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compartment model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4초

록시스로마이신의 정맥주사 후 육계에서의 약물동태학적 분석 (Pharmacomkinetics of Roxithromycin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Broilers)

  • 임종환;박병권;김명석;황윤환;윤효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90
    • /
    • 2006
  • 본 연구는 록시스로마이신의 정맥주사 후 육계에서의 약물동태학적 특성을 조사한것으로, 이때 록시스로마이신은 체중당 20 mg/kg 용량으로 정맥주사하였다. 시간에 따라 채혈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장내 록시스로마이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장내 록시스로마신 농도-시간 그래프의 분석은 two-compartment open model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육계에서의 록시스로마이신의 약물동태학적 부변수의 값은 다음과 같았다. 소실 반감기 =$5.83{\pm}1.79h$, 평균체류 =$6.33{\pm}0.32h$, 청소율 =$0.55{\pm}0.15L/h/kg$ 및 정상상태 분포용적 = $3.47{\pm}0.84L/kg$ 육계에서 정맥주사 후 록시스로마이신은 늦은 소실과 체내 고른 분포의 약물동태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록시스로마이신의 육계에 적용할 때에는 약물제형, 최적 용량용법, 임상효과 및 반복투여에 대한 내성등의 연구가 추후 요구된다.

Oxytetracycline을 근육 주사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xytetracyclin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intramuscular injection)

  • 정승희;최동림;김진우;조미라;서정수;지보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5
    • /
    • 2009
  • 옥시테트라사이클린 (OTC)을 넙치 (평균체중 600 g)에 1회 근육 주사 (12.5, 25 및 50 ㎎/㎏ body weight)한 다음, 경시적 (3시간-360시간) 인 혈장내 OTC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25 및 50 ㎎/㎏ 시험구에서 투여 5시간째 각각 0.99 및 1.49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으나, 12.5 ㎎/㎏ 시험구는 투여 10시간째 0.35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구는 투여 360시간째 혈중에서 OTC가 검출되지 않 았다. OTC의 넙치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1- compartment model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하여 OTC의 흡수, 배설,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12.5, 25 및 50 ㎎/㎏을 근육 주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24.9, 44.67 및 50.45 $\mu{g}$ $h/m\ell$, 약물의 반감기 ($T_{1/2}$)는 각각 0.42, 0.59 및 0.41 h,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 ($T_{max}$)은 8.46, 6.34 및 2.66 h, 혈중 최고농도 ($C_{max}$)는 0.30, 0.63 및 1.13 $\mu{g}/m\ell$로 계산되었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vinyl-alcohol)-poly(β-cyclodextrin) copolymer membranes for aniline extraction

  • Oughlis-Hammache, F.;Skiba, M.;Hallouard, F.;Moulahcene, L.;Kebiche-Senhadji, O.;Benamor, M.;Lahiani-Skiba, M.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3호
    • /
    • pp.223-240
    • /
    • 2016
  • In this study, poly(vinyl-alcohol) and water insoluble ${\beta}$-cyclodextrin polymer (${\beta}$-CDP) cross-linked with citric acid, have been used as macrocyclic carrier in the preparation of polymer inclusion membranes (PIMs) for aniline (as molecule model) extraction from aqueous media. The obtained membranes were firstly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d water swelling test. The transport of aniline was studied in a two-compartment transport cell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carrier content in the membranes, stirring rate and initial aniline concentration. The kinetic study was performed and the 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as rate constant (k), permeability coefficient (P) and flux (J). These first results demonstrated the utility of such polymeric membranes for environmental decontamination of toxic organic molecules like aniline. Predictive modeling of transport flux through these materials was then studied using design of experiments; the design chosen was a two level full factorial design $2^k$. An empirical correlation between aniline transport flux and independent variables (Poly ${\beta}$-CD membrane content, agitation speed and initial aniline concentration) was successfully obtaine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initial anilin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w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in the study domain. The model revealed the existence of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the Poly ${\beta}$-CD membrane content and the stirring speed of the source solution. The good agreement between the model and the experimental transport data confirms the model's validity.

