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대강 살리기 사업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Ubiquitous Under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유비쿼터스 수중환경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 Jo, Byung-Wan;Park, Jung-Hoon;Lee, Dong-Yoon;Yoon, Kwang-Won;Kim, Heoun;Kim, Yoon-Ki;Kim, Jang-Woo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33-436
    • /
    • 2011
  • 스마트폰, 아이패드, 갤력시S, 탭 등 비약적인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함에 따라, 한강 르네상스 및 4대강 살리기 사업, 각종 생태하천복원 등 새로운 수변문화공간 구축을 위한 공공 사업에서 첨단무선통신기술을 융합한 신개념의 서비스와 문화가 요구되고 있다. 서울시, 서울인근 지역의 강, 하천에 유량이 유입되는 주요지점에 수중환경감지 센서설치. 주변오염지역 감지 및 수중환경 생태를 실시간 감지하여 이상 징후(BOD, COD, DO, 전도, 탁도 등)발생이 예상되는 주변 오염원인 공장, 폐기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의 시설물을 D/B 관리하여 오염원 관련 피해주민에게 실시간 공지하여 대형사고 예방 및 청정하천 수중환경유지를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중환경(하천, 호수, 강 등)대한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센서수중환경에 적합한 4세대 센서 보드 설계 및 블록다이어그램 설계, 통신기술, 인터페이스 개발을 통해 수중환경에 적합한 센서 및 데이터 획득기술 개발한다.

  • PDF

Change Analysis of Eulsukdo Wetland Using Qualitative Multi-temporal Image Data (다중시기 영상자료를 이용한 을숙도 습지 지역의 정성적 변화분석)

  • Lee, Jae-One;Kim, Yong-Suk;We, Gwang-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2
    • /
    • pp.64-73
    • /
    • 2010
  • This research collected some multi-image information of Nakdong River Estuary Eulsukdo area in last 30 years, which are used as the basis information in running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opography relief's deformation. First, to obtain the data, this research carried out a field survey and GCP measurement, then classified and collected the image information by analog and digital image. The acquired images which have passed a high-precise scan process and geometric correction is manufactured by Ortho Mosaic image, then divided them into 9 sections time period classification before we run a qualitative analysis. In late of 1980's there are many changes of environmental topography deformation of the Eulsukdo area which caused by large scale building constructions, appeared to be known through this research. And then in late of 1990's, we organized the wild cultivated lands, started the wetland restoration of the artificial ecology, in 2000's we are able to know the existence of topograph relief change which caused by big scale of bridge construction. Hereafter, in this quick process of the environmental and topographical change of this area caused by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expected to be something applicable as important basic data.

Socio-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 Park, Doo-Ho;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6-370
    • /
    • 2009
  • GREEN, ECO and RENEWABLE ENERGY..아마 최근 가장 큰 화두가 되는 단어들일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이번정부의 경제살리기는 다름 아닌 '녹색성장'이 핵심이다.. 현재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사업인 4대강 살리기 등은 바로 녹색성장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성장은 하되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하자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 수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기후변화에 대한 논리적 그리고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반면 기후변화가 지나친 우려라고 반론을 제기하는 전문가도 적지 않다. 어떤 논리가 맞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본고에서 역시 어떤 논리가 맞는지에 대한 논의는 피하고자 한다. 지금 현재의 변화(평균온도의 상승, 집중강우의 증가 및 가뭄 등)들이 과연 확실한 기후변화의 징후인지 아닌지는 어느 누구도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들을 장기적인 기후변의 추세로 받아들인다면 과연 우리의 국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것은 검토는 반드시 되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나라에 도래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보다 신뢰성 높은 검토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에 올 수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예측하고 증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 또한 시급하다. 그 다음에 수반되는 것이 바로 시나리오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즉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사회경제적인 비용이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 지에 대한 평가이다. 정부의 정책은 결국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인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고 결과적으로 어떤 사회적인 비용이 초래될 것인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정책과 기술개발의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선진국들이 기후변화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기후변화 대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 PDF

