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 dimension FEM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8초

Damage identification for high-speed railway truss arch bridge using fuzzy clustering analysis

  • Cao, Bao-Ya;Ding, You-Liang;Zhao, Han-Wei;Song, Yong-Sheng
    • Structu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 /
    • 제3권4호
    • /
    • pp.315-33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perform damage identification for Da-Sheng-Guan (DSG) high-speed railway truss arch bridge using fuzzy clustering analysis. Firstly,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system is established for the DSG Bridge. Long-term field monitoring strain data in 8 different cases caused by high-speed trains are taken as classification reference for other unknown cases. And finite element model (FEM) of DSG Bridge is established to simulate damage cases of the bridge. Then, effectiveness of one fuzzy clustering analysis method named transitive closure method and FEM results are verified using the monitoring strain data. Three standardization methods at the first step of fuzzy clustering transitive closure method are compared: extreme difference method, maximum method and non-standard method. At last, the fuzzy clustering method is taken to identify damage with different degrees and different locations. The results show that: non-standard method is the best for the data with the same dimension at the first step of fuzzy clustering analysis. Clustering result is the best when 8 carriage and 16 carriage train in the same line are in a category. For DSG Bridge, the damage is identified when the strain mode change caused by damage is more significant than it caused by different carriages. The corresponding critical damage degree called damage threshold varies with damage location and reduces with the increase of damage locations.

인공위성의 3축 모델링과 진동억제를 포함한 소각선회 (3-Axis Modeling and Small Angle Maneuver Including Vibration Suppression for a Satellite)

  • 이대우;조겸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03-113
    • /
    • 2000
  • 유연체 부착물을 갖는 인공위성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방법은 몇 가지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FEM에 비해 차수가 낮아 계산시간을 줄일 수 있는 근사화 방법중 하나인 추측모드법을 사용한 하이브리드 라그랑지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이것들은 각속도에 관한 세개의 식들과 유연변위에 관한 두개의 식들로 이루어지며, 위성 본체와 태양전지판의 상호작용을 표현한다. 자세제어에 있어서, 제어법칙은 제어입력뿐만 아니라 진동억제를 포함한 성능지수를 최소화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LQG와 LQG/LTR 제어기를 사용하였고, 결과로는 진동억제를 고려한 소각선회 성능을 보여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특이시스템을 특이값 분리에 의한 비특이시스템 가정법을 통한 LQG/LTR 설계를 보여준다.

  • PDF

금속 그레이팅의 높이변화에 따른 최적치수 설계 및 안정성 해석 (Optimal Dimension Design and Stability Analysis of Non-slip Steel Grating)

  • 손인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57-363
    • /
    • 2022
  •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n non-slip metal grating, the stability of the grating according to the span of the grating and the gap and height of the bearing bar was evaluated. The optimal shape design of the grating was performed using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stability of the gr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ability according to the spacing and height of the bearing bar by applying the design pressure at the design stage to develop the anti-skid grating, and to design the optimal shape for cost reduction. In the optimal design, the target variable was set as the mass, and the optimal design of the grating was performed based on about 20%.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bearing bar of the grating,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span and the grating showed a proportional tendency to each other, and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decreased as the height of the bearing bar increased.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an optimal design was performed using mass as the objective variable, and the existing 2mm thickness was changed to 1.6mm, reducing the mass by about 19%. The stress increased by about 4.4% compared to the maximum stress of the existing grating, but the minimum safety factor was 3.1, indicating that the optimally designed grating was stable.

신형상의 합성용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합성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Composite Slab with New-Shaped Deckplate)

  • 문태섭;배종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통권39호
    • /
    • pp.181-190
    • /
    • 1999
  • 본 논문은 신형상의 합성용 데크플레이트 개발에 따른 합성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신형상의 데크플레이트가 구조재로서 사용이 되어질 수 있도록 합성슬래브의 실험결과를 국제적인 규준식에 의한 계산결과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합성슬래브의 유효단면2차모멘트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데크플레이트 단면요소의 구조적인 특성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이것을 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합성슬래브 실험은 새롭게 개발한 두 type의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36개의 시험체를 제작 실험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은 3차원 Solid 모델링이 가능한 ABAQU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석모델링을 개발, 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실리콘 족적 센서의 감도 조절 및 설계 (Sensitivity Control and Design of the Silicone Foot Sensor Using FEM)

  • 성벽경;서형규;이진욱;권애란;김동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41-1050
    • /
    • 2014
  • A design and analysis for new foot sensor that measures pressure distribution while walking or running in daily life i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the sensor design, the shape, mechanism composing of the sensor, and variables that dominate sensor's sensitivity are investigated. Through these variables analysis, an optimal shape and dimension were determined. The effects of variables on sensor's sensi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re proved by analyses and experiments.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얕은 기초의 지지력 특성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Shallow Foundation by Three Dimension FEM)

  • 박춘식;김종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17-24
    • /
    • 2019
  • 본 연구는 지반 위 얕은 기초의 지지력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반 조건, 기초 크기, 기초 형상 등의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기존의 지지력 이론과 비교 검토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 극한지지력은 기초크기에 따라 지지력이 거듭제곱이나 로그 식으로 차츰 수렴하였고, 지반강도가 증가할수록 지지력 증가가 커지지 않는 직선적인 변화를 보였다. 기존 지지력 이론과 비교한 결과 순수모래는 지지력 비($q_{FEA}/q_{theory}$)가 Terzaghi식의 결과와 가장 유사하였다. 순수점토는 약 0.4~0.6, 일반토사는 0.3~1.3 정도로 산정되었고, 지반강도가 증가할수록 지지력 비가 감소하면서 1.0 이하로 나타났다. 기초 크기에 따른 지지력을 1.0m 기초의 지지력으로 정규화시킨 지지력 비($q_u/q_{u(1.0)}$)는 순수모래에서 ${\phi}=25^{\circ}$, $30^{\circ}$, $35^{\circ}$일 때 이론식의 35%, 15%, 5% 정도로 산정되었고, 순수점토는 크기 효과가 없었으며, 일반토사는 지반강도가 작은 경우에 순수모래의 이론식에 대해 약 10% 이하로 나타났다. 지반강도 증가에 따른 지지력 비는 내부마찰각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형상별 지지력 비에 따른 형상계수는 기초형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고, 원형기초는 1.5, 정사각형 기초는 1.3, 직사각형 기초와 연속 기초는 1.1~1.0의 형상계수를 나타내었다.

