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적 공간분석

Search Result 1,0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 Kim, Yun Ji;Yoo, Byoung Min;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6
    • /
    • pp.33-43
    • /
    • 2014
  • As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 indoor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interest in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grown. Object-Oriented 3D indoor space modeling includ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performed in level of detail 4, and modeling data is able to be constructed based on various raw data which are as-built drawing, laser scanning, BIM data, and camera. 3D indoor space modeling has been worked based on established indoor space modeling process, and the resul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indoor space pedestrian navigation, facility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and so on. However, the modeling process has limitations to perform indoor space modeling efficiently, because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wastes time at modeling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purpose on supporting efficient indoor space modeling through analyzing the established process. Therefore, we define the requirements to evaluate the practical use of raw data and propose the verification method. In addition, as-built drawing which has been used in Seoul 3D indoor space modeling project will be applied to proposed method as a raw data.

A Study of Statistical Analysis of Rock Joint Size and Intensity by Stereological Approach (입체해석학적 접근법에 의한 암반 절리 크기 및 밀집도의 통계적 분석에 관한 연구)

  • 류동우;김영민;이희근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2 no.1
    • /
    • pp.10-18
    • /
    • 2002
  • Rock joint system makes a heavy effect on the behavior of rock structures. The definition of a 3D rock joint system is very important in 2D or 3D numerical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the behavior of a discontinuous rock mass. To enhance the reality of a 3D definition of rock joint system, it is essential to estimate the unbiased statistics of basic geometric attributes of rock joints.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derived the related equations for an estimation of statistics of joint size and intensity. Geometry of rock joints in 3 dimensional space can be defined by the aggregate of location, size, orientation and intensity. The dimensional limit of survey method and its data makes 3D geometric attributes probabilistic. In the estimation of statistics of joint size, we have discussed the technique to correct the bias from a dimensional limit and derived the equation of 3D joint intensity by stereological approaches.

A Study on the Preference by Groups and Quality Improvement Surveying of the Important Factor of 3D Spatial Information by Equipment (장비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품질향상 요인추출 및 집단 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Oh, Min-Kyun;Bea, Sang-Tea;Kim, Tea-Woo;Lee, Jung-Il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6 no.1
    • /
    • pp.3-21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key factors of 3D spatia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ment of aerial and ground equipment fusion, and the quality improvement solutions are delivered from the preference survey. Furthermore, it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 technical eleme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It is for identifying the priority which needs to be improved, and this data will be used to identify the evaluation for factors,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quality is judged by the quantitative techniques through the preference survey of the gap between the experts of spatial information and survey and the general users who have experiences on 3D spatial information.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Three-dimensional Spatio-temporal Analysis of Drought (가뭄사상에 대한 3차원적 시공간 분석을 통한 가뭄지도 개발)

  • Yoo, Jiyoung;So, Byung-Jin;Kwon, Hyun-Ha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1
    • /
    • pp.25-33
    • /
    • 2020
  • A drought event is characterized by duration, severity and affected area. In general, after calculating a drought index using hydro-meteorological time series at a station, a drought event is defined based on the run theory to identify the beginning and end time. However, this one-dimensional analysis has limitations for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paths of drought.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fine a three-dimensional drought event using a simple clustering algorithm and to develop a drought map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drought severity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expansion of drought.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two-dimensional monitoring information to show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 index, a proposed drought map is able to show three-dimens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inclusing drought duration, spatial cumulative severity, and centroid of drought. The analysis of drought map indicated that there was a drought event which had the affected area less than 10 % while on occations while there were 11 drought events (44 %) which had the affected area more a than 90 % of the total area.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variation of drought affected area and severity corresponding to various drought durations. The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three-dimensional drought analysis is useful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patterns of regional drought which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mitigation measures for future extreme droughts.

Production of a Bird's-eye View using 3D Spatial-Information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조감도 제작)

  • Choi, Seok-Keun;Yi, Gyo-Han;Jo, Ui-Hwan;Lee, By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13-314
    • /
    • 2008
  • 현재의 조감도 제작방법은 3D-Max, 포토샵과 같은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조감도는 일반적으로 제작과정에서의 특성상 2차원 평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지만 지표면의 3차원 공간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지역의 사진 등을 편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시설물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데이터를 이용하여 LiDAR 데이터에서 획득한 고정밀의 DEM과 고품질의 항공영상을 이용한 3차원 모델을 제작하여 조망권, 가시권, 지형분석 등을 수행하고, 주변의 모든 대상물을 고려한 효율적인 조감도를 제작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A Collision Detection and Octree Partitioning Method using CLOD (CLOD 를 활용한 충돌검출과 옥트리 분할 기법)