Coordinated Operation of Weirs and Reservoirs of Nakdong River Basin considering River Water Quality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낙동강 수계 댐-보 연계운영)

  • Kim, Sheung-Kow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06-212
    • /
    • 2012
  • 2012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 1 단계가 완료 되었다. 추후 안동댐과 임하댐의 연결 사업과 낙동강 상류 내성천의 영주 댐과 금호강 상류에 보현 댐 건설이 예정 되어 있지만, 낙동강 수계에는 8개 보 건설이 완료되어 하천의 물리적 환경이 바뀌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보의 유지 및 운영 관리(주로 수질관리, 어도관리, 토사퇴적 및 세굴관리)가 중요하게 될 것이므로 기존의 상류 댐 운영 목표와 방식도 변해야 한다. 낙동강 수계는 11월부터 다음해 6월 까지가 갈수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갈수기에 수질을 담보할 유량이 실제로 흐를 수 있는지를 낙동강 유역 총체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하고, 방류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수량이 수질을 항상 보장해 주지는 못하지만, 용수공급 목표를 저해할 환경과 생태계를 위한 무리한 초과 방류를 해야만 할 경우가 발생한다면, 그로 인한 기존의 농업, 공업 및 생활용수 공급에 미칠 영향을 가늠해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좀 더 정교한 수질사고 시뮬레이션 모형, Water Pollution Accident Response Management System (WARMS)과, 하천수질예측시스템(Water Quality Forecasting System)모형 등, 수질을 고려한 3차원 모형과의 연동 및 연계를 염두에 두고, 시스템적 측면에서 수질과 수량을 한꺼번에 고려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한다는 점에서 효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댐-보 연계운영을 위한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 PDF

Heat Balance Monitoring in Seom River Basin using Satellite Imagery (위성영상을 이용한 섬강유역의 열수지 변화 모니터링)

  • Na, Sang-Il;Park, Jong-Hwa;Shin, Hyoung-Sub;Park, Jin-Ki;Oh,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0-750
    • /
    • 2012
  • 토지이용의 변화는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는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 특성의 변화로 열수지가 변화함으로써 미규모 및 중규모 기상현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 등의 대규모 토목사업으로 인해 넓은 면적의 지표면 상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른 수문순환 변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수문학 분야에서의 가장 큰 관심은 최신 기법을 적용한 수문분석 및 정확한 수문인자를 추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원격탐사나 GIS 기법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물리적인 요소를 고려할 수 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 103.5km, 유역면적 $1,478km^2$, 한강의 제 1지류인 섬강유역을 대상으로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에 따른 열수지 변화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역, 도심지, 나지, 초지, 산림, 농경지, 구름 및 그림자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위성영상을 열수지 모델에 적용하여 인자별 격자기반의 공간분포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종류에 따른 유역내 열환경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열환경 관점에서 유리한 토지피복 조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river flow change by supplying instream flow from a dam heightening reservoir (둑높이기 저수지 하천유지유량 공급에 따른 하천 유황 변동 분석)

  • Lee, Hyun Ji;Kang, Moon Seong;Hwang, Soon Ho;Kim, Kye 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9-429
    • /
    • 2017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둑 높이기 사업이 수행되었으며, 추가 저수량 확보를 통해 하천에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은 저수지별로 평균갈수량과 기준갈수량의 범위 내에서 방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천 유황의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나, 이로 인한 연구는 미흡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둑 높이기 저수지에서 하천유지유량 방류에 따른 하류하천의 유황변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역의 유출량은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를 이용하여 모의하였으며, 저수지에서 발생하는 유량은 인위적 유량으로 고려하여 모의하였다. 저수지에서 여수로로 자연월류되는 수량과 하천유지유량의 방류조건을 고려한 저수지 방류량을 산정하기 위해 저수지 물수지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산정된 방류량을 HSPF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둑 높이기 저수지의 하천유지유량이 하천 유황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추후 수계별, 저수지 규모별 등에 따른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ject Evaluation and Usage Behaviors on Visitors of Waterfront in Youngsan River (영산강 수변공간 방문객의 이용행태와 사업평가 분석)

