenazate, flufenoxuron과 cyflumetofen 등을 처리한 먹이를 섭식한 암컷성충은 생존율과 산란수에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yenopyrafen. spirodiclofen, spiromesifen, acequinocyl, bifenazate, flufenoxuron과 cyflumetofen 등은 식식성응애류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사막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북한산국립공원 산림해충의 분포 (Distribution of Forest Insect Pes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이총규;조현서;류동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82
    • /
    • 2008
  • 북한산 국립공원의 도봉산지역에서 채집된 산림해충은 5목 29과 76종이었다. 이들 중에 나비목은 9과 24종, 딱정벌레목 9과 23종, 매미목 4과 20종, 노린재목 5과 6종, 벌목은 2과 3종으로 확인되었다. 송추 골이 5목 28과 66종, 회룡 골이 5목 19과 41종이었다. 중점관리해충으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암청색줄무니밤나방(Arcte coerulea), 참나무겨울가지나방(Erannis golda)이 확인되었고, 왕침노린재(Isyndus obscurus)이 포식성 천적으로 분류 되었다.

하우스고추에서 Orius strigicollis Poppius를 이용한 총채벌레류 방제효과 (Effects of Minute Pirate Bug, Orius strigicollis (Hemiptera: Anthocoridae) on Control of Thrips on Hot Pepper in Greenhouse)

  • 송정흡;강상훈;이광석;한원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3-258
    • /
    • 2001
  • Orius strigicollis Poppius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생물적 방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하우스 고추에서 천적제거구(CNT), 약제처리구(PAT)와 천적방사구(NRT)의 세처리를 하여 처리구별로 총채벌레와 O. strigicollis의 밀도변동 및 고추 열매의 피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NRT에서 O. strigicollis의 약충은 최초 방사일로부터 13일후에 고추의 하부 잎에서 조사되었으며, 총채벌레의 밀도는 정식 15일후부터 급격히 낮아진 후 CNT보다 매우 낮은 밀도로 유지되었다. 총채벌레와 O. strigicollis가 꽃에 더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포식자 탐색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CNT, PAT와 NRT에서 고추 열매의 피해도 지수는 각각 0.31, 0.05와 0.08이었고, 피해과율은 각각 80.0, 17.1과 24.8%로 NRT의 피해도 지수와 피해과율은 PAT보다는 높았으나 CNT에 비해서는 매우 낮아 고추에서 O. strigicollis를 이용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