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7C80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6초

저소음 특성을 가지는 적층 칩 세라믹 캐패시터용 유전체의 유전특성 (Dielectric properties of dielectric for Mu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low noise)

  • 윤종락;이석원;이헌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284-28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저소음 및 저 신호 왜곡 특성을 가지는 내환원성 유전체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Ca_{0.7}Sr_{0.3})(Zr_{0.97}Ti_{0.03})O_3$$CaTiO_3$, $SrTO_3$, $BaTiO_3$를 첨가하여 이에 따른 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첨가량의 조절 및 glass frit 첨가를 통하여 환원성 분위기에서도 유전율 80 ~ 100, 절연저항 (R*C) 500[ohm-F] 이상의 유전특성을 얻었다. 본 연구결과로 얻어진 유전재료를 적용하면 무소음 및 저 신호 왜곡 특성을 가지면서도 고 신뢰성의 MLCC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Progress of renewable energy in India

  • Kar, Sanjay Kumar;Gopakumar, K.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97-115
    • /
    • 2015
  • Energy holds key to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of India. Currently, India has very high-energy import depende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crude oil (80%) and natural gas (40%). Even coal import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years. Considering India's population growth, emphasis on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service industry, energy consumption is bound to increase. More fossil energy consumption means greater dependence on energy import leading to widening trade deficit and current account deficit. Therefore, exploitation of indigenous renewable energy production is necessary. The paper reviews the progress and growth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 India. The paper highlights some of the enablers of renewable energy in India. The authors discus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increasing share of renewable energy to reduce energy import and address issues of energy security in India. The findings suggest that India is ready for a quantum leap in renewable production by 2022.

수출냉동선어의 저온성대장균군 및 일반 microflora의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ION OF PSYCHROTROPHIC COLIFORMS AND GENERAL MICROFLORA OF FROZEN FISH FOR EXPORT)

  • 신석우;김우준;강성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1977
  • 냉동수산물 가공 공장에서 전처리한 꽃새우, 붕장어, 쥐치를 동결처리전과 Contact freezer에서 $-30^{\circ}C\~-40^{\circ}C$로 급속동결한 것으로 구분하여 동결한 것은 32시간 저장하면서 8일 간격으로 일반세균, 대장균군 E. coli 균수측정을 하는 한편 분리균주를 동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료중의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E. coli의 분포 범위는 $6.5\times10^5\~9.6\times10^6/g,\;10\times10\~3.7\times10^4/g,<1.8\~2.4\times10^2/100g$으로 대장균군, E. coli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일반세균수는 동결처리전후 별 변동이 보이지 않았다. 2. 대장균군 97균주를 분리하여 K. aerogenes 14주, K. cloacae 4주만을 동정했고 그 외는 모두 비동정균 이였다. 3. 대장균군의 약 $90\%$$5^{\circ}C$에서 1주일 이내에 발육가능한 저온성 대장균이였다. 4. 동결처리전의 일반세균 Flora는 Vibrio, Pseudomonas가, 동결처리후는 Flavobacterium-cytophaga, Moraxella가 우세하였다. 5. 동결어에 있어서 우세한 Flavobacterium-cytophaga는 $5^{\circ}C$에서 10일 이내에 발육하지 않은 균주가 약 $80\%$를 점하였고, Moraxella는 $5^{\circ}C$에서 전균주가 발육가능하였다.(본 연구는 1976연도 문교부 학술연구 조성비에 의한 것임).

