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6S rDNA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45초

호밀(Secale cereale L.)의 핵형분석과 rDNA의 Physical Mapping (Karyotype Analysis and rDNA Physical Mapping in Rye (Secale cereale L.))

  • 이준수;서봉보;김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3-168
    • /
    • 2010
  • 본 실험은 곡류 작물중에서 육종의 소재로써 많은 장점을 지닌 호밀을 Gimsa C-분염법과 FISH기법을 이용하여 구성이질 염색질과 5S와 18S-26S rRNA 유전자의 염색체상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표지되었으며 2차협착으로 부수체가 존재하는 1번 염색체의 부수체의 말단과 5번 염색체의 중간에 표지되었고, 18S-26S rDNAs 유전자는 1개의 염색체에 표지되었으며 이 염색체는 2차협착으로 부수체가 존재하는 1번 염색체의 인 형성체 부위에 표지되었다. 1번 염색체에는 5S 와 18S-26S rDNAs 유전자가 표지되었고 5번 염섹체에는 5S rDNA 유전자만이 표지되었다.

중이 삼출액 미생물의 16S rDNA 복합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인 진단 (Molecular Biological Identification of Bacteria in Middle Ear Effusion Using 16S rDNA Multiplex PCR)

  • 이정구;이인숙;박지연;정상운;오충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6-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16S rDNA복합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중이 삼출액에서 미생물병인원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았다. 중이염환자의 중이 삼출액에서의 미생물 병인원은 주로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와 Moraxella catarrhalis이다. 26명의 환자로부터 39개의 중이염의 삼출액을 얻었고, 중이 삼출액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PCR은 16S rDNA의 C4 region에서 21 base pair의 common primer와 각각 bacterium specific primers [(i) Haemophilus-specific primer (ii) Moraxella-specific primer and (iii) Streptococcus-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9 개의 중이염의 삼출액 시료 중에서, H. influenzae가 24 개(61.5%) 검출되었고, M. catarrhalis는 10 개(25.6%), S.pneumoniae는 3개 (7.7%)가 검출되었다. 16s rDNA 복합중합효소연쇄 반응 진단 결과,11 개(28%)의 중이삼출액 시료에서 음성을 나타내었다. 중이염의 중복감염은 9개의 중이 삼출액시료에서 관찰되었고, 이들은 모두 H.influenzae 와 M. catarrhalis 에 의한 중복감염이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 등은 165 rDNA 복합중합효소연쇄반응이 병원성 미생물을 빠르게 진단하고, 중이삼출액의 미생물 병인론을 추적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한국산 흰명아주와 근연종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Cytotaxonomical Study of the Chenopodium album and its Related Species in Korea)

  • 정영재;김무열;이병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4-328
    • /
    • 2011
  • 한국산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var. album), 명아주(var. centrorubrum), 가는명아주(var. stenophyllum)를 대상으로 aceto-orcein에 의한 염색체 수와 모양을 조사하였고, 45S rDNA 유전자를 이용한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수행하여 세포유전학적 유연관계를 고찰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흰명아주와 명아주는 모두 2n = 6x = 54개인 반면에 가는명아주는 2n = 4x = 36으로 뚜렷이 구별되었으며, 기본염색체수는 x = 9 개였다. 명아주속의 염색체에서 45S rDNA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FISH 결과는 흰명아주의 경우 8개의 signal이, 가는명아주에서는 2개의 signal이 관찰되어 종간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염색체 말단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염색체의 수와 형태, 45S rDNA를 이용한 FISH 결과는 명아주가 흰명아주에 통합되지만, 가는명아주와는 뚜렷이 구별됨을 지지해 주었다.

