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객체

Search Result 90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teractive 3D Graphic Object Creation in Image-based Modeling Tool (영상기반 모델링 도구에서의 대화형 3차원 그래픽 객체 생성)

  • 이민석;구본기;박종승;오광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87-190
    • /
    • 2000
  • Web상에서 구현되는 대부분의 3차원 그래픽 객체는 특정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행동을 수행하지 못한다. 단순히 물체에 대한 3차원적인 모습만 보일 뿐, 물체의 기능 등을 web상에서 보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영상으로부터 직접 3차원 모델을 손쉽게 구축하기 위한 영상기반 모델링 도구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애니메이션 등 3차원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interaction을 지원할 수 있는 메커니즘 및 개발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Hybrid Audio Technology Trends for Immersive Sound Service (고현장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동향)

  • Jang, D.;Lee, Y.J.;Yoo, J.;Lee, 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81-90
    • /
    • 2016
  • 현재, 극장 사운드를 중심으로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포맷의 사운드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는 차세대 방송용 오디오에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은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재생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현장의 음향을 신호와 3차원 공간정보로 구분하여 음향공간의 정보를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재생단말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한 제작 및 3차원 공간정보 표현 기술이 필요하며, 청취환경에서는 객체기반 실감음향 콘텐츠를 제작자의 의도대로 렌더링할 수 있는 재생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이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3D HDTV service method based on MPEG-C part.3 (MPEG-C part.3를 이용한 고화질 3D HDTV 전송방안)

  • Kang, Jeonho;Lee, Gilbok;Kim, Kyuheon;Cheong, Won-Sik;Yun, Ku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98-301
    • /
    • 2010
  • 최근 전자업계의 중요한 화두 중 하나는 3D이다. 3D 입체 영상 기술은 미디어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에 발맞춰 방송환경 또한 변하고 있다. 고화질 3D 입체 방송은 기존의 2D 방송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시간적으로 2D 프로그램과 3D 프로그램이 혼용되어 제공되는 입체 방송 서비스가 될 것이다. 기존의 2D 기반 디지털 방송 서비스 환경에서 고화질 3D 입체 방송을 할 수 없다. 현재 국제 표준기구인 MPEG에서는 3D 서비스 방안으로 ISO/IEC 23002-3(MPEG-C part.3)이 표준화되었다. MPEG-C part.3에서 부가데이터인 depth map과 parallax map을 사용한다. 하지만 공간 주파수가 높은 영상의 depth map과 parallax map은 객체의 경계가 확실하지 않아 3D 입체 구현 시 객체의 경계면이 뭉개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화질 3D 입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MPEG-C part.3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전송방안에 대해 소개한다.

  • PDF

SIFT Weighting Based Iterative Closest Points Method in 3D Object Reconstruction (3차원 객체 복원을 위한 SIFT 특징점 가중치 기반 반복적 점군 정합 방법)

  • Shin, Dong-Won;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309-312
    • /
    • 2016
  • 최근 실세계에 존재하는 물체의 3차원 형상과 색상을 디지털화하는 3차원 객체 복원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3차원 객체 복원은 영상 획득, 영상 보정, 점군 획득, 반복적 점군 정합, 무리 조정, 3차원 모델 표현과 같은 단계를 거처 통합된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그 중 반복적 점군 정합 방법은 카메라 궤적의 초기 값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무리 조정 단계에서 전역 최적 값으로의 수렴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이다. 기존의 반복적 점군 정합 (iterative closest points) 방법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된 궤적 오차 때문에 발생하는 객체 표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색상 영상에서 SIFT 특징점을 획득하고 3차원 점군을 얻은 뒤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점 군 간의 더 정확한 정합을 수행한다. 실험결과에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절대 궤적 오차 (absolute trajectory error)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 했고 복원된 3차원 모델에서 객체 표류 현상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 PDF

Design of Three Dimensional Spatial Topological Relational Operators (3차원 공간 위상 관계 연산자의 설계)

  • Kim, Sang-Ho;Kang, Gu;Ryu, Geun-H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2
    • /
    • pp.211-220
    • /
    • 2003
  • 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present three dimensional topological information, The Systems provide accurate and delicate services for users. In order to execute three dimensional topological operations, a dimensional transformation and heterogeneous spatial models should be used. However, the existing systems that use the dimensional transformation and the heterogeneous models, is not only difficult to operate the spatial operators, but also happened to support non-interoper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e proposed three dimensional spatial object models that supported two dimensional object models and implemented them to show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s. When designing the three dimensional topological operators, we used 3DE-9IM which extended DE-9IM to support three dimensional concepts, and implemented operators on the component environment with object oriented concepts. The proposed three dimensional spatial object models and topological operators can support interoperability between systems, and execute spatial queries efficiently on three dimensional spatial objects.

