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지점

Search Result 4,49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vestigation of correlativity between Water Velocity and Water Temperature at a Natural River (자연하천에서의 유속과 수온의 상관성 조사)

  • Lee, Hyun-Seok;Lee, Geun-Sang;Kim, Young-Sung;Yang, Jae-Rhe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79-1883
    • /
    • 2008
  • 본 연구는 자연하천에서의 수온과 유속의 정량적인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기위한 지점별 열화상 촬영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계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서식처별 수온 모니터링: 수온은 시간 변화에 연동하므로 관측기간 내내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 서식처별 유속 관측: 하천에서의 지점별 유속은 강우가 없고 지형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그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날씨가 좋았던 현장조사 기간 중에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각 지점별 유속을 취득하였다. 3) 자료 분석: 취득된 수온 자료와 유속 자료를 분석하여 수온과 유속간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4)분포특성 비교: 대표지점에서의 수치계산 결과와 열화상을 이용하여, 유속과 수온의 면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법을 현업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온도 분포의 주기로 볼 수 있는 1년간의 시기별 조사 및 서식환경이 각각 다른 지점에서의 환경특성을 고려한 분석이 보완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자연하천에서의 서식지 구분 및 유속 분포를 추정한 본 연구는 향후 그 활용성이 매우 크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Semi-Rigid Connection and Foundation Type on Static Behavior of Plastic Greenhouse (부재 교차부와 기초 조건이 비닐하우스의 정적거동에 미치는 영향)

  • Ryu, Hee-Ryong;Cho, Myeong-Whan;Yu, In-Ho;Lee, Eung-Ho;Woo, Jong-Gyu;Lee,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1-62
    • /
    • 2011
  • 비닐하우스는 매우 세장한 강관부재들을 교차 결합하여 조립한 철골 구조물의 한 종류이다. 현행 설계기준으로 단동 비닐하우스의 최대 구조성능은 풍하중 40m/s, 설하중 50cm에 달한다. 그러나 설계 단계에서는 부재들의 교차결합 특성 및 부재가 직접 지반에 삽입되는 기초의 특성이 적합하게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력시험을 통하여 반강접 특성을 갖는 부재 교차부 및 지반삽입기초 조건이 구조물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재 교차부가 강접 조건일 경우와 비교하여 교차부가 반강접일 경우에는 재하지점의 수평강성이 최대 54% 작게 나타났으나 주변 교차절점들에서의 에너지 흡수로 인하여 재하지점과 수평으로 3m 떨어진 지점에서는 반대로 최대 39% 큰 값을 보였다. 지반삽입기초의 경우에는 고정조건과 비교하여 재하지점의 수평강성이 최대 32% 작게 나타났으며, 지점부에서는 기초 조건의 영향으로 최대 26%의 휨강성 증가 효과를 보였다. 부재 교차부와 기초 조건이 구조물의 정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나 최대내력과 강성 산정을 통한 구조성능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urce Tracking Models on Chemical Leaks for Emergency Response in Chemical Plants Based on Deep Learning of Big Data (화학공장 누출사고 대응을 위한 빅데이터-딥러닝 누출원 추적모델)

  • Kim, Hyunseung;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39-340
    • /
    • 2017
  • 화학공장의 누출사고는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화재 폭발과 같은 2차 3차의 복합재난사고로 확산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이유로 누출사고 발생 초기에 누출이 발생한 지점을 신속히 파악하여 현장안전요원에게 알림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초기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사고피해를 완화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누출사고 대응시스템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인 누출사고 대응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로, 딥러닝 기반의 누출원추적 모델 개발을 제안한다. 여수에 위치한 실제 화학공장을 대상으로 누출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뒤, 화학공장 경계면에 배치된 각 센서별 위치에서의 농도, 풍향 그리고 풍속데이터를 추출하고, 센서 좌표를 추가하여 인공신경망을 학습시켰다. 학습된 모델은 40개의 누출후보군에 대해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상황들에서도 75.43%의 정확도로 누출이 일어난 지점을 실시간 예측해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누출지점 예측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예측된 지점이 실제 누출이 일어난 지점과 물리적으로 매우 인접함을 확인함으로써 제안된 모델을 실제 현장에 적용할시 기대되는 효과는 더 클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Gyeongan Stream,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Drainage System, Korea (한강지류 경안천의 어류군집 특성)