  • Lee, Jeong-Rock;Jang, Mun-Hyun;Yoo, Sun-Ky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2
    • /
    • pp.247-261
    • /
    • 2013
  • The Youngsan River Restoration Project(YRRP) is to bring back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stream and to create a new waterfront. This project, which id part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began in 2009, and Juksan and Seungchon beams was completed, and waterway of Youngsan river also was constructed. Both sides of the river, bike trails, waterfront park of 70 places, including the composition and the amenities were instal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age behaviors and satisfaction on visitors of waterfront parks in Yeongsan River. Many visitors visit waterfront in order to walking and biking, there were many people who visit family and hobbyists club units. Visitors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waterfront in the new composition such as bike trails, walking roads, and ecological parks created by the YRRP. However, the major problems was the lack of amenities in the waterfront.

  • PDF

A Study on Utilization of GNSS and Spatial Image for River Site Decision Supporting (하천 현장업무 의사지원을 위한 GNSS와 공간영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Hyeon-Cheol;Choung, Yun-Jae;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1
    • /
    • pp.118-129
    • /
    • 2011
  •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information system of the rivers based on 3D image GIS by converging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S(Remote Sensing),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aerial laser survey(LiDAR) with real time network technolog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all the four major rivers and support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 The said information system acquires the high resolution aerial photographs of 25cm, aerial laser survey and water depth surveying data to express precise space information on the whole Youngsan River which is the leading project site out of the four river sites. Monitoring the site is made available on the transporting means such as a helicopter, boat or a bus in connection with locational coordinate tracking skill for the moving objects in real time using GNSS. It makes monitoring all the information on the four river job sites available at a glance, which can obtain the reliability of the people to such vast areas along with enhancing the recognition of the people by publicity of four Rivers Revitalizing Project and reports thereof.

Development of GUI System for Coupling of Multi-Dimensional Hydraulic Models (다차원수리모형을 이용한 연계모의 GUI시스템 개발)

  • Ahn, Jung Min;Lyu, Si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3
    • /
    • pp.353-363
    • /
    • 2012
  • In order to operate the hydraulic structures efficiently for reducing flood damage after 4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 it is essential to obtain enough hydraulic information with certain reliability. A coupled modeling system, providing spatial hydraulic information, for multi-dimensional hydraulic models was developed to complement 1-D hydraulic modeling. Developed system can offers spatial and grid unit information as well as line and section unit information from 1-D model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coupled modeling system can be used to provide various kinds of hydraulic information for river management and treatment.

하천, 누가 무엇을 관리할 것인가?

  • Park, Doo-Ho;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42-446
    • /
    • 2009
  • 최근의 극심한 가뭄현상과 4대강살리기 사업 등 하천과 관련된 국가적인 일들이 진행되고 있어 하천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하천의 관리는 국가와 지방이 각기 따로 따로 해왔고, 하천 역시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되어 있다. 국가하천 구간은 전체 하천 연장의 10% 이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하천관리는 지방이 담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지방행정기관의 하천관리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후변화와 물수요 증가 등 하천관리에 대한 중요성과 하천을 행정구역이 아닌 유역 중심으로 관리해야하는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최근 국토해양부는 하천법 개정(2008.4)을 통해 국토보전상 또는 국민경제상 중요한 하천을 추가로 국가하천으로 지정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만들었다. 하천에 대한 등급의 조정은 이해당사자들의 관계 및 지자체간의 문제 등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쉬운 작업은 아니다. 추가로 지정하기 전에 좀 더 세부적인 고민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하천이 국토의 보전과 국민경제적으로 중요한 하천인지, 어느 정도나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야 하는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꼭 그렇게 구분해야 하는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관리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이어야 하는지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하천관리에 요구되는 기능과 역할을 누가 어떻게 책임지고 하는지에 따라 향후 하천관리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관리의 효율성 측면에서 이 같은 점들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가하천의 추가 지정과 관련된 문제점과 향후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