육계에서 sulfathiazole 경구투여 후 혈장 및 조직내 잔류량 (Disposition of sulfathiazole in plasma and tissue of broiler chick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 서형석;임정철;허부홍;권정택;김성문;천희웅;최인방;김진상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08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the disposition of sulfathiazole(S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on the disposition of ST in broiler chicks(2.5~3.0kg). Animals were given ST acutely(10~80mg/kg, PO), and plasma, kidney, muscle, heart, liver and spleen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ST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plasma and tissue data was consistent with a one-compartment pharmacokinetic model. The drug is rapidly but incompletely(2.5~3.87%) absorbed with peak plasma and tissue levels being achieved within one hour after dosing. The plasma and tissue levels depended on drug dosage, and the descending order in concentration of ST was kidney > plasma > heart > muscle $\geq$ spleen $\geq$ liver from animals sacrificed at one hour after dosing. Moreover,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r>0.9) existed between plasma and tissue levels of ST. In addition, sodium bicarbonate pretreatment decreased plasma level, indicating that an alkalinization stimulate the excretion of ST.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ral application of ST was rapidly absorbed and eliminated, and confirmed that tissue residues of ST can be estimated from plasma drug concentration in broiler chicks.

Fugacity 모델에 기초한 논토양에서의 액비살포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거동추적 (Environmental Fate Tracking of Manure-borne NH3-N in Paddy Field Based on a Fugacity Model)

  • 김미숙;곽동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4-233
    • /
    • 2019
  • 액비(분뇨)에 포함된 질소성분은 환경의 질을 악화시키고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액비로 인한 환경적 위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환경 매체 내에서의 액비의 거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액비에 포함된 암모니아성 질소($NH_3-N$)의 환경 내 거동과 이송을 분석하고, 액비시스템에서 질소(N)관리의 개선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질소의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단순화된 Level III fugacity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벼 재배 기간 중 4개의 환경구획(공기, 물, 토양 및 벼)에서 암모니아성 질소($NH_3-N$) 성분을 축적하기 위해 정상상태의 fugacity 개념을 이용한 모델의 모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Level III fugacity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모델 결과, 대부분의 암모니아성 질소($NH_3-N$)는 논물(수체)과 벼(식물)에 분포하였으며 공기와 논물 그리고 토양에 대한 로그-로그 그래프선상에서 fugacity와 농도는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한 반면에 벼(식물)에서의 변화는 비선형적으로 나타났다. 제거과정의 민감성을 살펴본 결과 제거과정(침적과 유출)이 고려된 경우 대부분의 암모니아성 질소는 논물에 분포하였으며 제거과정이 무시된 경우에는 벼(식물)가 암모니아성 질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소의 물질수지에 따라 각 구획별로 질소가 분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관측 자료에 의한 모델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토양층에 의한 잔류량 및 질소 형태의 변화를 기술하지 않았으며 모델 시뮬레이션은 간헐적인 실제 배출량 입력과 달리 연속 배출량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므로 수질에 대한 비점 오염원으로서의 액비의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모델링 및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의 Level III fugacity 모델에서는 더 정확한 제거 과정을 기술하고, 입력 변수의 적절한 값을 적용하여 다양한 N 형 비료에 대한 모델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액비와 다양한 N 형 비료를 사용하여 얻은 N 성분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평가할 것이다.

N-13 암모니아와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동적영상을 이용하여 심근혈류량을 정량화하는 새로운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A Refined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Myocardial Blood Flow using N-13 Ammonia and Dynamic PET)