DRAM 셀 구조의 셀 캐패시턴스 및 기생 캐패시턴스 추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Cell Capacitance and Parasitic Capacitance for DRAM Cell Structures)

  • 윤석인;권오섭;원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7호
    • /
    • pp.7-1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DRAM 셀 내의 셀 캐패시턴스 및 기생 캐패시턴스를 수치 해석적으로 계한하여 추출하는 방법과 그 적용 예를 보고한다. 셀 캐패시턴스 및 기생 캐패시턴스를 계산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구조를 정의하기 우하여, 마스크 레이아웃 데이터 및 공정 레시피를 이용한 토포그래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토포그래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DRAM 셀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얻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마스크 데이터 기반의 3차원 솔리드 모델링 방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구조를 생성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구조는 $2.25{\times}175{\times}3.45{\mu}m^3$ 크기이며, 4개의 셀 캐패시터를 갖는다. 또한 70,078개의 노드와 395,064개의 사면체로 구성되었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ULTRA SPARC 10 웨크스테이션에서 약 25분의 CPU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약 201메가바이트의 메모리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계산된 셀 캐패시턴스는 셀당 24fF이며, DRAM 셀 내에서 가장 주요한 기생 캐패시턴스 성분을 규명하였다.

  • PDF

고 Gb/Chip을 위한 Pole이 추가된 MRAM의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Optimal MRAM Adding Pole for High Gb/Chip)

  • 김동석;원혁;박관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3-108
    • /
    • 2008
  • 비휘발성 메모리 분야에서 MRAM이 큰 주목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기록용량이 작다는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MRAM의 일반적인 구조가 자기 효율이 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MRAM이 고용량화 되기 위해선 한 셀의 구조가 작아져야 하는데 두 전류라인만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구조에선 큰 기록 필드를 발생시킬 수 없기에 셀의 구조를 작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MRAM의 기록층 양단에 큰 투자율을 가진 Pole을 추가한 형태의 새로운 MRAM을 제안하고 있다. 새로이 고안된 MRAM은 일반적인 MRAM에 비해 자기효율이 크게 향상 되기 때문에 큰 기록 필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자력이 큰 기록 층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한 셀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진행 되었다.

복합재 로터 블레이드의 차원축소와 복원해석을 위한 블레이드 해석 라이브러리 개발 (Blade Analysis Library Development of Dimension Reducible Modeling and Recovery Analysis for Composite Rotor Blades)

  • 장준환;이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920-92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블레이드 해석 라이브러리를 통해 단면해석 및 응력복원 해석 결과를 VABS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성 행렬로 연결된 1차원 보 모델을 가상일의 원리에 의해 계산된 에너지를 복원 이론에 기반한 차원 복원해석 과정을 통해 계산된 응력과 3차원 해석모델과 비교하였다. 블레이드 해석 라이브러리의 구성, 입력 및 출력 형태, 차원 축소와 복원을 통한 로터 블레이드의 구조해석 프로시져를 기술하고, 블레이드 해석 라이브러리의 검증은 고형모델, 박 벽 모델의 단면해석, 3차원 복합재료 유한요소 모델로 구성하여 VABS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차원 축소와 복원해석을 통하여 블레이드 해석 라이브러리는 복합재료 블레이드의 전후처리 프로그램와 연계되어 고고도 무인기, 로터 블레이드, 풍력 블레이드 및 틸트로터 블레이드의 모델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2급 복합레진 와동의 비교 연구 (A STUDY ON CLASS II COMPOSITE RESIN CAVITY USING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 임영일;여인호;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428-446
    • /
    • 1997
  • Restorative procedures can lead to weakening tooth due to reduction and alteration of tooth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prevent fractures to conserve tooth. The resistance to fracture of the restored tooth may be influenced by many factors, among these are the cavity dimens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torative material. The placement of direct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has generally been found to have a strengthening effect on the prepared teeth. It i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vity isthmus and the fracture resistance of a tooth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this study, MO cavity was prepared on maxillary first premola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made by serial photographic method and isthmus(1/4, 1/3, 1/2 of intercuspal distance) were varied. Two types of model(B and R model) were developed. B model was assumed perfect bonding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ity wall and R model was left unfilled. A load of 500N was applied vertically at the first node from the lingual slope of the buccal cusp tip. This study analysed the displacement, 1 and 2 direction normal stress and strain with FEM software ABAQUS Version 5.2 and hardware IRIS 4D/310 VGX Work-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isplacement of buccal cusp in R model occurred and increased as widening of the cavity, and displacement in B model was little and not influenced by cavity width. 2.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stress resulting in increase of fracture resistance in B model when compared with R model. 3. With the increase of the isthmus width, B model showed no change in the stress and strain. In R model, the stress and strain increased both in the area of buccal-pulpal line angle and the buccal side of marginal ridg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rack increased. 4. The stress and strain were distributed evenly on the tooth in B model, but in R model, were concentrated on the buccal side of the distal marginal ridge and buccal-pulpal line angl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fracture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