  • PDF

간벌 강도가 소나무림의 토양, 낙엽층 및 고사목 탄소 저장량에 미치는 영향 (Thinning Intensity Effects on Carbon Storage of Soil, Forest Floor and Coarse Woody Debris in Pinus densiflora Stands)

  • 고수인;윤태경;김성준;김춘식;이상태;서경원;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30-3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간벌 시행 4년 후, 간벌 강도에 따른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탄소 저장량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정선군 소재의 소나무림 연구지 1과 경기도 광릉 시험림 내 소나무림 연구지 2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8년에 임분 밀도를 기준으로 간벌 강도를 달리한 3개의 처리구를 각 연구지에 설치하였다. 연구지 1은 대조구(0%), T20 처리구(20%), T30 처리구(30%)로 설계하였으며, 연구지 2는 대조구(0%), T39 처리구(39%), T74 처리구(74%)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0-50 cm 깊이의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탄소 저장량을 측정하였다. 연구지 1에서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총 탄소 저장량은 T30 처리구($109.80t{\cdot}C{\cdot}ha^{-1}$)가 대조구($86.69t{\cdot}C{\cdot}ha^{-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구지 2의 총 탄소 저장량은 T74 처리구($97.02t{\cdot}C{\cdot}ha^{-1}$)가 대조구($72.04t{\cdot}C{\cdot}ha^{-1}$)와 T39 처리구($63.25t{\cdot}C{\cdot}ha^{-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지 1과 연구지 2에서 간벌 강도가 가장 강한 처리구의 총 탄소 저장량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벌이 토양, 낙엽층, 고사목 탄소 저장량에 미치는 단기간의 영향을 분석한 것이므로 보다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종횡비 가 낮은 직각밀폐용기내 의 Prandtl 수 가 큰 유체 의 자연대류 에 관한 실험적 연구 (High prandtl number natural convection in a low-aspect ratio rectangular enclosure)

  • 이진호;황규석;현명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750-756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종횡비 0.1이고 상.하 수평경계면이 단열된 직각밀폐용기내에 서 Pr수가 1보다 큰 물(Pr=6.97, 20.deg. C) 및 실리콘 오일(Pr=1086.42, 20.deg. C)의 양단의 온도차에 의한 자연대류에서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코어형상에 주안점을 두고 실 험적으로 관찰,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Lee의 이론적인 예측과도 비교, 검토해 보았 다.

3세대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IEEE802.11n 광대역 무선랜에 대한 채널 간섭 분석 (Channel Interference Analysis of Wideband WLAN Based IEEE802.11n for 3rd Generation Digital Signage)

  • 고호정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1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3세대 디지털 사이니지 대용량 고속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IEEE802.11n 표준 기반 40MHz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랜에 대한 동일채널, 인접채널, 인적차폐(Body Blockage)에 의한 채널 간섭 영향을 분석 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동일채널 간섭기기와는 63m 이상의 보호 이격거리에서 78개 이내의 간섭기기와 운용이 가능하고, 인접채널들과는 61m 이상에서 80개 이내, 간섭채널이 동시에 존재하는 멀티채널에서는 97m 이상의 보호 이격거리가 필요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간섭완화 기법을 통해 동일채널 간섭에서 빔포밍 적용시 51m로 개선되었고, CR(Cognitive Radio) 적용시 40m로 개선됨을 확인 하였다. 인적차폐 영향시, 채널 대역폭 조절, 간섭 보호 비(C/I) 조절, 빔포밍, 전력제어 기법을 통해 인적차폐로 인한 감쇄가 완화됨을 확인 하였다.

가덕도 연안 해수에서 분리된 Vibrio vulnificus의 검출 특성 및 항생제 내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Sea Water Along the Gadeok Island Coast)

  • 오희경;정희진;정금재;신혜영;신중호;정원교;오정환;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912-917
    • /
    • 2021
  •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seawater at Gadeok Island, the Republic of Korea between June to October. Interestingly no isolates were detected between December to February. The detection rate of V. vulnificus was high (80-100%) from July to September 2019 and from June to September 2020. This coincided with the relatively low salinity of the seawater, which ranged from 7.8-29.9 practical salinity units for that period. Additionally, V. vulnificus had a high detection rate at sampling stations near the Nakdong river. The detection rates of virulence genes, such as vvhA, viuB, and vcgC, among the isolates were 97.1%, 44.1%, and 57.4% in 2019 and 100%, 43.0%, and 50.0% in 2020, respectively. Notably, viuB and vcgC were detected in V. vulnificus isolated between June to October when water temperature was above 20℃.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alysis of 80 isolates revealed that most of th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most antimicrobial agents. However, some isolates showed intermediate resistance to cefepime (18.8%), cefoxitin (58.8%), and erythromycin (22.5%). Of note, 3.8% of the tested strains were resistant to cefoxiti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highly cefoxitin-resistant strains was determined to be less than 32 ㎍/mL.

