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4B/66B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2초

Comparison of postnatal catch-up growth according to definitions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s

  • Huh, Jisun;Kwon, Ji Yoon;Kim, Hye Ryun;Lee, Eun Hee;Rhie, Young-Jun;Choi, Byung Min;Lee, Kee-H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3호
    • /
    • pp.71-77
    • /
    • 2018
  • Purpose: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is confusingly defined as birth weight (BW) either below 3rd percentile or 10th percentile for infan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postnatal catch-up growth between SGA groups according to different definitions. Methods: Data of 129 infants born with BW below the 10th percentile and admitted to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and Ansan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at 6, 12, and 24 months.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 A (BW: <3rd percentile) and group B (BW: 3rd-10th percentile). Results: Group A included 66 infants and group B included 63. At age 6 months (n=122), 62.9% of group A and 71.7% (P=0.303) of group B showed catch-up growth in weight. At 6 months (n=69), 55.9% of group A and 80.0% of group B (P<0.05) showed catch-up growth in height. At 12 months (n=106), 58.5% of group A, and 75.5% (P=0.062) of group B showed catch-up growth in weight. At 12 months (n=75), 52.8% of group A and 64.1% of group B (P=0.320) showed catch-up growth in height. Up to age 24 months, 66.7%/80.0% in group A and 63.6%/80.0% in group B showed catch-up growth in weight/height. Conclusion: Despite different defini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GA groups in postnatal catch-up growth up to age 24 months, except for height at 6 months. Compared to infants with appropriate catch-up growth, low gestational age and BW were risk factors for failed catch-up growth at 6 months.

경기지방 소의 Buxtonella sulcata 감염 실태 (Incidence of Buxtonella sulcata from cattle in Kyonggi-do)

  • 홍기옥;윤희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2호
    • /
    • pp.135-138
    • /
    • 1995
  • 1984년도와 1994년도에 경기지방의 소분변 792두와 293두분을 조사한 결과 266두 (33.6%)와 101두(34.5%)에서 Buxtonelaa sulcata의 포낭이 분리되었다. 역종별로 조사한 바 종모우가 85.9%와 64.2%. 유우가 44.8%와 9.4%. 한우가 7.5%와 14.9% 그리고 비육우가 1.8%의 감염율을 보였다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봄철은 62.5%와 27.8%, 여름은 20.1%와 66.7%, 가을은 21.3%와 0%, 겨울은 34.8%와 64.6%의 감염율을 보였다. 소분변의 성상에 따라서 조사한 결과 B. sulcata가 감염되지 않은 소 526두와 192두 중 37.6%(198두)와 32.3%(62두)가 그리고 감염우 266두와 101두 중에서는 69.1% (184두)와 55.5% (56두)가 설사를 나타내었다.

  • PDF

닭에서 계두 예방 접종에 관한 연구 (Vaccination Studies against Fowl Pox in Chickens)

  • ;;;차세연;장형관;송희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3-257
    • /
    • 2007
  • 파유미 종 닭에 계두 및 구두 백신을 접종하고 2종의 백신에 대한 방어 능력을 방글라대쉬의 야외의 닭 사육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Take reaction'의 수율을 평가하여 이것을 더 나은 면역 반응과 관련지어 해석하였으며, 그룹 B와 그룹 C의 닭은 각각 93.33%와 100%의 면역 반응을 보여주었다. 1차 예방접종에 따른 평균 PHA 항체가는 B와 C 그룹에서 각각 $32{\pm}14.81$$33{\pm}13.66$으로 나타났다. 보강 접종 후 평균 PHA 항체가는 B 및 C 그룹의 전 처리군에서는 $46.93{\pm}16.52$$55.46{\pm}14.64$이었으며, 공격접종 2주 후 시점에서 향체가는 각각 $93.86{\pm}33.04$$110.93{\pm}29.29$로 나타났다. PHA 항체가는 백신 접종 후와 접종 후 처치군들에서 백신접종 전 항체가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현저한 PHA 항체가의 차이는 사용한 백신의 종류가 다양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기도 하였으나, 백신 접종을 받은 모든 닭들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보여주었다.

Effects of the Substitution of Mischmetal for PrNd on the Micro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of Rapidly Quenched (MM)PrNd-Fe-B Nanocrystalline Magnets

  • Zhao, Zeng-ru;Wang, Xin;Zhang, Xue-feng;Ma, Qiang;Liu, Yan-li;Li, Yong-feng;Liu, Fei;Wang, Gao-fe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2권1호
    • /
    • pp.60-64
    • /
    • 2017
  • Mischmetal of Bayan Obo ore was utilized to prepare the high performance $(Pr_{7.34}Nd_{21.86})_{1-x}MM_xFe_{68.7}Al_{0.1}Cu_{0.12}Co_{0.88}B$ ribbons using melt-spinning method. Phase composition and magnet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The ribbons mainly consist of $R_2Fe_{14}B$ phase in isotropic nanostructure. Both coercivity and maximum energy product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MM content. The magnetic parameters of the ribbons with MM = 20 % in mass are $B_r=7.38kGs$, $H_{cj}=13.66kOe$, $(BH)_{max}=11.81MGOe$. Henkel plots were applied to demonstrate the exchange coupling interaction between grains.

