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4-dihydroxyphenyl acetic aci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Radical Scavenging Hydroxyphenyl Ethanoic Acid Derivatives from a Marine-Derived Fungus

  • Li Xifeng;Kim Se-Kwon;Kang Jung-Sook;Choi Hong-Dae;Son Byeng-Wh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37-638
    • /
    • 2006
  •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an organic extract of the culture broth from an unidentified marine-derived fungus led to the isolation of a new metabolite, N-[2-(4-hydroxyphenyl) acetyl]formamide (1), along with four known polyketides, 4-hydroxyphenyl acetamide (2), 4-hydroxyphenyl acetic acid (3), 3,4-dihydroxyphenyl acetic acid (4), and N-[2-(4-hydroxyphenyl)ethenyl]formamide (5). The structures of 1-5 were elucidated by spectral data analyses. Among them, compounds 1, 4, and 5 exhibited signific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with $IC_{50}$ values of 8.4, 11.9, and $0.2{\mu}M$, respectively.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utin and Its Metabolites

  • Kim, Ji Hye;Park, Sang Hee;Beak, Eun Ji;Han, Chang Hee;Kang, Nam Jo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165-169
    • /
    • 2013
  • Rutin is one of the major flavonoids found i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While rutin is already known to exhibi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However, the health beneficial function of rutin metabolites is not well understood. In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3,4-dihydroxyphenyl acetic acid had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rutin, homovanillic acid, and 3-hydroxyphenyl acetic acid. Further,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strongly reduced LPS-induced IL-6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compared with other metabolit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tin metabolites have potential to be utilized as food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 PDF

HPLC-ECD를 이용한 흰쥐 뇌의 선조체 중 신경전달물질의 동시분석시 최적 조건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eurotransmitters in Rat Brain Striatum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 강종성;문민선;신형선;이순철
    • 분석과학
    • /
    • 제8권2호
    • /
    • pp.215-220
    • /
    • 1995
  • 흰쥐 뇌의 선조체로부터 catecholamine, indoleamine 및 대사산물을 동시분석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기는 ECD를 장착한 HPLC를 사용하였고, 고정상인 $C_{18}$ 컬럼에서, 이 동상은 10mM citric acid, 0.13mM $Na_4EDTA$, 0.58mM SOS를 함유하는 35mM sodium acetate buffer(pH 3.4) : MeOH=85:15가 최적이었다. 이 때 컬럼온도는 $30^{\circ}C$였다. 이 조건으로 dopamine(DA), 3, 4-dihydroxyphenyl acetic acid(DOPAC), homovanilic acid(HVA), 5-hydroxyindole acetic acid(5-HIAA), serotonin(5-HT) 및 noradrenaline(NA)을 미량까지 분석할 수 있었고, 검출한계는 각 성분에 대해 1회 주입당 2~10pg이었다. 이 방법으로 흰쥐의 주령 및 성별에 따른 선조 체내 생체아민과 대사산물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7주령 쥐에서 암컷은 수컷보다 DA와 5-HT의 함량이 유의성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령이 증가함에 따라 암컷에서 DOPAC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수종의 생약 추출물이 에탄올 투여 흰쥐의 뇌 부위별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Crude Drug Extracts on the Brain Neurotransmitters in the Ethanol-Treated Rats)

  • 린팜두안;이순철;김영호;홍선표;송창우;강종성
    • 분석과학
    • /
    • 제13권5호
    • /
    • pp.630-635
    • /
    • 2000
  • 전기화학검출기를 이용한 HPLC법으로 흰쥐의 뇌 부위별 신경전달물질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것을 이용하여 뇌기능 개선에 빈용되는 원지, 육두구, 산조인, 석창포, 상기생, 맥문동, 몰약의 메탄올 추출물이 에탄올 투여 흰쥐의 뇌 부위별 신경전달 물질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에탄올 투여에 의해 전피질의 dopamine (DA), 3,4-dihydroxyphenyl acetic acid (DOPAC) 및 serotonin (5-HT) 함량이, 해마의 5-HT 함량이 각각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전피질의 ${\gamma}$-aminobutyric acid(GABA) 함량은 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에탄올 투여 흰쥐의 선조체와 전피질의 DA 함량은 생약 추출물의 투여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몰약 및 상기생은 에탄을 투여 휜쥐의 전피질에서 DA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반면, 5-HT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약, 육두구, 상기생은 에탄올 투여 흰쥐의 선조체에서 GABA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에 사용된 생약 추출물의 작용이 에탄올 투여 흰쥐에서 뇌 부위 및 신경전달물질에 대해 선택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루틴 대사체의 미백 효능 (Potent whitening effects of rutin metabolites)

  • 김지혜;강남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07-612
    • /
    • 2015
  • 본 연구는 rutin 및 rutin 대사체인 DHPAA, HPAA, DHT, HVA가 버섯 유래 tyrosinase 활성과 마우스 피부표피 세포주인 JB6 P+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HVA가 버섯유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DHPAA, HPAA, rutin, DHT 순서로 저해효능을 나타내었다. DHT를 제외한 rutin 및 rutin 대사체들 모두 $100{\mu}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DHT는 50 또는 $100{\mu}M$에서 세포증식을 저해하였으나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유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rutin 대사체 모두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버섯 유래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므로, 앞으로 미백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aloperidol 투여후 금단기간에 따른 백서 선조체의 [$^3H$]Spiperone 결합 및 Dopamine 대사물질의 변화 (Time-Course of [$^3H$]Spiperone Binding and Dopamine Metabolism in the Rat Striatum after Withdrawal from Haloperidol Ttreatment)

  • 이중용;공보금;김용관;정청;김선희;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51-56
    • /
    • 1996
  • The effects of 3 week treatment with haloperidol(2mg/kg/day, i.p.) on dopamine(DA) D2 receptor and DA metabolism in rat striata were studied at various time points after withdrawal from the drug treatment. Striatal DA D2 receptor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radioligand 0.5nM [$^3H$]Spiperone. Dopamine(DA), homovanillic acid(HVA), 3,4-dihydroxyphenyl acetic acid(DOPAC) in rat striatum were measured with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rug withdrawal for 1 week induc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2 receptor in striatum after withdrawal for 1 week(p<0.05), and then this change was restored to control level during the withdrawal time of 2 and 4 week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iatal concentrations of DA and its metabolites among the groups. In conclusion, one-week withdrawal from chronic haloperidol treatment induced DA D2 receptor supersensitivity in the striatum, and that was normalized rapidly. Though this adaptive change in DA receptors, it may not affect the metabolism of DA in striat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