2D Interpolation 3D Point Cloud using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비디오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압축을 사용한 차원 포인트 클라우드의 차원 보간 방안)

  • Hwang, Yonghae;Kim, Junsik;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147-150
    • /
    • 2021
  •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상으로 만들어낸 객체와 현실 객체 사이의 분간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AR/VR/XR 등의 서비스를 위해 현실 객체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포인트 클라우드는 현실 객체를 표현하는 기술 중의 하나로 객체의 표면을 수많은 3차원의 점으로 표현하며, 2차원 영상보다 더욱 거대한 데이터 크기를 가지게 된다. 이를 다양한 서비스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3차원 데이터의 특징에 맞는 고효율의 압축 기술이 필요하며, 국제표준기구인 MPEG에서는 연속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동적 포인트 클라우드를 2차원 평면으로 투영하여 비디오 코덱을 사용해 압축하는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V-PCC)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포인트 클라우드를 2차원 평면에 투영하는 방식은 점유 맵 (Occupancy Map), 기하 영상 (Geometry Image), 속성 영상 (Attribute Image) 등의 2차원 정보와 보조 정보를 사용해 압축을 진행하고, 부호화 과정에서는 보조 정보와 2차원 영상들의 정보를 사용해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를 재구성한다. 2차원 영상을 사용해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특징 때문에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상 정보의 열화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기술을 사용한 2차원 영상 정보의 향상으로 포인트 클라우드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은 V-PCC 기술에서 생성되는 영상 정보에 2차원 보간 (Interpolation)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의 영상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적인 포인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재구성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3D Object Simplification for Google Earth Uploading of the Cultural Resources and Tourist Attractions (문화.관광 자원의 구글어스 Uploading을 위한 3D 객체 단순화)

  • Youn, Jae-Hong;Choi, Hyo-Seung;Jeong, Seung-M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4
    • /
    • pp.45-51
    • /
    • 2009
  • Differ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using their traditional culture as a background, are promoting new changes and reformation in development and publicity method of cultural contents to promote national interests and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Also, as the citizen's standard of living and quality of living goes up, various demands for the enjoyment of traditional culture goes up accordingly as well. As the cultural assets environment becom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lan. Keeping these viewpoints in mind, the geo-spatial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using the web provides various forms of services such as satellite imagery, terrain, and 3D viewing, enabling the user to gain concrete spatial information on specific areas. The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3D modeling is done only in limited spaces because of construction expenses or difficulties in management and maintenance.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propose Effective method for the GoogleEarth Uploading through simplification of 3D object for the publicity of traditional buildings and Cultural Resources and Tourist Attractions.

  • PDF

Multichannel surround audio format using 3D sound technology with sound objects (소리객체에 입체음향 기술을 적용시킨 멀티 채널 오디오 형식)

  • Kang, Myung-Soo;Kim, Kyoo-N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2.04a
    • /
    • pp.213-216
    • /
    • 2002
  •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 및 입체음향 기술이 대중화 되면서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 방법에 있어서 실감 현장 음향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구조화 오디오 데이터 형식 [1]을 이용해 불필요한 데이터 공간을 제거하고, 거기에 입체 음향 기술을 적용시켜 효과적인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는 구조화 오디오 데이터 형식을 개념적으로 명백히 하기 위해 재사용 가능한 "소리 객체"를 사용하였다. 소리 객체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위한 녹음된 소리 샘플의 기본 단위로서 소리객체에 3D 위치 속성이나, 필터 속성을 지정해 소리를 변화 시킬 수 있다.

  • PDF

ASADAL/OBJ Hybrid: An Object-Oriented Framework for Modeling and Validating Hybrid Systems (ASADAL/OBJ Hybrid: 고신뢰성 하이브리드 시스템 모델링을 위한 객체지향 프레임워크)

  • Shin Seungyeob;Kim Moonzoo;Kang Kyo C.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337-339
    • /
    • 2005
  •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란 연속적인 변화와 이산적인 변화가 함께 존재하는 시스템으로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모델링 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타당성을 검사(validation) 할 수 있는 도구의 제안은 시스템 개발자들에게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복잡한 변화로 인한 시스템의 복잡성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고품질의 제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ASADAL/OBJ Hybrid는 고신뢰성 하이브리드 시스템 모델링을 위한 도구로써 객체지향 모델링에 따라 여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객체로 모델링하며, 이들 간의 통신은 이벤트와 데이터 전송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환경 객체의 경우 3D 형태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스템의 변화 양상을 개발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Sketch Input Technique by Surface of 3D Object. (3D 객체 표면에 근거한 Sketch 입력기법 연구)

  • Sin, Eun-Joo;Choy, Yoon-Chul;Lim, Soon-Bu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37-1142
    • /
    • 2006
  • 3D 가상공간을 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3D 가상공간에서 빠르고 쉽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효과적인 의사표현 방법으로 Sketch 기법을 제안한다. Sketch 기법은 간단한 2D 선들의 표현을 통해 매우 빠르게 아이디어를 표현 할 수 있으며, 의도에 따라 부분을 강조하거나 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직관적으로 의도를 전달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Sketch 를 공간상에서 손쉽게 3D 모델의 표면이나 공간 위에 입력하고, 입력한 Sketch 를 3D 가상공간과 연동하여 보여 줌으로써 쉽게 3D 가상공간 안에 Sketch 로 의견을 표현 할 수 있게 하는 Sketch 기반 인터페이스를 연구 하였다. Sketch 기법을 3D 가상공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3D 가상공간 상에서 2D Sketch 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과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위상차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2D Sketch 입력을 대상 3D 객체 중심에서 Sketch할 부분의 Sketch plain 을 선택 및 생성함으로써 입력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입력 시 발생하는 위상차는 View-point 및 View-Plain 의 이동 등을 통해 해결점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후 연구를 통해 Sketch 를 Annotation 으로 활용, 협업에서 필요로 하는 Sketch Annotation 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