  • 김준영;이경한;김상은;최연성;주희경;김영진;김병태;최용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3-82
    • /
    • 1997
  • N-13 암모니아 PET 동적영상을 이용하여 심근혈류량을 측정할 때, 부분용적효과와 스필오버현상을 보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고, 이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심근혈류량을 2구획모델만을 이용한 종래의 방법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방법에 대한 효율성과 정확성을 고찰한다. 9명의 관상동맥 환자에서 20mCi의 N-13 암모니아를 안정상태와 부하상태에서 주사한 후, PET 동적영상을 얻어 심근의 3부분(중격, 전면벽, 측면벽)과 좌심실방에 관심영역을 그려 시간-방사능곡선을 얻었다. 심근의 3부분에 대한 심근혈류량과 스필오버분획을 기하학적 관심영역 모델 개념을 2구획모델에 포함시킨 새로운 방법과 종래의 2구획모델 방법으로 각각 구하였다. 이때 관심영역의 위치에 따른 심근혈류량을 알아보기 위해서 심근 밖에서 좌심실 중심쪽으로 20개의 관심영역을 그리고, 위의 두 방법을 이용하여 심근혈류량을 구하였다. 종래의 N-13 암모니아 2구획모델과 기하학적 모델 개념을 2구획모델에 포함시킨 새로운 방법으로 모델 합치 곡선을 구하였다. 관심영역 위치 변화에 대한 심근혈류량의 값을 종래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으로 구하고, 부분용적효과를 정확하게 보정하기 위하여 관심영역을 심내막쪽에 설정하였다. 총 108개의 심근관심영역에서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심근혈류량 사이의 회귀곡선 기울기는 1.57, 상관계수는 0.88이었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스필오버분획들도 선형적 상관관계(r=1.00, 기울기=0.98)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N-13 암모니아 PET 동적영상과 기하학적 모델 개념을 2구획모델에 포함시킨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심근혈류량은 종래의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며 정확하게 정량화되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임상환경에서 심근혈류량 정량분석연구에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환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1). 결론적으로, 흉통을 호소한 환자에서 심근관류 신티그라피상 정상인 경우에는 심장사건의 발생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관동맥조영술에 관동맥병변이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간에 1차 심장사건의 발생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고려하면, 심근관류 신티그라피가 정상소견을 보이는 흉통환자는 정상 관동맥조영술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 준하여 치료하여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리고 0.19, 0.40, 0.53, 0.61이었다. 실제 속도상수의 비 $k_3/k_4$에 대한 (BG-OCC)/OCC와 $R_A,\;R_v$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83, 0.984, 0.999이었으며 그때의 기울기는 각각 1.76, 0.47, 1.25이었다. 결 론 : IPT 약역학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혈류량의 변동에 비해 도파민 운반체량의 변동에 더욱 민감한 경향을 보였으며 $k_3/k_4$에 대한 (BG-OCC)/OCC, $R_A,\;R_v$의 결과간에 좋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따라서 이러한 약역학 컴퓨터시뮬레이션이 SPECT 영상을 이용한 도파민 운반체 또는 수용체 정량분석을 최적화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TEX>-CIT SPECT는 파킨슨병의 조기진단 및 진행 추적에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SCC 4예, AC 1예)였으며, 11예 중 9예(81.8%)에서 방사선학적 검사결과와 Tc-99m MIBI섭취율의 변화가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Tc-99m MIBI SPECT는 폐암병소의 국소화 및 방사선치료 효과의 판정에 어느정도 유용하리라 사료되었다.냈고 4명에서는 low CBD obstruction을 나타내었으며 후에 CBD stone, CBD carcinoma,

  • PDF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elec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Urban High-Stories Urban Apartments

  • Shin, Seung Ho;Kim, Ji-Hoon;Jo, Wan Kue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273-1283
    • /
    • 2015
  • In present study,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nine selec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cluding four alcohol, 2 aldehyde, and 3 ketone compounds, in high-stories urban apartments over a 2-y period were investigated. The indoor VOC concentrations had generally a decreasing trend over the 2-y follow-up period. For examples, the 2E1H indoor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10.8{\mu}g/m^3$ for the first two months to $5.1{\mu}g/m^3$ for the last two months. In addition, the DCA and ACT indoor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5.0 and $14{\mu}g/m^3$ for the first two months to 2.2 and $6.4{\mu}g/m^3$, respectively, for the last two months. The indoor-to outdoor concentration ratios over the 2-y period were much greater than 1, indicating that indoor VOC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e outdoor VOC concentra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individual VOCs, the indoor-to-outdoor concentration ratios of all three VOC groups were higher than 1 over the 2-y follow-up period, suggesting higher indoor concentrations of the three VOC groups than outdoor concentrations. In consistence with the results of VOC indoor concentrations, the VOC emission rates decreased gradually as time passed, due to the decreased VOC emission strengths of indoor sources. Finally, there was an initial sharp decrease in the indoor VOC concentrations followed by a slower decrease, indicating a multi-exponential decay model for the target VOCs, which was demonstrated by comparison of the residuals and the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ssociated with the one and two-exponential fits of each data set.

Reduction of Skin Irritation by the Control of Skin Permeation of Methyl Paraben

  • Seong-Hoon Jeong;Mu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8-114
    • /
    • 1997
  • The skin permeation study has two meanings in cosmetics. One is how to promote the skin permeation of active meterials for improving their bioavailabilities and the other is how to decrease it of irritants for reducing their skin side effects. In this study, we selected methyl paraben, one of the preservatives, as a model irritant and tried to reduce the skin irritation by the decrease of skin permea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permeation and skin primary irritation was discussed. For in vitro skin permeation experiments, Franz type diffusion cells and the excised skin of female hairless mouse from 8 weeks old were used. The donor compartment was charged with oil only or O/W emulsion containing 0.3% MP. We selected 19 oils, including esters, triglycerides, plant oils, hydrocarbons, and alchols, which are broadly used in cosmetics. We evaluated with female guinea pig. The skin permeahility of MP from the oils showed following order: ester oils > triglycerides > plant oils > hydrocarbons > alcohols. We considered that this result was based on the different effect of each oil on the barrier function of stratum corneum. In O/W emulsion containing each oil, the skin permeability of MP decreased as the oil/water partition coefficient of MP increased. The skin primary irritation increased as the skin permeability of MP increased.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skin irritation could be reduced by the decrease of skin permeability of MP, which may be obtained by the good selection of oils in cosmetic preparations.