  • Choi, Kwang-Seek;Han, Mee-Sook;Kang, Dong-Won;Ko, Myeong-H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4 no.2
    • /
    • pp.142-156
    • /
    • 2020
  • This study surveyed Gyeongan Stream,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Drainage System, from April to October 2017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The survey collected 40 species of 11 families from 48 survey stations using kick nets and cast net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48.0%)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17.7%), respectively. The next most abundant species were Pungtungia herzi (6.8%), Z. koreanus (5.0%), Carassius auratus (4.3%), Squalidus gracilis majimae (2.7%), and Rhodeus notatus (2.5%). Among the fish collected, 14 species (35.0%) were Korean endemic species, and the exotic species were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and Cyprinus carpio (Israeli type). The land-locked species were Plecoglossus altivelis, Rhinogobius brunneus, and Cottus koreanus, while the species sensitive to climate change was C. koreanus.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the dominance was higher at the uppermost stream station, whereas diversity and abundance tended to be lower at the upstream station and higher toward the downstream station. The community structure was largely divided into rivers (uppermost stream, upstream, and middle-lower stream) and lake. The river health was mostly good (23 stations, 47.9%) and fair (15 stations, 31.3%). Comparison with past surveys showed that 12 species identified in the past surveys did not appear in this survey; nine specie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urvey; and the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 M. salmoides and L. macrochirus - tended to spread more widely gradually.

Evaluation of Discharge-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iver Grade Classification of Jinwi River Unit Basin (진위천 단위유역의 유량-수질 특성 및 하천 등급화 평가)

  • Cho, Yong-Chul;Choi, Jin-Woo;Noh, Changwan;Kwon, Phil-Sang;Kim, Sang-hun;Yu, Soonj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6
    • /
    • pp.704-716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discharge and water quality based on TPLMS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in the Jinwi River unit basin, and to propose a management plan by selecting the point that need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water quality. We evaluated the discharge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statistical analysis, daily delivery load and daily delivery density, grade classification, for 14 total pollution load site's from 2014 to 2016 year in Jinwi river unit basin. The average discharge of Jinwi river unit basin is $22.411m^3/s$ and discharge of Hwangguji River is 32.8% and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long the tributary river were clarified spatially. As the result, it was analyzed that Seongeun River is an indirect indicator of organic pollutants, Gwanri River is a seasonal factor, Osan River and Hwangguji River both affect water quality. Estimation of delivered pollutant loads at the HG-3 site was 6,470.4 BOD kg/day, 6,846.7 TN kg/day and delivered pollutant loads density increased to $220.9BOD\;kg/day/km^2$, $22.4TP\;kg/day/km^2$ at the HG-4 sit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total pollution load site needed to improve water quality of the Jinwi River unit basin was HG-3 site.

Irrigation Water Quality of the Kyoungan Stream. (경안천수계의 농업용수로서 수질검토)

  • Lee, Jong-Sik;Jung, Goo-Bok;Kim, Jin-Ho;Kim, Bok-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7 no.2
    • /
    • pp.136-139
    • /
    • 1998
  • The water quality in Kyoungan stream was surveyed at 6 sites for 7 months from March to September in 1994, 1995 and 1997. The overal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Yearly COD concentration of Kyuongan stream was decreased from 26.3 mg/l in 1994 to 17.8 mg/l in 1997, but those of $NH_4-N$ and $NO_3-N$ were not changed. The water quality of Kyoungan stream in July and August was better than any other months due to dilution with rainwater. The water quality along Kyoungan stream was deteriorated with inflow of tributaries contaminated with livestock wastewater and sewage water in the mid-stream, but thereafter it was recovered with inflow of Gonjiam steam and Beon stream.