흑진주벼 미강으로부터 생리기능성 물질의 탐색 및 추출조건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Oryza sativa L.))

  • 이국영;김재호;손종록;이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6-301
    • /
    • 2001
  • 혹진주벼 미강으로부터 생리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이용한 생리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흑진주벼 미강에 함유되어있는 유용물질들을 추출한 후 이들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고 미강 중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ACE저해활성물질과 혈전용해활성물질, 전자공여물질과 tyrosinase 저해물질들의 추출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ACE 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액에서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hexane 추출액에서 높았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흑진주벼 미강에 물을 1 : 20으로 첨가하여 2$0^{\circ}C$ 에서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ACE 저해활성물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물을 1 : 10으로 하여 35$^{\circ}C$에서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혈전용해활성물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전자공여물질은 20배의 hexane으로 2$0^{\circ}C$에서 18시간, tyrosinase 저해제는 10배의 물로 2$0^{\circ}C$에서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많이 용출 되었다.

  • PDF

Musculoskeletal Health of the Adults Over 50 Years of Age in Relation to Antioxidant Vitamin Intakes

  • Namhee Kim;Yeji Kang;Yong Jun Choi;Yunhwan Lee;Seok Jun Park;Hyoung Su Park;Miyoung Kwon;Yoon-Sok Chung;Yoo Kyoung Park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84-97
    • /
    • 2022
  • A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rapidly, interest in musculoskeletal health is also emerging. Here, we investigated how antioxidant vitamin intake and musculoskeletal health are related. Adults aged 50 to 80 years with a body mass index (BMI) of 18.5 to 27.0 kg/m2 were included. Bone mineral density (BMD), lean mass (LM),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index (ASMI) were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and the grip strength and knee extension using hand dynamometer. Nutrient intakes were measured using a 24-hour recall questionnaire. A total of 153 adults (44 men and 109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E and BMD and between vitamin C and LM/Height.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ir vitamin E and C intake met the recommended intake for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The prevalence of having low T-score (< -1.0) and low ASMI (< 7.0 for men and < 5.4 for women) was 51.3% and 15.4% in the group with vitamins C and E intakes below KDRIs. After adjusting for sex, smoking status and energy, protein, vitamin D, and calcium intake, the group with vitamins C and E both below the KDRIs displayed a significantly lower BMD at all test sites and LM/Height compared with vitamin C and/or E intake above the KDRIs groups. We conclude that sufficient intake of vitamin E and C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BMD and lean mass in Korean adults over 50 years of age.

미생물 오염 용수 관개에 의한 작물의 오염 위험성 (Irrigation with Microbial-Contaminated Water and Risk of Crop Contamination)

  • 최연식;송인홍;권순국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2호
    • /
    • pp.87-97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rop contamination between two irrigation methods using microbial-contaminated water.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microbial survival of the three indicator microorganisms was also investigated. Escherichia coli ATCC 25922,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3624, and coliphage PRD1 were applied to irrigation water to grow cantaloupe, lettuce, and bell pepper. Half of the sixteen plots were subsurface drip irrigated (SDI) and the other half were furrow irrigated (FI). Two relative humidity levels were controlled at 15-65 % and 55-80 % for the dry and humid condition experiments, respectively. Samples of produce, surface soil, and subsurface soil at a depth of 10 cm were collected over a two-week period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study microorganisms. Overall, greater contamination of both produce and soil occurred in the FI plots. For the SDI plots, preferential water paths and resulting water appearance on the seed bed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produce contamination. Relative humidity levels did not appear to affect microbial survival in soil. PRD 1 showed lower inactivation rates than 5. coli in both dry and humid conditions. C. perfringens did not experience significant inactivation over the experimental period, suggesting this microorganism can be an effective indicator of fecal cont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