  • PDF

퇴적물에서의 납과 카드뮴의 흡착 동력학 모델링 (Modeling on the Sorption Kinetics of Lead and Cadmium onto Natural Sediments)

  • 곽문용;고석오;박재우;정연구;신원식
    • 생태와환경
    • /
    • 제39권4호통권118호
    • /
    • pp.450-46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H 5.5에서 연안퇴적물내 납과 카드뮴의 흡착 동력학을 실험실규모의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4종류의 모델: 단일영역 물질전달모델 (one-site mass transfer model, OSMTM), 겉보기 1차속도모델 (pseudo-first-order kinetic model, PFOKM), 겉보기 2차속도모델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PSOKM)과 두영역 1차속도모델 (two compartment first-order kinetic model, TCFOKM)을 사용하여 흡착속도를 분석하였다. 관련된 모델매개변수의 수에서 기대되듯이 변수가 3개인 TCFOKM이 변수가 2개인 OSMTM, PFOKM, PSOKM 보다 흡착속도를 더 잘 표현할 수 있었다. 납과 카드뮴의 대부분의 흡착은 초기 3시간 이내에 빠르게 완료되었으며, 이후 기간 동안은 느린 흡착이 이루어졌다. 모든 모델에서 겉보기 흡착평형농도($q_{e,s}$)는 퇴적물의 양이온 교환능 (CEC)과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는 초기 중금속 투여 농도와 중금속 및 퇴적물의 형태와 무관하였다. OSMTM에서의 흡착속도 상수 ($k_s,\;hr^{-1}$)는 퇴적물의 CEC와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PFOKM의 겉보기 1차흡착속도상수 ($k_{p1,s},\;hr^{-1}$)는 퇴적물의 특성과 관련이 없었다. PSOM 분석결과 겉보기 2차흡착속도상수 ($k_{p2,s},\;g\;mmol^{-1}\;hr^{-1}$)와 초기흡착속도 ($v_{o,s},\;mg\;g^{-1}\;hr^{-1}$)는 퇴적물의 특성과 연관되지 않았다. TCFOKM의 빠른 흡착영역의 분율($f_{1,s}$)은 수용액상의 초기농도와는 무관하게 퇴적물의 CEC와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빠른 부분에서의 흡착속도 상수 ($k_{1,s}=10^{0.1}-10^{1.0}\;hr^{-1}$)는 느린 부분에서의 흡착속도 상수 ($k_{2,s}=10^{-2}-10^{-4}\;hr^{-1}$)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rocainamide와 그 대사산물(N-acetylprocainamide)의 약동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Pharmacokinetics of Procainamide and N-acetylprocainamide)

  • 장인진;신재국;신상구;박찬웅;임정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1-107
    • /
    • 1989
  • Procainamide를 투여후 이 약물 및 활성형 대사산물인 N-acetylprocainamide (NAPA)의 약동학적 성상을 알아보기 위해 숫컷 성견 5마리에 procainamide 및 NAPA를 교차 투여하여 얻은 혈장농도 data를 2-compartmental model에 의해 약동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0mg/kg의 procainamide를 1회 15분간 정주후 혈장 procainamide 농도변화는 명백한 분포기와 소실기를 보였으며 생성된 NAPA의 혈장농도는 시간경과에 따라 최고혈장농도는 $0.124{\mu}g/ml$ 이하이었으며 정주 직후 조직분포에 따른 혈장농도의 일시적으로 감소 후 증가하는 초기 dip 현상을 보였다. 2. Procainamide의 steady-state 분포용적(Vss) 및 central compartment volume (Vc)은 각각 $1.20{\pm}0.27\;L/kg$$0.36{\pm}0.08\;L/kg$ 이였으며 NAPA의 Vss및 Vd는 $1.21{\pm}0.21\;L/kg$$0.26{\pm}0.07\;L/kg$이었다. 3. Procainamide 및 NAPA의 청소율(Cl)은 각 $0.47{\pm}0.08\;L/kg/hr$$0.35{\pm}0.08\;L/kg/hr$ 이었으며 혈장 반감기$(t_{1/2{\beta}})$는 각각 2.85 및 2.77 시간이었다. 4. N-acetylation에 의한 Procainamide의 대사청소율은 $18.24{\pm}6.22\;ml/kg/hr$로 이는 전체 procainamide 청소율의 3.9%를 차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