  • PDF

Estimation of Pollution Degree of Surface Sediment from Incheon H Wharf (인천 H항 표층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

  • Kim, Jeong-Ho;Nam, S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5
    • /
    • pp.504-510
    • /
    • 2014
  • In this stud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ollution degree of surface sediments collected at 5 stations(S1~S5) of Incheon H wharf in March 2014 were investigated. From particle size, surface area, XRD and XRF analyses, the sediment samples consisted of similar oxides and minerals. Considering total score of COD, AVS and IL, pollution level ranged between 2 and 3 based on domestic standards. In cas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Cd, Ni and Pb were classified as moderately polluted by USEPA standards. However, Cu, Zn and Cr were classified as heavily polluted. With geoaccumulation index value($I_{geo}$), Cd contamination was estimated as class 3. In addition, the calculated enrichment factors of Cd, Pb and Zn were exceeded a value of 1. Site S4 was high as 3.1 in total enrichment factor.

Estimation of the Target Water Quality Achievement for 3rd Stage Total Maximum Daily Loads(TMDLs) in Yeongsan River (영산강 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목표수질 달성전망 평가)

  • Park, Sung Chun;Oh, Chang Yeol;Moon, Byoung Seok;Gwak, Pil Jeong;Kim, Jeo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23-527
    • /
    • 2017
  • 우리나라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지역의 발전 계획과 하천의 수질을 연계시켜 목표수질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개발을 허용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1999년 "한강수계상수원수질개선및주민지원등에관한법률"에 의해 처음 시행되었다. 그러나 한강수계보다 늦게 2004년에 도입된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수계에서는 의무제 총량으로 우리나라에서 처음 도입되어 지난 12년간 시행되었으며 충청북도와 강원도를 제외한 한강수계에서도 2013년 6월부터 의무제 총량이 도입되었다. 1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BOD만을 관리항목으로 설정하여 관리한 반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하는 2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부영양화 방지를 위해 총인항목을 포함하여 관리항목을 설정하여 관리하였으며, 2016년에 시작하여 2020년까지 시행하는 3단계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2단계에서와 같은 관리항목을 설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단계 영산강수계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목표수질의 달성전망을 평가하기 위하여 3단계 기본계획에서 활용한 QUAL-MEV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2012년 수질자료를 보정자료로, 2015년 수질자료를 검증자료로 활용하여 구축하고 2020년의 영산강수계 8개 단위유역의 말단지점에 대하여 목표수질의 달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BOD는 영본A, 영본B지점에서 각각 목표수질을 21%, 8%를 초과하며 T-P는 영본A지점에서 30%를 초과하여 목표수질을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산강수계 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성공을 위하여 영본A, 영본B지점의 목표수질 달성을 위한 추가 수질개선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태화강 주변지역 지하수의 수질특성 및 계절별 수질변화 양상