한국산 송이버섯에서의 18s ribosomal DNA 서열 (The 18s rDNA Sequences of the Basidiocarps of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 이상선;홍성운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56-264
    • /
    • 1998
  • 한국에서 자생하고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갖는 송이에 대한 18S ribosmal DNA의 DNA 서열을 조사하였다. 4개의 지역에서 채집된 송이의 514 bp 분석결과 18S rDNA의 서열는 모두 동일하였고, 경북대학교 미생물연구실의 연구 결과와는 4 bp가 차이가 나타났다. NCBI의 BLAST search결과, T. matstake와 제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514 bp의 서열비교에서는 다른 버섯균과 차이가 있는 서얼 부분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유사도 분석에서 각각의 속에 속하는 균들은 같은 묶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과 혹은 그 이상의 단위에서의 비교는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외생균근의 확인 작업에 필요한 primer 제작을 위한 사전 자료를 얻었으며, 또한 조사된 염기서열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rDNA와 말단소체 반복서열 탐침을 이용한 천마의 FISH 염색체 조성 분석 (Analysis of Chromosome Composi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using rDNA and Telomeric Repeat Probes)

  • ;박응준;김현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3-118
    • /
    • 2018
  • Background: Gastrodia elata Blume is a saprophytic perennial plant in the Orchidaceae family, because of its agricultural and medicinal effectiveness, researchers focus on its genome and chemical components. However, cytogenetic information based on the chromosome structure and composition to construct chromosomal backbone for genome sequencing research and for the development and breeding of plants is very limited. Methods and Results: We determined the metaphase chromosome composition of the G. elata genome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using 5S and 45S rDNAs and telomeric repeat probes. The nuclear genome of G. elata was organized into 2 n = 36, with relatively small ($2.71-5.50{\mu}m$)chromosomes that showed gradual decrease in size. Conglutination phenomenon was observed among the metaphase chromosomes, and it was distinguished from that in other plant metaphase chromosome spreads. One pair of signal was detected for each 5S and 45S rDNA in the pericentromeric region and interstitial region on the short arm of chromosomes 10 and 4, respectively, and telomeric DNA signals were detected in the terminal region of most chromosomes. Conclusion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FISH chromosome composition result in G. elata and could be useful in more comprehensive molecular cytogenetic and genomic analyses as well as breeding programs of the medicinal plant G. elata.

강원도 양식 연어과 어류에서 분리된 에로모나스 종의 유전학적 동정 (Genetic identification of Aeromonas species using a housekeeping gene, rpoD, in cultured salmonid fishes in Gangwon-Do)

  • 임종원;구본형;김광일;정현도;홍수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9-88
    • /
    • 2017
  • 현재 양식장에서는 Aeromonad를 비롯한 다양한 병원균에 의한 전염병으로 인해 많은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연어과 어류뿐만 아니라 담수 및 해수어류에도 치명적인 감염을 야기하는 Aeromonas 종은 적어도 26종 이상이 보고되어왔으며, 전염병을 유발하는 유비쿼터스 세균이다. Aeromonas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DNA 및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핵산 서열을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Aeromonas 종은 강원도 16개 양식장의 연어과 어류로부터 분리되었으며 Aeromonad의 16S rDNA와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 즉 RNA polymerase sigma factor ${\sigma}^{70}$ (rpoD) 또는 DNA gyrase subunit B (gyrB)를 기반으로 계통 발생 학적으로 동정했다. 그 결과 대서양 연어 (Salmo salar), 은연어 (Oncorhynchus keta), 산천어 (Oncorhynchus masou masou),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서 96 개의 균주가 수집되었으며, 36개의 균주가 16S rDNA 분석에 의해 Aeromonas 속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Aeromonas 속 균주는 rpoD 또는 gyrB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추가 분석되어 Aeromonas salmonicida (24 균주), A. sobria (10 균주), A. media (1 균주) 및 A. popoffii (1 균주)로 검출되었으며, 이 것은 Aeromonas salmonicida가 강원도의 연어과 어류에서 주요 감염균임을 나타낸다. 또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에 기초한 Aeromonas 종의 계통발생학적 동정은 16S rDNA 서열보다 더 정확하다는 것이 또한 증명되었다.

