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60nm LED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광전 방식에 의한 피하 지방층의 비만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 Measurement at Subcutaneous Adipose by Optical and Electrical Method)

  • 오세용;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405-407
    • /
    • 2008
  • 광학적 방식에 의한 비침습적으로 신체 전체의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단일 특정 부위에서 측정하는 것은 오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여러 부위에서 측정하고 이를 통계적 방법에 의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백색광 LED광원을 이용하고 전기적 방식인 BIA(Bio-electrical Impedance)방식으로 동시에 측정하여 광전기적 지방측정에 관한 상관식을 유도하였다.

  • PDF

LED 광원에 대한 암순응시 볼락 (Sebastes inermis)의 시각 스펙트럼 민감도 (Visual spectral sensitivity of dark-adapted rockfish (Sebastes inermis) in LED light source)

  • 허민아;강경미;신현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1호
    • /
    • pp.102-110
    • /
    • 2015
  • The characteristics of aquatic light fields a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visual systems of fishes inhabiting them. Therefore, research on light sensitivity of fish is useful to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function and habitat, behavior and distribution of fish. Rockfish is an important species in coastal ecology and also one of the main species for culturing in Korea. To make a contribution on the maintenance of the fish resources and understanding the ecology of the rockfish, the visual spectral sensitivities of the dark-adapted rockfishes were measured in the range of visible light (405~660 nm) using a light source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In order to assess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fish, the ERGs (electroretinograms) of the dark-adapted rockfishes were recorded on a data logger (12 bits) and a laptop computer. Juvenile (n=5; weight: $20.3{\pm}5.2g$; total length: $10.3{\pm}0.7cm$) and adult (n=5; weight: $87.8{\pm}21.8g$; total length: $18.1{\pm}1.3cm$) rockfishes were used in experiment. The visual threshold of juvenile and adult rockfish were 11.66 (log quanta/$cm^2/s$) and 11.81 (log quanta/$cm^2/s$) in 574 nm, respectively. The peak wavelength of the spectral sensitivity in the dark-adapted juvenile and adult rockfish was commonly 551 nm (series of green color). Coll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ockfish has suitable visual capabilities for inhabiting coastal water in Korea.

LED 광질에 따른 고구마의 묘소질 및 괴근 수량성 (Growth and Tuber Yield of Sweet Potato Slips Grown under Different Light-Emitting Diodes)

  • 이나라;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6-363
    • /
    • 2014
  • 몇가지 LED 광질이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생장과 포장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신황미', '연황미', '맛나미' 등 3품종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20일간 담액수경 재배하여, 자연광하에서 10일간 순화시켜 30cm 크기의 삽수를 $75{\times}25cm$로 6월 10일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하였다. LED 광질은 형광등(40W)을 대조구로 하여 적색(660nm), 청색(460nm), 적+청 8:2 및 적+청 7:3 혼합광을 사용하였다. 묘소질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줄기신장, 줄기두께, 잎수 및 뿌리발달 등이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식 30일후, 포장 생존율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형광등과 적색 LE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등의 지상부 생육특성도 LED 광질 및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식 120일후 지상부 생육특성에서도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곁가지수, 생체중 등에서 LED 광질에 따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줄기길이, 마디수, 줄기두께, 생체중 등에서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당평균중, 평균괴근중 및 수량 등은 LED 광질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품종간 수량은 '맛나미'와 '연황미'에서 '신황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파장에 따른 Chlorella vulgaris의 생장과 지방산 생산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ight Quality on Growth and Fatty Acid Production in Chlorella vugari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 김지훈;김동건;이철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4-29
    • /
    • 2016
  • Microalgae are considered as superior biodiesel producers, because they could effectively produce high amount of lipid with fast growth rate. In this study, Chlorella vulgaris was exposed to various light wavelengths (${\lambda}_{max}$ 470 nm, ${\lambda}_{max}$ 525 nm, and ${\lambda}_{max}$ 660 nm)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s) to examine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ir growth and fatty acid production in 0.4-L bubble column photobioreactors. Fluorescent lamps were also used as polychromatic light sources (control). From the results, biomass productivity was varied by light wavelength from 0.05 g/L/day to 0.30 g/L/day. Maximum biomass productivity was obtained from red LED among tested ones. We also observed that contents of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hich affect biodiese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changed depending on supplied wavelengt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roduction of algal biomass, and fatty acid content and productivity could be improved or controlled by supplying specific light wavelength.