  • Lee, Sookng-Ug;Park, Kyung-Hwa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1.10a
    • /
    • pp.615-618
    • /
    • 2001
  • 본 논문은 기존의 3D 게임 엔진에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이 가능하고 3D MMORPG(Massive Multi-play Online Role flaying Game) 게임에 적합한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필요한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려 한다. 기존의 머드 게임에 3 차원 기술을 적용하고, 3 차원 물체를 모델링 하는데 있어서 메쉬나 버텍스, 혹은 폴리곤으로 사실적인 지형 처리와 렌드링 속도 향상을 위하여 3 차원 개체의 폴리곤을 동적으로 생성시키고 가시성 판단이나 충돌 검출을 위한 방법으로 Height field 처리 기법과 거리에 변화에 따라 다르게 모델링 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CLOD(Continuous Level of Detail) 처리 기법과 입체 컬링 방법으로 옥트리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을 분해하기 위한 자료 구조로 사용한다. 거리의 변화에 따라 지형을 표현하는 vertex 들을 병합 또는 삭제함으로써 그 표현의 정도를 동적으로 달리 할 수 있는 CLOD 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적절한 폴리곤을 생성해 낼 수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3 차원 공간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옥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할하고, 이를 세부 수준으로 나누어 처리하기 위한 LOD(Level of Detail)와 CLOD 개념을 이용하여 외부지형을 폴리곤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기법과 가시성 판단이나 충돌 검출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려 한다.

  • PDF

3D Cadastre Data Model in Korea ; based on case studies in Seoul

  • Park, So-Young;Lee, Ji-Yeong;Li, Hyo-Sa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4
    • /
    • pp.469-481
    • /
    • 2009
  • Due to the increasing demands on the efficient use of land and the fast growth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human living space is expanded from on the surface to above and under the surface. By recognizing that the current cadastre system based on 2D was not appropriate to reflect the trend, the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a 3D cadastre. This paper proposed the 3D cadastre data model that is appropriate to protect ownership effectively in Korea. The 3D cadastre data model consists of a 3D cadastre feature model and a 3D cadastre geometry model, and the data are produced by a 3D cadastre data structure. A 3D cadastre feature model is based on 3D rights and features derived from case studies. A 3D cadastre geometry model based on ISO19107 Spatial Schema is modified to be good for 3D cadastre in Korea. A 3D cadastre data structure consists of point, line, polygon and solid primitives. This study finally purposes 1) serving and managing land information effectively, 2) creating rights and displaying ranges about infrastructures above and under surface, 3) serving ubiquitous-based geoinformation, 4) adapting ubiquitous-based GIS to urban development, and 5) regulating relationships between rights of land and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s.

  • PDF

Development of a CAVE type Virtual Reality System for 3-D Spatial Data Visualization (3차원 공간 자료 시각화를 위한 CAVE 형 가상현실 시스템 구축)

  • Lee, Kwan-Woo;Lee, Doo-Sung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7 no.2
    • /
    • pp.117-120
    • /
    • 2004
  • Immersive virtual reality provides an effective way of visualizing and analyzing various spatial data, such as wireline logs, three-dimensional seismic, and interpreted geologic boundaries, and etc. Although it is a valuable tool for oil and gas exploration, its usage has been limited to a specific area because of its high development costs.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known as CAVE (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that maximizes immersiveness with reasonable prices by using general purpose PC and projectors.

Spatial Analysis of Mixing Characteristics in a River Confluence using ADCP (ADCP를 활용한 하천 합류부 수체 혼합의 공간 특성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Young Do;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75
    • /
    • 2017
  • 하천의 합류부는 서로 다른 지형학적 특성과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하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구간으로 급격한 흐름의 변화 및 퇴적물의 유입과 수리학적 지형변화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합류부에서는 흐름구조와 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이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침식과 퇴적으로 인한 하상변동과 같은 하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합류부는 두 지류가 만나 형성되는 지역으로 하천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합류부 구간의 혼합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류의 다양한 유입조건에 따른 본류와의 수체혼합의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류부 연구들은 실측에 기반한 공간적인 수체혼합의 패턴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수리 및 수질 수치모형에 의존하여, 실측자료에 기반하여 지류의 유입에 따른 수체혼합을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CP를 활용하여 합류부의 혼합 현상을 규명하는 인자로 유속과 수심 등 기본적인 수리학적 인자들뿐만 아니라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ADCP의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하여 상이한 농도의 유사가 혼합되는 양상을 측정하여 합류부의 혼합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음파반사율은 부유사와 관련되는 인자로 SonTek ADCP 이동식으로 측정된 SNR자료를 확산, 물에 의한 흡수를 고려하여 보정한 후 3차원 혼합거동의 공간적인 분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한 방식을 검증하고 지류와 본류의 유입 전후 입도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LISST 측정을 수행하였고, 드론 영상을 활용하여 유입 유사의 2차원 공간적인 분포를 확보하여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ADCP, LISST, 드론의 계측자료는 낙동강과 남강 합류부에서 측정되었고, ADCP로부터 제공되는 유속, 수심자료의 공간적인 분포를 분석하여 합류부의 수리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고, 초음파반사율을 유사 혼합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는 인자로 활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유입량에 따른 다양한 유사 혼합의 3차원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Hybrid Audio Technology Trends for Immersive Sound Service (고현장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동향)

  • Jang, D.;Lee, Y.J.;Yoo, J.;Lee, 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81-90
    • /
    • 2016
  • 현재, 극장 사운드를 중심으로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포맷의 사운드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는 차세대 방송용 오디오에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은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재생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현장의 음향을 신호와 3차원 공간정보로 구분하여 음향공간의 정보를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재생단말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한 제작 및 3차원 공간정보 표현 기술이 필요하며, 청취환경에서는 객체기반 실감음향 콘텐츠를 제작자의 의도대로 렌더링할 수 있는 재생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이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