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T3-L1 adipocyte cell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초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고체 발효한약재의 대장암 세포성장 억제 활성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olid-State Fermented Medicinal Herbs Using Phellinus baumii against Human Colorectal HCT116 Cell)

  • 손호용;신용규;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68-12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 고체발효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36종의 한약재 및 이들의 고체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대상으로, 인간 대장암세포(HCT116) 성장억제능, 정상세포(HEK-293, 3T3-L1 및MC3T3-E1)에 대한 세포독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선별된 36종의 한약재 추출물은 100 ${\mu}g/ml$ 농도에서, 사인, 천궁, 석곡, 백선피, 시체, 두충, 백과, 신이, 와송, 삼칠, 견우자, 원지 및 괄루인의 13종에서 암세포 성장률이 50% 이하를 나타내었으며, 균사체 추출물은 46.3%의 성장률을 나타내었다. 반면 25종의 발효한약재 추출물은 대부분 암세포 성장억제능의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백선피, 백과, 신이, 황부자, 산약, 현삼 및 괄루인은 암세포 증식억제능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도인, 골쇄보, 구기자 및 패모에서는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골쇄보, 구기자 및 패모 추출물의 대장암세포에 대한 $IC_{50}$는 각각 394, 917 및 149 ${\mu}g/ml$이었으나, 발효 후 각각 28, 85 및 80 ${\mu}g/ml$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 골쇄보, 구기자 및 패모 추출물은 200 ${\mu}g/ml$ 농도까지 정상세포에서 미미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 고체발효가 새로운 항암 활성물질 개발 및 신규의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녹차씨 압착박 열수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Cake)

  • 위지향;성혜미;정경옥;김숙정;신유림;박주현;김종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25-533
    • /
    • 2015
  • 본 연구는 녹차씨 압착박의 활용성을 증가해 보고자 녹차씨를 압착한 후 남은 박을 추출하여 총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확인하고 3T3-L1 세포에서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관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녹차와도 비교하였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의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나린게닌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T3-L1 세포에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저해 정도 및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지방 축적저해 및 중성지방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녹차씨 압착박이 지방합성 및 에너지 조절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백질 발현 실험을 실시한 결과, 녹차 또는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 의해서 AMPK 및 ACC의 인산화 증가 및 FAS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효능은 녹차 추출물보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 보다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어져, 녹차씨는 추후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식품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및 지질축적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senescens L. Methanol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최혜영;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98-50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Allium속 식물의 하나인 두메부추(ASL) 메탄올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및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ASL 메탄올 추출물 $100-2,000{\mu}g/mL$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SL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인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10-100{\mu}g/mL$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지방세포 내 ROS 관련 효소와 분화관련 전사인자의 조절로 인한 중성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분화 유도하면서 추출물을 농도별(10, 50 및 $100{\mu}g/m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ASL 메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ROS 생성량과 ROS 관련 효소인 G6PDH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ASL 메탄올 추출물 처리로 인하여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SREBP1c, $PPAR{\gamma}$$C/EBP{\alpha}$ mRNA 발현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ASL 메탄올 추출물로 인한 ROS 생성 저해와 지질축적 억제는 ROS 생성 및 ROS 관련 유전자의 발현 감소로 인한 지방 생성 주요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 억제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ASL이 항비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배합된 한약재의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지방생성과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Medicinal Herbs on Adipogenesis and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 황수정;신인순;김미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61-667
    • /
    • 2010
  • Astragali Radix (AR)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al herb, which is known to tonify the qi and blood. It has been asserted to be a tonic that can improve the function of the lungs, adrenal glands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crease metabolism, promote healing and reduce fatigue. Also, Plantago asiatica (PA) has the anti-inflammatory, antiseptic, antitussive, cardiac, diuretic, expectorant, haemostatic effects, though it is considered to be less powerful than the seed. Recent research is showing that it is promising in lowering cholesterol and controlling diabetes. Obesity is characterized at the cellular level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adipocytes differentiated from fibroblastic preadipocytes in adipose tissu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3 to 7 extracts of mixed medicinal herbs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Astragali Radix; ARW and ARE,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Plantago asitica; PAW and PAE, and those mixed extracts; ARW+PAE, ARW+PAW and ARE+PAE) on adipogenesis and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by MTT assay, Oil-Red-O staining and TUNEL assay. And then, we determined total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mpounds in mixed herbal extracts. These result showed that herbal extracts (ARW, PAE and ARW+PAE) affected on adipogenesis and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among 3 to 7 extracts tested. Especially herbal mixed extracts (ARW+PAE) had the highest inhibition on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and lipoid accumulation of maturing adipocytes. And it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of mature adipocytes, but herbal mixed extracts (ARW+PAE) increased apoptosis in mature adipocytes, as proved by highest concentration $200\;{\mu}g/m{\ell}$ using TUNEL assay. In addition, contents of total phenoilc compounds and flavonoids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RE+PAE and PAE than AR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main target for adipocyte functions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obesity.