적색광을 이용한 들깨의 개화조절 (Flowering Control Using by Red Light of Perilla)

  • 홍성창;권순익;김민경;채미진;정구복;강기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4-228
    • /
    • 2012
  • 적색 LED를 이용한 들깨의 개화억제를 위한 일장연장처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적색광에 대한 들깨의 개화와 생육반응을 검토하였다. 들깨는 적색광에 의한 일장연장 처리로 개화가 억제되었으나 초적색광 조사로 개화하여 광가역성을 나타냈다. 인공생육실 환경하에서 적색광 $0.177{\mu}mol/m^2/s$ (PAR : $0.62{\mu}mol/m^2/s$)로 일장연장 처리시 들깨의 개화가 억제되었다. 비닐하우스 시험포장에서 적색광 $0.2{\mu}mol/m^2/s$ 처리(PAR : $0.7{\mu}mol/m^2/s$)는 관행의 백열등 30 Lux 처리와 같이 개화하지 않고 영양생장을 지속하였다. 적색 LED장치를 이용한 일장연장 처리는 관행의 백열등 처리보다 들깨의 초장은 3%, 엽수는 7%, 엽생체중은 21%, 엽면적은 19%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다양한 빛 파장 및 식물 스트레스 유발 화합물이 콩나물 경도 및 유리 아미노산 (Free Amino Acid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Wavelength on the Hardness and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Soybean Sprouts)

  • 차미정;박의호;강선철;백광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2-408
    • /
    • 2011
  • BACKGROUND: Effect of various light wavelength and plant defense molecules were evaluated on the hardness and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 includin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soybean sprouts. METHODS AND RESULTS: Germinating soybean seeds were treated with various single wavelength of light (380, 440, 470, and 660 nm) or without light at $25^{\circ}C$ for six days. Soybean seeds were also treated with stress-signaling molecule ethephon or $H_2O_2$ at the same tim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470 nm substantially raised the hardness almost two times than the control.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470 nm and $H_2O_2$ treated soybean seeds than the control. Nutritionally beneficial GABA contents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s of 470 nm, 440 nm, ethephon, and $H_2O_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rdness and the contents of amino acids can be regulated by stimuli, which stimuli could be composed of various wavelength and plant defense molecules. Especially, single wavelength 470 nm illumina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GABA contents with increased hardness.

상이한 광질 및 광주기 하에서 UV-A LED 부가 조사가 상추의 생장, 안토시아닌 및 아스코르빈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Contents of Anthocyanins and Ascorbic Acid in Lettuce as Affected by Supplemental UV-A LED Irradiation with Different Light Quality and Photoperiod)

  • 김용현;이재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96-606
    • /
    • 2016
  • 본 연구의 공시품종은 적치마 상추(Lactuca sativa L., cv. 'Jeokchima')로서 파종 후 본엽이 4매일 때 식물공장 내에 설치된 DFT 재배시스템에 정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크파장이 각각 450nm, 660nm, 365nm인 청색 LED, 적색 LED, UV-A LED를 이용하여 청색 LED (B), 적색 LED (R), 청색+UV-A LED (BUV), 적색+UV-A LED (RUV) 등 4개의 처리구를 설정하였고, 대조구로서 3파장 백색형광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광주기(명기/암기)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3수준(12/12h, 16/8h, 20/4h)의 광주기를 설정하였다. 식물공장 내 환경 조건은 기온(명기/암기) $22/18^{\circ}C$, 상대습도 70%, $CO_2$ 농도 $800{\mu}mol{\cdot}mol^{-1}$로 조절하였다. 한편 광합성유효광양자속과 UV-A LED의 조사강도는 각각 $230{\pm}11{\mu}mol{\cdot}m^{-2}{\cdot}s^{-1}$, $80{\pm}3mW{\cdot}m^{-2}$이었다. 정식 후 28일째에 측정된 상추의 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본 연구에서 적용된 광질 및 광주기에 따라 유의차가 인정될 만큼 다르게 나타났다. 명기가 증가할수록 R 처리구에서의 엽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한편 B 처리구에서는 잎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나, 엽록소함량은 증가하였다. UV-A의 부가 조사로 인하여 엽장, 엽폭, 엽면적 및 지상부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상추 잎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청색광 하에서 많이 증가하였으며, 명기가 짧아질수록 높게 축적되었다. 한편 UV-A의 부가 조사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의 증가 효과는 R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상추 잎의 아스코르빈산 함량은 광주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청색 또는 적색 LED에서 UV-A LED의 부가 조사에 따라 아스코르빈산 함량이 20-30%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추의 생장, 안토시아닌 및 아스코르빈산 함량에 미치는 UV-A LED의 조사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향후 폐쇄형 시스템에서 엽채류의 영양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UV-A LED의 운용 조건을 제시하고자 할 때 본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수확 후 LED와 UV-B 조사에 의한 아스파라거스 순의 항산화 기능 향상 (Post-harvest LED and UV-B Irradiation Enhance Antioxidant Properties of Asparagus Spears)

