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7D50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3초

공용 컬러맵(코드북)을 이용한 고화질 인덱스 영상의 구현 (Implementation of High Quality Indexed Image utilizing Common Color Map(Codebook))

  • 최용수;이달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2호
    • /
    • pp.91-97
    • /
    • 2013
  • 현재의 IT 환경에서 영상 또는 영상처리 기술은 많은 부분에서 응용이 되고 있고 또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벡터 양자화 방법을 통해 원본 BMP영상을 인덱스 영상과 제안하는 codebook으로 재구성하고 동일한 픽셀 깊이 내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2^n$ 개의 컬러 코드북(맵)를 가지는 영상에 공용 맵 기법을 적용함으로서 $2^{n+1}$ 개의 컬러 코드북 정도의 화질로 표현이 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출력영상을 원본 BMP영상과 비교했을때 JPEG과 같은 8 bit 인덱스 영상의 출력 시 보다 약 2 dB 정도 높은 PSNR을 제공해주며 이는 9 bit 인덱스를 사용했을 때의 화질과 거의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계혈등 추출물의 항산화와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저해 효과 (Effects of the Spatholobi calulis extract on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Human Skin Fibroblasts)

  • 심관섭;김진화;이동환;박성민;표형배;;이범천
    • KSBB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40-4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계혈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in vitro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 및 사람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계혈등 추출물의 DPPH와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IC_{50}$은 각각 $45.81{\mu}g/ml$, $3.11{\mu}g/ml$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도 $80{\mu}g/ml$에서 $97.33\%$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사람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저해효과는 계혈등 추출물 $10{\mu}g/ml$에서 $74.66\%$로 단백질 수준에서 우수한 발현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RNA수준에서도 계혈등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계혈등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MMP-1 효소 활성저해 효과와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항노화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굴, Crassostrea gigas 유생의 먹이생물 섭취 크기 (Ingestion size of food microalga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larvae)

  • 허영백;전창영;조기채;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7-315
    • /
    • 2011
  •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 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 C. simplex는 평균 각장 $189.3{\pm}13.8{\mu}m$ 크기인 중형 각 정기 이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 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65.0-100.0{\mu}m$의 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306.2{\pm}14.7{\mu}m$ 이상에서 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102.3{\mu}m$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4.6{\mu}m$ 이하, $158.3{\mu}m$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9.3{\mu}m$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158.3{\mu}m$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9.3{\mu}m$까지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10.0{\mu}m$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3차원 포인트 공간자료 가시선 분석 실험 (Experiment LOS Analysis of 3D Point Spatial Data)

  • 박재선;어양담;연상호;문재흠;김형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5-61
    • /
    • 2010
  • 본 연구는 지상라이다로부터 획득한 3차원 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공간자료를 격자(gridded) 및 비격자(un-gridded)로 구분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가시선 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모델의 형태에 따른 가시선 분석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험지역의 가시선 최대 도달거리를 A지역 30m, B지역 40m, C지역 50m로 구분하였고, 가시선 분석 소요 시간과 가시되는 점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비격자모델의 경우, 격자모델에 비해 지역별로 A지역은 약 3.9배, B지역은 약 5.4배, C지역은 약 6.5배 정도 많은 시간이 가시선 분석에 소요되었으며, A지역은 약 0.97배, B지역은 약 0.93배, C지역은 약 0.94배 정도 적은 가시점 개수가 측정되었다. 가시선 분석 소요시간은 가시선의 최대도달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격자모델과 비격자 모델의 차이가 증가함을 알 수 있고, 반면에 가시되는 점의 개수는 가시반경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국내 홀스타인 젖소의 비유지속성 평가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Lactation Persistency Evaluation in Korean Holstein Dairy Cattle)