고추 추출물과 Capsaicin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on Adipocyte Metabolism)

  • 곡경승;임태진;김동희;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9-162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on th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lipolysis in rat epididymal adipocyte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porcine adipose tissue. Methods : Inhibit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or stimulation of lipolysis play important roles in reducing obesity. 3T3-L1 preadipocytes were differentiated with adipogenic reagents by incubating for 3 day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hot pepper extract or capsaicin ranging from 0.01 to $1mg/m{\ell}$. The effects of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on adipogenesis were examined by measuring GPDH activity and by Oil Red O staining. Mature adipocytes from rat epididymal fat pad was incubated with hot pepper extract or capsaicin ranging from 0.01 to $1mg/m{\ell}$ for 3 hrs. The effects of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on lipolysis were examined by measuring free glycerol released. Fat tissue from pig skin was injected with hot pepper extract or capsaicinCFP ranging from 0.1 to $10mg/m{\ell}$ to examine the effects of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on histological changes under light microscopy.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present study on adipogenesis of preadipocytes, lipolysis of adipocytes and histological changes in fat tissue. 1.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inhibit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at the concentration of 0.1 and $0.01mg/m{\ell}$,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capsaicin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adipogenesis than hot pepper extract. 2.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decreased the activity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GPDH) at the concentration of 0.1 and $0.01mg/m{\ell}$,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capsaicin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adipogenic differentiation than hot pepper extract. 3.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increased glycerol release at the concentration of $0.1mg/m{\ell}$.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polytic activity between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at the corresponding concentration. 4.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caused shrinkage of fat cells, resulting in cell death at the concentration of $1.0mg/m{\ell}$, although capsaicin exerted this action over wide area than hot pepper extrac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efficiently inhibited adipogenesis, increased lipolysis of adipocytes and caused to shrink fat cells.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make use of hot pepper extract pharmac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Pig large tumor suppressor 2 (Lats2), a novel gene that may regulate the fat reduction in adipocyte

  • Liu, Qiuyue;Gu, Xiaorong;Zhao, Yiqiang;Zhang, Jin;Zhao, Yaofeng;Meng, Qingyong;Xu, Guoheng;Hu, Xiaoxiang;Li, Ning
    • BMB Reports
    • /
    • 제43권2호
    • /
    • pp.97-102
    • /
    • 2010
  • Clenbuterol, a $\beta_2$-adrenoceptor agonist, has been proven to be a powerful repartition agent that can decrease fat deposition. Based on results from our previous cDNA microarray experiment of pig clenbuterol administration, a novel up-regulated EST was full-length cloned (4859 bp encoding 1041 amino acids) and found to be the pig homolog of large tumor suppressor 2 (Lats2). We mapped pig Lats2 to chromosome 11p13-14 by using FISH, and western blotting demonstrated that pig Lats2 protein was most abundant in adipose. In Drosophila, Lats2 ortholog was reported as a key component of the Hippo pathway which regulates cell differentiation and growth. Here, we show that pig Lats2 exhibit inverted expression to YAP1, another member of the Hippo pathway which positively regulates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Our results suggested that Lats2 may involve in Hippo pathway regulating the fat reduction by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rowth.

발효 천마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정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 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37-84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hydroxylbenzyl alcohol (HBA) content, antitumor and anti-obesity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between non-fermented G. elata (NFGP) and fermented G. elata powder. The HBA content, which is an index-component of G. elata decreased from 1.58 mg/g before fermentation to 1.07, 0.32, and 0.13 mg/g after the $1^{st}$ fermentation ($1^{st}$ FGP), $2^{nd}$ fermentation ($2^{nd}$ FGP) and $3^{rd}$ fermentation ($3^{rd}$ FGP), respectively. The anti-proliferation effects on the cell lines HT29 and AG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fermented G. elata than the NFGP. The antitumor activity was also increased in a fermentation number-dependent manner.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ethanol extract of the $3^{rd}$ FGP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significantly better than NFGP and the $1^{st}$ FGP, treated at the concentration of $10{\mu}g/mL$.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2^{nd}$ FGP at $600{\mu}g/mL$ over was higher than that of kojic acid.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g/mL$,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in a fermentation number-dependent manner. From these results, the fermented G. elata, especially the $3^{rd}$ FGP, is expected to be good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and agents with antitumor, anti-obes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potential.