  • 유남희;정선균;이정애;최동근;윤성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88-198
    • /
    • 2017
  • 아스파라거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처리 전 그리고 12시간 암상태로 저장한 아스파라거스를 대조구로 하여 백색(색온도 45,000 k), 청색(peak 450 nm), 적색(peak 660 nm)의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여 수확한 아스파라거스 순을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200{\mu}mol{\cdot}m^{-2}{\cdot}s^{-1}$의 광으로 12시간 처리하고, UV-B(280 nm)를 0.5kJ 또는 1.0kJ로 처리하여 원예적 특성, 비타민C(total ascorbic acid), 루틴(rutin), 총 페놀(total phenolics) 및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s) 함량과 자유기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들 처리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생체중, 길이, 직경 등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며, UV-B0.5kJ에서는 당도와 엽록소 함량이 각각 9%와 41% 증가하였다.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 중에서 비타민 C 함량은 대조에 비하여 백색광(114%), 적색광 (137%) 및 UV-0.5 kJ(127%) 처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이나 UV-0.5 kJ 처리에서만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DPPH라디컬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백색광, 적색광 및 UV-0.5kJ 처리구에서 각각 43, 41 및 43%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색광 12시간 처리나 UV-B 0.5kJ 처리로 아스파라거스 순의 원예적 특성의 변화가 초래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등의 함량이 증가되고 자유기 소거능도 향상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확한 아스파라서스의 순에 적색광 12시간 또는 UV-B 0.5kJ을 처리하면 채소 또는 음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기능성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UV광원을 포함한 인공광원의 펄스폭 변조에 따른 적치마 상추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 of lettuce (Lactuca sativa L.) based on Pulse Width modulation of artificial light sources with UV-A.)

  • 곽수지;곽은지;이현희;이승기;한재웅;전명진;김웅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23-123
    • /
    • 2017
  • 식물공장 내 작물의 생육은 제공되는 인공광원의 광원 및 광질에 영향을 받으며, 광흡수 파장에 따라 다르다. 또한 광합성에 효과적인 형태의 빛의 계속적인 빛의 조사보다는 광 펄스를 조절하여 공급하여 준다면 더욱더 효과적인 생육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식물의 최적 생장을 위해 특정 파장대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LED특성을 사용하여 UV광원을 포함한 인공광원의 펄스폭 변조에 따른 적치마 상추의 생육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환경은 Red(660 nm), Blue(450 nm), UV(395 nm) LED를 8:1:1 비율로 광량 $160{\mu}mol{\cdot}m^2{\cdot}s^{-1}$, 주파수 1.25, 2.5, 3.75, 5.0 kHz로 조사하여 주었으며, 온도 $20{\sim}23^{\circ}C$, 습도 50~60%, $CO_2$농도 1,000 ppm으로 조성하여 주었다. 아시아종묘 적치마상추를 파종 후 18일 째 되는날 정식, 정식 후 14일 28일 째 되는날 SPAD, 지상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폭, 엽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엽폭과 엽장을 이용하여 엽형지수 산출, 지상부 지하부 생체중 값을 이용하여 S/R율을 산출하였다. SPAD 측정결과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SPAD함량은 감소하였으며, 1.25와 2.5 kHz에서 생육 시기 증가에 대한 SPAD함량 감소가 컸고, 3.75와 5.0 kHz의 경우 SPAD함량의 감소량은 작았다. 지상부 생체중은 3.75 kHz에서 121.51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2.5, 1.75, 5.0 kHz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났다. 지하부 생체중의 경우 3.75 kHz에서 31.31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2.5, 5.0, 1.25 kHz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엽형지수는 생육 시기가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75, 2.5, 5.0, 3.75 kHz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지상부 건물중 측정결과는 지상부 생체중 결과와, 지하부 건물중의 측정결과는 지하부 생체중 결과와 동일하였다. S/R율은 1.75 kHz를 제외하고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S/R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S/R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형지수는 엽폭/엽장으로 엽형지수를 산출한 결과로 값이 작을수록 엽폭이 넓은 형태를 의미하며, 생체중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던 3.75 kHz에서 엽형지수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3.75 kHz를 제외하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엽형지수의 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에 주파수에 따른 적상추의 생육은 3.75 kHz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Photodynamic Therapy Using Topically Applied 5-ALA, MAL and CLC for Canine Otitis Externa

  • Lee, Min-Ho;Song, Hee-Sung;Son, Wongeun;Yun, Young-Mi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20
  • Canine otitis externa is a common disorder in small animal practice with prevalence up to 20%. In a large percentage of cases, canine otitis externa is a chronic and recurrent disease also associated with drug-resistant bacteria that is difficult to treat with traditional antibiotics. Photodynamic therapy (PDT) is a new strategy to exterminate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fung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hotodynamic therapy against canine otitis externa using three photosensitizer (PS); 5-Aminolevulinic acid (5-ALA) and Methyl aminolevulinic acid (MAL) with semiconductor laser diode (SLD, 635nm of wave length), Chlorophyll-lipoid complex (CLC) with light-emitting diode (LED, 660nm of wave length). After PDT, dogs showed improved Otitis Index Score (OTIS) in swelling, exudate, odor, and pain. A result of the cytology test revealed decrease of bacteria and malassezia count in the oil immersion field and colony forming units count. PDT was effective as a bacteriocid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MRSP) and a fungicide of Malassezia pachydermatis. MAL and 5-ALA were more effective PS against canine otitis externa than C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PDT is a new strategy to exterminate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fungi. PDT can be considered as a new therapeutic approach for canine recurrent otitis externa and a countermeasure to drug resistance that is a disadvantage of traditional antibiotic and antifungal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