  • 조광현;윤호백;조충일;민홍립;이준호;공홍식;이학교;박경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173-178
    • /
    • 2013
  • 본 연구는 홀스타인 젖소, 436,690두의 검정일 유량기록 총 4,366,900개를 이용하여 비유지속성에 대한 특성과 새로운 평가형질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1산차, 2산차와 3산차 이상의 평균 비유지속성은 각각 97.5%, 95.1%와 94.6%였으며, 최고 유량 도달 이후 비유지속성이 일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분만 후 최고유량에 도달하는 평균 비유일수는 약 50일로 조사 되었으나 실제로 2차 검정(36~66일)시에 최고 유량에 도달하는 개체의 기록은 전체 자료의 33.2%에 불과하였다. 또한 1차 검정시에 최고 유량에 도달한 개체들의 비유일수에 따른 유생산량 변화는 2~4차 검정에서 최고유량을 나타내는 개체들의 변화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평균 비유지속성에 대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각각 0.16과 0.35로 추정되었으며, 10차 검정시 평균 비유지속성에 대한 검정차별 유전상관을 보면 7차 검정시 이상일 때 0.91이상이었으며, 검정차수가 줄어들수록 유전상관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Data I에 대한 Data II와 III의 육종가 상관은 각각 0.80과 0.72, 순위 상관은 각각 0.78과 0.71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료가 추가될수록 육종가 및 순위 상관은 낮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 수면, 우울과의 관련성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and its Relation to Sleep and Depression)

  • 송호광;정미향;성다정;정정경;최진숙;장용이;이진성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2호
    • /
    • pp.100-108
    • /
    • 2010
  • 목 적: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의 정확한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와 진단 기준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청소년은 발달 과정 중에 있기 때문에 인터넷 중독에 더 취약할 가능성이 있으며, 우울감과 수면 문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수면 양상, 그리고 우울감의 특징과 그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서울 시내 일 중, 고등학교의 중학교 2학년(155명),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64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696명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에는 Young 인터넷 중독 척도(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YI-AS),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우울감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그리고 인터넷 사용 패턴과 기본적인 인구학적 정보에 대한 질문들이 포함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을 학년별, YIAS 점수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고, YIAS와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wo-tailed, p<0.05). 결 과: 인터넷 중독군(internet-addicted, IA)은 14명(2.0%), 과사용군(over-using, ou)은 193명(27.7%), 비중독군(not-addicted, NA)군은 489명(70.3%) 이었으며, 전체 대상군의 평균 IAS 점수는 35.24점, PSQI 점수는 5.53점, CES-D 점수는 16.72점이었다. 평일 평균적인 수면 시간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점 감소하였다(F=51.909, p< 0.001). IA군, OU군, NA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컴퓨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96.36${\pm}$63.31분 vs. 134.92${\pm}$86.79분 vs. 213.57${\pm}$136.87분, F=34.287, p<0.001), 휴대용 전자기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84.22${\pm}$79.11분 vs. 96.97${\pm}$91.89분 vs. 152.31${\pm}$93.64분, F=5.400, p=0.00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SQI 총점(5.26${\pm}$2.97 vs. 6.08${\pm}$2.97 vs. 7.50${\pm}$4.41, F= 8.218, p<0.001)과 CES-D 점수(15.40${\pm}$8.08 vs. 19.05${\pm}$8.42 vs. 30.43${\pm}$13.69, F=32.692, p<0.001)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YIAS 점수는 컴퓨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r=0.356, p${\pm}$0.001), 휴대용 전자기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r=0.136, p<0.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YIAS 점수와 PSQI 점수(r= 0.131, p=0.001), YIAS 점수와 CES-D 점수(r=0.265, p< 0.001), PSQI 점수와 CES-D 점수(r=0.357, p<0.001)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인터넷 중독은 행위 중독의 한 가지로 여러 정신병리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우울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평가할 때 동반될 우울감과 수면 양상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지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음성인식을 위한 잡음하의 음성왜곡제거 (The suppression of noise-induced speech distortions for speech recognition)

  • 지상문;오영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12호
    • /
    • pp.93-1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잡음에 의해 기인된 음성의 왜곡을 제거하여 음성인식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기술한다. 잡음 환경에서는 음성의 발성 방식이 변이하고(롬바드효과), 잡음이 음성신호에 첨가되므로 음성인식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롬바드 효과는 주변 잡음의 크기나 종류, 화자의 특성과 음소 등에 종속적인 비선형적인 변환이므로 측정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롬바드 효과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롬바드 효과의 크기에 따른 롬바드 효과의 보정방법을 제안한다. 잡음에 의한 음성의 왜곡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서 제거한다. 우선, 스펙트럼 차감법을 사용하여 음성에 포함된 잡잡음을 제거하고, 음성의 동적인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대역 통과 필터링을 한다. 두 번째로 에너지 정규화 과정을 통해서 롬바드 효과에 의한 음성의 발성 강도의 변이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롬바드 효과의 크기 척도는 롬바드 음성의 켑스트럼에 존재하는 왜곡을 제거하는 변환에 이용한다. 제안한 방법을 음성인식에 적용한 결과, SNR(signal-to-noise ratio) 0, 10, 20 dB에서 46.3%, 75.5%, 87.4%의 인식률을 82.6%, 95.7%, 97.6%로 향상시켰다.