3T3-L1 지방세포내 ROS 생성에 대한 천년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s)

  • 윤보라;이영준;김선구;장중영;이효구;이성갑;홍희도;최현선;이부용;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3-450
    • /
    • 2012
  • 최근 연구에 의하면, NOX4에 의해 생성된 세포내 ROS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진의 보고에 의하면 천년초 추출물은 $PPAR{\gamma}$의 발현 및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선인장의 건강기능식품 소재화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지방세포내 생성되는 ROS에 대한 천년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억제효과 및 주요 유전자(NOX4, G6PDH 및 항산화효소)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천년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ROS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고, 추출용매별 천년초 추출물의 ROS 저감효능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에서는 ROS 생성과 연관된 주요 유전자 NOX4 및 G6PDH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Cu/Zn-SOD, Mn-SOD, catalase, GPx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천년초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ROS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저감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녹두의 Vitexin이 비만전구세포에서 세포분화 및 아디포사이토카인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texin from Mung Bean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gulation According to Adipocytokine Secretion)

  • 위해리;최문지;최세림;김애정;이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79-1085
    • /
    • 2012
  • 본 연구는 녹두묵을 이용한 항비만 임상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녹두에 풍부한 vitexin의 항비만 효과의 기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녹두 vitexin은 $200{\mu}M$ 농도까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독성효과는 없었으며 50, 100, $200{\mu}M$ 농도에서 지방합성이 억제되었고 $100{\mu}M$ 농도에서 지방분해효과로 추측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200{\mu}M$에서 염증성 아디포사이토카인 유전자발현을 증폭시키는 상위신호체계(p38, ERK)가 억제된 반면 AMPK의 경우는 $100{\mu}M$ 농도까지 증가하였고 $PPAR{\gamma}$ 단백질 발현도 $200{\mu}M$에서 증폭하였으며 TNF-${\alpha}$와 aP2 mRNA 발현은 $25{\mu}M$에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vitexin $100{\sim}200{\mu}M$ 사이의 농도가 항비만 기작을 규명하는 in vivo 실험을 위한 적절한 농도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vitexin 처리에 따른 C/EBP, SREBP1, $PPAR{\gamma}$ mRNA 농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아 3T3-L1 세포자살(apoptosis) 신호체계 및 mTOR와의 연계성체계 혹은 기타 adipogenesis 억제 유전자로 SIRT1 등의 연구가 향후에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하수오와 자소엽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3T3-L1 전지방세포에 대한 분화 억제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Cynanchi wilfordii Radix and Perilla sikokiana against Cell Differentiation in 3T3-L1 Adipocytes)

  • 김선정;강승미;고건희;남상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42-650
    • /
    • 2016
  • 백하수오와 자소엽의 추출조건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추출물 및 추출물 혼합액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백하수오가 발효주정 추출물(CW100)에서 $15.74{\pm}0.69mg/g$, 자소엽이 발효주정과 물의 등량혼합액 추출물(PS50)에서 $39.37{\pm}3.46mg/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 활성은 각각의 추출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DPPH 소거 활성은 CW100과 PS50에서 각각 $79.79{\pm}0.79%$$82.69{\pm}1.07%$, ABTS 소거 활성은 CW 100과 PS50에서 각각 $80.20{\pm}2.86%$$75.00{\pm}1.78%$였다. FRAP 활성은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자소엽이 $82.055{\pm}0.17{\sim}87.660{\pm}0.5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 저해 활성은 백하수오가 CW50에서 $51.56{\pm}0.56{\sim}59.2{\pm}1.13%$로 가장 높았으며, 자소엽이 PS0에서 $46.70{\pm}0.32{\sim}66.17{\pm}0.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효과는 CW100에서 $29.49{\pm}2.98%$, PS50에서 $23.31{\pm}0.61%$를 나타내었으며, CW100-PS50의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는 $43.03{\pm}1.63%$로 각각의 생약 추출물에 대한 효과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백하수오와 자소엽은 항산화, 항당뇨 및 항비만 효과와 관련된 음료의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