1.5비트 비교기를 이용한 인버터 기반 3차 델타-시그마 변조기 (Design of a Inverter-Based 3rd Order ΔΣ Modulator Using 1.5bit Comparators)

  • 최정훈;성재현;윤광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7호
    • /
    • pp.39-4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음성 신호의 디지털 데이타 변환을 위한 인버터와 1.5비트 비교기를 이용한 CMOS 3차 델타-시그마 변조기를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3차 델타-시그마 변환기는 연산증폭기 대신에 1.5비트 비교기를 이용한 멀티비트 구조로 낮은 OSR에서 단일비트 4차 델타-시그마 변조기 대비 높은 신호대 잡음비를 확보하고 인버터 기반 적분기를 사용하여 소모 전력을 최소화 시키며 인버터 기반 적분기 회로를 아날로그 덧셈기로 이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고 회로구조를 단순화 시켰다. 제안한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0.18um CMOS 표준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전체 칩면적은 $0.36mm^2$으로 설계되었다. 제작된 칩의 측정 결과 아날로그 회로는 공급전압 0.8V에서 $28.8{\mu}W$, 디지털 회로는 공급전압 1.8V에서 $66.6{\mu}W$로 총 $95.4{\mu}W$의 전력소모가 측정되었다.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동작주파수 2.56MHz, OSR 64배의 조건에서 2.5kHz의 입력 정현파 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SNDR은 80.7 dB, 유효비트수는 13.1 비트, 동적범위는 86.1 dB로 측정되었다. 측정결과로부터 FOM(Walden)은 269 fJ/step, FOM(Schreier)는 169.3 dB로 계산되었다.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L-Methionine의 생산 (L-Methionine Production by Protoplast Fusion of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and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 빈재훈;정수자;신동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1-567
    • /
    • 1991
  • 본 연구는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및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간의 protoplast fusion을 행하여 L-methionine의 생산성을 검토하고 발효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속배양을 행하였다.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500{\mu}g/ml$로 처리하였으며 B. flavum K-104($Thr\;Met\;Km^{r}\;Et^{r}\;Sm^{r}\;Tm^{r}$)와 C. glutamicum B-70($Thr\;Hos\;Km^{r}\;Et^{r}\;Sm^{r}\;Tm^{r}$)의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변이주에 $500{\mu}g/ml$의 lysozyme을 처리하였을 때 원형질체 형성을 및 재생율은 각각 99% 및 $64{\sim}66%$를 나타내었으며 융합 빈도는 3% PVP를 함유한 35% PEG 용액에서 $3.5{\times}10^{5}$을 나타내었다. Sodium alginate로 고정화시킨 융합주 BFCG 37은 72시간 회분배양에서 0.89g/l의 methionine을 생산하였고 연속배양에서는 $18.75mg/^{1}hr\;^{1}$의 L-methionine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Tannic acid와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균주의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 살충활성의 상승효과 (The Synergy Effects of Mixed Treatment with Tannic Acid and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 against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 진나영;정선영;박찬;백승경;서미자;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19-526
    • /
    • 2009
  • 국내 토양으로부터 파밤나방에 활성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에 대한 B. thuringiensis의 살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몇 개의 protease inhibitor를 조사하였으며, 이 중 단백질 분해 억제 능력이 가장 좋은 tannic acid을 선발하였다. B. thuringiensis의 배양액에 tannic acid을 혼합 처리하여 파밤나방 2령 유충을 대상으로 생물활성을 조사한 결과, B. thuringiensis 단독처리는 54.4%의 사충율을 보인 반면 B. thuringiensis와 4 mM tannic acid을 혼합하여 처리하면 64.0% 그리고 B. thuringiensis+40 mM tannic acid는 95.5%의 높은 상승효과를 각각 나타냈다. 그러나 B. thuringiensis+80 mM tannic acid 에서는 53.3%로 단독처리의 경우 보다 사충율이 낮게 나타났다. 3령 유충에서도 B. thuringiensis 단독처리는 60.0%였으며 B. thuringiensis+40 mM tannic acid는 93.3%로 사충율이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보였다. 야외포장 실험에서 B. thuringiensis 단독처리는 1회, 2회, 3회 누적 처리에서 각각 61.8%, 80.4% 그리고 47.3%의 사충율을 나타낸 것에 비해 B. thuringiensis와 40 mM tannic acid의 혼합 처리구에서는 83.9%, 89.4%와 66.8%로 사충율이 증가되었다.