  • PDF

한국인 성인 하악각에 대한 두부계측 방사선학적 연구 (THE CEPHALOMETRIC STUDY OF KOREAN MANDIBULAR ANGLE)

  • 박정하;황경균;김용재;우순섭;유임학;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226-231
    • /
    • 2003
  • The contour of mandibular angle is important for facial esthetics in the oriental population, because the wide and square face is thought to have had an unhappy life. A prominent mandibular angle produces a characteristics quardrangle, coase, and muscular appearance. So, uni- or bi-lateral mandibular angle reduction is usually performed. However, there is little guideline for bi-lateral angle reduction. 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Korean mandibular angle for bi-lateral mandibular angle reduction as guideline. This study was included 66 adult men and women over 19 years old who are having the normal mandibular angle. We measured the posterior border, angle, and inferior border of mandible using cephalometric view. The results of study was as followed : 1. The ratio of posterior mandible was 96.6, 97.3% in male, and 103.0, 106.0% in female. 2. The ratio of mandibular angle(R1-Go/R1-R2) was 120.2% in male, and 117.3% in female. 3. The ratio of inferior mandible(D5, 6, 7, E, F, G/D4) was 97.3, 90.9, 79.5, 65.2, 57.8, 46.9% in male, and 98.5, 91.2, 80.5, 67.6, 59.1, 50.2% in fem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ful to decide accurate amount of reduction.

아이소소바이드의 효과적 산화반응을 위한 루테늄/템포/나이트레이트 촉매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uthenium/TEMPO/Nitrate Catalyst System for Efficient Oxidation of Isosorbide)

  • 이르샤드 모비나;유정아;오영탁;김정원
    • 공업화학
    • /
    • 제33권1호
    • /
    • pp.103-10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이소소바이드(1,4:3,6-dianhydro-D-glucitol)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아이소소바이드-디케톤[2,6-dioxabicyclo(3,3,0)octan-4,8-one]으로의 높은 선택적 전환을 통한 효율적인 루테늄/템포/나이트레이트 촉매 시스템 개발에 대해 보고한다. 미래의 제조 공정에서의 중요한 플랫폼 화합물 중 하나는 아이소소바이드이다. 오랜 시간 동안, TEMPO(2,2,6,6-tetramethylpiperidine-N-oxyl)는 알코올을 카보닐 화합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본 화학 반응에서는 산소 1atm 압력하에, Ru (10 mol%), TEMPO (5 mol%), 질산나트륨(0.03 mmol) 그리고 아이소소바이드(0.5 mmol)를 용매 아세트산(3 ml)을 사용하여 최적화되었다. 이러한 촉매 시스템은 이중 산화 촉매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가능성뿐만 아니라, 생성물에 대한 원하는 반응물의 높은 선택성(> 97%)과 수율(87%)을 보여주었다.

두유박을 이용한 보리 된장 제조 (Utilization of Soymilk Residue for Barley Doenjang)

  • 김재욱;허병석;박우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2호
    • /
    • pp.91-97
    • /
    • 1989
  • 두유제조에서 얻어지는 두유박을 활용할 목적으로 보리된장을 만든 결과 된장 숙성중 환원당은 모든 시험구가 숙성 50일경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amino태 질소 함량은 각 시험구 다같이 50일까지는 현저히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증가가 약간 둔화되며 시험구별로는 두유박 배합비가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총산 함량은 30일까지는 현저하게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으며 각 시험구별로는 그 차이가 극히 적었다. 숙성 80일되는 각 시험구의 색도에서는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명도가 높으며 적색도가 약해지는 반면 황색도가 높아졌다. 숙성 90일되는 된장의 관능검사 결과 콩나물 된장국은 대조구가 가장 좋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맛은 약간 떨어지나 시험구 A(보리코지100, 대두 75, 두유박 25), B(보리코지 100, 대두50, 두유박 50), C(보리코지 100, 대두 25, 두유박 75)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된장 그대로의 맛도 대조구가 가장 좋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점수가 떨어졌으나 대조구와 시험구 A,B 사이 시험구 A,B,C 사이 그리고 시험구 B,C,D(보리코지 100, 대두 0, 두유박100)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