  • Lee Jong-Seong;Kim Do-Sun;Yun Hye-Jeong;Choi Yeong-A;Choi Yeong-Seon;Im Jong-Seon;Yun Han-Jik;Lee Jin-Yeol;Jeong Su-Geun;Ham Yu-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441-445
    • /
    • 2005
  • 태화강 주변지역 지하수의 계절적 수질 변화를 보고자 현장측정 항목(수온, pH, 알칼리도, 전기전도도), 일반 항목(증발잔류물, 총경도,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음이온물질$(F^-,\;Cl^-,\;{NO_3}^-,\;{SO_4}^{2-})$, 양이온물질$(Ca^{2+},\;Mg^{2+},\;K^+,\;Na^+)$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7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04년 5월, 10월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지역별 수질특성을 살펴보면 남구지역은 $Ca-Mg-HCO_3,\;Ca-Mg-HCO_3-Cl,\;Ca-Mg-Na-Cl-HCO_3,\;Na-Cl-HCO_3$의 4가지 유형이 전체 시료의 74%를 차지하였으며, $Ca-Mg-HCO_3$형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고, 중구지역 지하수에서는 $Ca-Mg-HCO_3-Cl,\;Ca-Mg-Na-HCO_3-Cl,\;Ca-Mg-HCO_3$의 3가지 유형이 전체 시료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Ca-Mg-HCO_3-Cl$형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두 지역의 수질 변화를 살펴보면. 전기전도도는 남구는 $731.5{\mu}s/m^3$에서 $529.8{\mu}s/m^3$, 중구는 $752.6{\mu}s/m^3$에서 $621.6{\mu}s/m^3$로 201.7, $131.0{\mu}s/m^3$만큼 작아져 두 지역 모두 같은 양상을 보였으나, Hardness 및 TDS의 경우 남구지역은 5월보다 10월에 평균, 최대값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Cl^-$의 경우 지역적, 계절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남구는 5월 68.2mg/l, 10월에는 61.7mg/l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중구의 경우 5월 75.5mg/l, 10월 122.1mg/l로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이온 분포 비율 및 농도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계절적으로 5월보다 10월에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두 지역 모두 양이온물질 중 나트륨의 분포비율 및 농도가 5월보다 10월에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연구 지역 지하수의 계절적 수질변화를 살펴보면 두 지역간의 지하수질 및 분포특성에 있어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중구 지역에서 5월보다 10월에 나트륨과 염소이온의 증가가 다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연구지역 중 특이지점($Cl^-$:1,000mg/l이상)은 남구는 5월에 2개에서 10월에는 3개 지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중구는 5월, 10월 모두 4개 지점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Acid Mine Drainage from Abandoned Coal Min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상류 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 Lee, Hwang-Goo;Jung, Sang-Woo;Kim, Dong-Gun;Bae, Yeon-Ja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1
    • /
    • pp.72-81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id mine drainage (AMD) from abandoned coal min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from May to October in 2009.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ampling (Surber sampler: $50{\times}50$ cm; mesh size, 0.2 mm) was conducted at 7 study sites and 3 control sites in the study area. We thus sampled 117 species belonging to 53 families, 15 orders, 6 classes, and 5 phyla; the Ephemeroptera, Plecoptera, and Trichoptera group (EPT-group) represented the majority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71 species; 64.5%). In the quantitative sampling, a total of 11,575 individuals belonging to 58 species of benthic maroinvertebrates were sampled from the study sites (Sites 1-7), whereas 2,844 individuals belonging to 79 species were sampled from the control sites (Sites A-C). Tolerant species such as oligochaetes, $Epeorus$ $pellucidus$, $Baetis$ $fuscatus$, Hydropsychidae species, and Chironomidae species were predominant in the study sites. The community indices for the study sites, such as MacNaughton's dominance index (DI) (mean${\pm}$SD, $0.52{\pm}0.21$; range, 0.33-0.85) and the Shannon diversity index ($H^{\prime}$) ($2.06{\pm}0.60$; 1.06-2.57), were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control sites (DI: $0.29{\pm}0.07$, 0.22-0.35; $H^{\prime}$: $3.13{\pm}0.14$; 3.03-3.30). In the study sites, shredders and scrapers were scarce, whereas gathering-collectors (mainly Chironomidae species) were relatively abundant, as were clingers and burrowers. The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and similarity analyses showed that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study sites were clearly separated from those of the control sites, with the greatest dissimilarity being noted at the uppermost study site (Site 1), which is located close to an abandoned coal mine. The Korean saprobic index (KSI) and the ecological score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ESB) showed that the uppermost study site (Site 1) was ${\alpha}$-mesosaprobic or heavily polluted, whereas other study sites were in a fair or relatively good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