히솝(Hyssopus officinalis)을 혼합한 쌀음료 제조조건 설정 (Establishment of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hyssop (Hyssopus officinalis)-rice drink)

  • 김학윤;김숙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5-352
    • /
    • 2015
  • 쌀과 히솝을 이용하여 히솝쌀음료를 가공하고자 제조특성을 조사하였다. 히솝쌀음료의 제조조건은 amylase 함량($X_1$, 1~5 mL), 당화시간($X_2$, 10~18 hr) 및 히솝 함량($X_3$, 1.0~3.0 g)으로 당화 후 당도, 황색도, 관능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당화 중 당 함량이 가장 많이 생성되는 조건은 amylase 함량 4.96 mL, 당화시간 14.93 hr 및 히솝 함량 2 g에서 $9.62^{\circ}Brix$로 나타났다. 황색도인 Hunter's color b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조건은 amylase 함량 1.90 mL, 당화시간 16.64 hr 및 히솝 함량 2.51 g에서 $14.86^{\circ}Brix$로 나타났다. 색상에 대한 최대의 관능평점은 amylase 함량 4.60 mL, 당화시간 15.66 hr 및 히솝 함량 1.57 g에서 4.09로 나타났다. 향미에 대한 최대의 관능평점은 amylase 함량 3.46 mL, 당화시간 10.79 hr 및 히솝 함량 1.45 g에서 3.99로 나타났다. 맛에 대한 최대의 관능평점은 amylase 함량 3.67 mL, 당화시간 17.64 hr 및 히솝 함량 1.76 g에서 3.17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종합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전반적인 기호도는 amylase 함량 3.73 mL, 당화시간 13.66 hr 및 히솝 함량 1.85 g에서 3.6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최적조건을 설정할 수 있었다.

대학교 학생식당의 소음저감을 위한 실내소음 실태분석 (Analysis on Indoor Noise Condition of Cafeteria in University Campus)

  • 최윤정;이선아;김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88
    • /
    • 2007
  •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for improving the sound environmental quality of cafeteria in university camp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physical level, type, and source of indoor noise by comparison with a restaurant near campus. Methods were field survey with measurement on equivalent and instant noise level and observation on noise type, and questionnaire survey to 60 students users. Surveys were carried out in the 8th and the 14th of December 2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door noise levels of the cafeteria were measured as $67.2{\sim}76.6$(average 73.3) dB(A)Leq5min and $60.3{\sim}90.5$(average 71.2) dB(A), but noise levels of the restaurant were $61.6{\sim}70.4$(average 66.9) dB(A)Leq5min and $59.8{\sim}70.6$(average 64.9) dB(A). 2) The users's responses on major noise type were 'noise by handling equipment and tableware', 'noise by moving chairs', and 'taking noise' in cafeteria, but 'taking noise' and 'background music' in restaurant. 3)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of indoor noise condition between with 2 subjects were caused by finishing materials, kitchen division type, and furniture type.

  • PDF

높은 정확도의 3차원 대칭 커패시터를 가진 보정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14비트 70MS/s 0.13um CMOS 파이프라인 A/D 변환기 (A Calibration-Free 14b 70MS/s 0.13um CMOS Pipeline A/D Converter with High-Matching 3-D Symmetric Capacitors)

  • 문경준;이경훈;이승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3권12호
    • /
    • pp.55-64
    • /
    • 2006
  • 본 설계에서는 무선 랜 등 최첨단 무선 통신 및 고급영상 처리 시스템과 같이 고해상도와 높은 신호처리속도, 저전력 및 소면적을 동시에 요구하는 고성능 집적시스템 응용을 위해 기존의 보정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14b 70MS/s 0.13um CMOS A/D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s- ADC)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がU는 중요한 커패시터 열에 인접신호에 덜 민감한 3차원 완전 대칭 구조의 레이아웃 기법으로 소자 부정합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였고, 3단 파이프라인 구조로 고해상도와 높은 신호처리속도와 함께 전력 소모 및 면적을 최적화하였다. 입력 단 SHA 회로에는 Nyquist 입력에서도 14비트 이상의 정확도로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해 게이트-부트스트래핑 (gate-bootstrapping) 회로를 적용함과 동시에 트랜스컨덕턴스 비율을 적절히 조정한 2단 증폭기를 사용하여 14비트에 필요한 높은 DC전압 이득을 얻음과 동시에 충분한 위상 여유를 갖도록 하였으며, 최종 단 6b flash ADC에는 6비트 정확도 구현을 위해 2단 오픈-루프 오프셋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준 전류 및 전압 발생기는 온-칩으로 집적하여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필요시 선택적으로 다른 크기의 기준 전압 값을 외부에서 인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시제품 ADC는 0.13um CMOS 공정으로 요구되는 2.5V 전원 전압 인가를 위해 최소 채널길이는 0.35um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측정된 DNL 및 INL은 14비트 해상도에서 각각 0.65LSB, 1.80LSB의 수준을 보이며, 70MS/s의 샘플링 속도에서 최대 SNDR 및 SFDR은 각각 66dB, 81dB를 보여준다. 시제품 ADC의 칩 면적은 $3.3mm^2$이며 전력 소모는 2.5V 전원 전압에서 235mW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