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방송

Search Result 1,33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Fixed/Mobile Hybrid 3DTV Broadcasting Service Scenario based on ATSC3.0 (ATSC3.0 기반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 Kim, Sung-Hoon;Ki, MyungSeok;Kim, Hui Yong;Bang, Min-Suk;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74-47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ATSC3.0 기반 UHD 급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ATSC3.0 은 북미지상파 표준화 방송방식의 차세대 지상파서비스 표준으로 2016 년 까지 기술표준 논의완료를 목표로 물리계층, 전송프로토콜계층 및 4K-UHD 서비스를 포함한 응용서비스계층으로 분류하여 표준화 논의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스코픽 콘텐츠의 좌/우영상을 각각 고정 TV 채널 및 모바일 TV 채널로 나누어 전송하고 이를 융합형 3DTV 방식을 지원하는 수신기에서 동시에 좌/우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3D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지상파 DTV 한 채널(6MHz 대역)내에서의 4K-UHD 고정 TV 서비스, 모바일 HD 서비스 및 UHD 3D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융합형 3DTV 서비스는 추가적인 3D 부가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4K-UHD, 모바일 HD 및 UHD 3D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Transmit Signal Power Distribution in Single Frequency Network based on Distributed Transmission for 3D-HDTV Terrestrial Transmission (3D-HDTV 지상파 전송을 위한 분산송신 기반 단일 주파수 방송망 내 송신신호 전력분포 분석)

  • Kim, Jae-Kil;Shin, Dong-Chul;Lee, Sungyoon;Lee, Jewon;Ahn,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128-129
    • /
    • 2011
  • 본 논문은 3D-HDTV 지상파 방송을 위한 분산송신 기반 단일 주파수 방송망 내 송신안테나 위치에 따른 송신신호 전력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산송신 기반 단일 주파수 방송망 구조는 하나의 주 송신안테나와 3개의 부 송신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어 수신기가 방송망 내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최소 2개 이상의 송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망 구조는 송신 안테나들이 지역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다이버시티를 획득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리에 따른 송신신호 전력 감쇠 때문에 방송망 내 수신기 위치에 따라 수신 SNR이 변화하게 된다.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단일 주파수 방송망 내 송신전력 분포 분석을 통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수신율을 보장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데이터 송신기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f extended ATSC system for terrestial 3D HDTV broadcasting (지상파 3D HDTV 전송을 위한 확장된 ATSC 전송 시스템에 대한 연구)

  • Oh, Jong-Gyu;Shin, Sung-Soo;Jeon, Young-Gon;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79-181
    • /
    • 2010
  •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3D TV에 대한 연구가 영상 획득, 영상 압축, 그리고 영상 디스플레이 분야에 걸쳐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를 중심으로 표준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전송 기술을 사용하고 어떻게 채널을 할당하여 3D HDTV 지상파 방송을 가능토록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단일 지상파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기존 ATSC 전송 시스템 [1]을 확장하고 수정하여 전송 용량 증대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대한 기존 전송 표준의 요소기술을 유지하고자 하나 최대한의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하여 완벽한 역호환성은 유럽의 DVB-T2 시스템처럼 고려하지 않았다.

  • PDF

스마트 3D 방송

  • Lee, Bong-Ho;Yun, Guk-Jin;Heo, Nam-Ho;Lee, Su-In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1 no.6
    • /
    • pp.10-19
    • /
    • 2010
  • 아바타 영화 이후 영화 시장뿐만 아니라 방송 시장에서도 3D로의 전환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3D 관련 표준화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 있고, 관련 장비 및 솔루션 또한 3D 디스플레이를 선두로 카메라 및 3D 포스트 프로덕션 장비를 포함하여 다양한 장비들이 실제 상용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이 되고 있다. 시청자 관점에서 보면 셔터링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머지않아 무안경 방식의 3D 솔루션이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움직임에 이어 또 한편으로는 기존 수동형 방송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고 네트워크 및 소셜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의 스마프 TV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3D가 지향해야 할 하나의 방향이라고 볼 수 있는 스마트 3D에 대해서 개념을 정의하고, 3D가 스마트해지기 위해 필요한 환경 및 요소 기술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700MHz 대역의 공익적 활용방향 : 차세대방송 서비스를 중심으로

  • Park, Sang-Ho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7 no.2
    • /
    • pp.6-17
    • /
    • 2012
  • 지상파방송사들의 ASO(Analog Switch-Off, 아날로그 방송 종료) 이후에 유휴대역으로 남게 되는 700MHz 대역(채널당 6MHz, 698MHz~806MHz 총 108MHz)은 4세대(4G : 4Generation) 방송과 이동통신 분야, 공공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700MHz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방송업계에서는 3D UHD방송 등 4G방송(3D UHD방송)을 위해서 주파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통신업계에서는 늘어나는 데이터 트래픽의 해소 및 4G 이동통신을 위해 통신분야에 배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700MHz 대역의 활용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이동통신 중심이었다. 그래서 700MHz 대역의 공익적 활용에 관한 본고는 주파수의 주인인 시청자의 시청권 보호 및 차세대방송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 지상파방송의 차세대서비스(4G방송)를 위한 방송용주파수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Measurement of the Perceptual Distortion of 3D Depth/Shape in Realistic Broadcasting (실감 방송에서의 3D 깊이/모양 지각감 왜곡의 측정)

  • Li, Hyung-Chul 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4 no.2
    • /
    • pp.210-218
    • /
    • 2009
  • The 3D shape as well as the depth of an object presented on a 3D display is perceptually distorted depending on viewing distance. It is quite undesirable that different observers perceive different depth and shape from an object displayed on a 3D monitor. To resolve the problem of perceptual distortion of 3D depth and shape, the degree of the distortion should be measured appropriately. As a basis for resolving these problems, the present research suggests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degree of the perceptual distortion of 3D depth and sh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