삽주의 18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결정, 계통분류학적 분석 및 atractylon 분석 (DNA Sequenc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8S rRNA Gene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nd Analysis of Atractylon)

  • 배영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2
    • /
    • 2009
  • The region containing 18S rRNA gene, ITS 1 and part of the 5.8S rRNA gene of the Atractylodes japonica Koidz was amplified by PCR and the product cloned in a pBluescript SK II plasmid. DNA sequence of the cloned DNA was determined and submitted to the GenBank (accession number EU678363).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TS 1 DNA showed close similarity with the other plant species of the family Compositae. The extract of the plant materials of five different members of the family Compositae was analyzed by HPLC to detect atractylon. Extract of the A. japonica Koidz showed presence of significant amount of atractylon. However, noticeable amount of atractylon was not detected by the same analyses from the extracts of the other plants belonging to the family Compositae including Artemisia capillaris, Chrysantemum zawadskii, Eclipta prostrata or Taraxacum platycarpum.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Bulk Soil, Rhizosphere Soil, and Root Samples of Hot Pepper Plants Using FAME and 16S rDNA Clone Libraries

  • Kim, Jong-Shik;Kwon, Soon-Wo;Jordan, Fiona;Ryu, Jin-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236-242
    • /
    • 2003
  • A culture-independent and -dependent survey of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rhizosphere and soil samples from hot pepper plants was conducted using 16S rDNA clone library and FAME analyses. Out of the 78 clones sequenced, 56% belonged to Proteobacteria, 4% to high G+C Gram- positive group, 3% to Cytophyga-Flexibacter-Bacreroides, and 32% could not be grouped with any known taxonomic division. Among the 127 FAME isolates identified, 66% belonged to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Baciilus spp.) and 26% to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In a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for both methods were found to be strikingly dissimilar.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comparative study of FAME and 165 rDNA clonal analyses performed on the same set of soil, rhizosphere soil, and root samples.

Identification of the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Korean Native Orchid

  • Lee, Sang-Sun;You, Jae-Hyung
    • Mycobiology
    • /
    • 제28권1호
    • /
    • pp.17-26
    • /
    • 2000
  • The orchid symbio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Korean native orchid (Cymbidium goeringii) collected and Chinese orchid (C. sinense) obtained from greenhouses. They were identified as a species of Rhizoctonia, based on the sequences of 18r rDNA, the microscopic observations of mycelia, and the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commercial orchids. The isolate collected from Chinese orchids was revealed to be a species of Ceratobasidium endophytica, and to be different from the other isolates at the thickness of the mycelia stained in the root cells of Korean native orchids. The other isolates collected from the Korean native orchids were considered to be a species of Tulsanella repens (anamorphic: Epulorhiza repens) or its related one. The physiologic or microscopic variations were oftenly observed among them, but the tendency of grouping these in the 18s rDNA sequences were observed to b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localities collected. The further taxonomical segregating for Korean symbiotic fungi was not made because the information concerned were limited in this moment, but was recognized as based on the sequences of 18s DNA.

  • PDF

16S rDNA염기서열에 의한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장내에서 분리된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다양성 (The Diversity of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Intestine of Starfish(Asterias amurensis) by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

  • 최강국;이오형;이건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07-312
    • /
    • 2003
  • 본 연구는 2000년 7월에 전남 장흥군에서 채집한 불가사리의 장내에 존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다양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불가사리 장내에 존재하는 균체수를 측정하였으며, 순수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16S rDNA 증폭기법을 이용하여 세균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불가사리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는 8.65${\pm}$0.65${\times}10^3\;dfu\;g^{-1}$이었다. 29 균주의 세균이 순수 분리되었으며, 그 중 그람양성 세균은 분리된 균주의 59% (17균주)를 차지하였다. 불가사리 장내에서 분리된 균주는 Bacillus속, Microbacterium 속, 그리고 Marinobacter 속 등이 우점이었으며, 이외에도 Staphylococcus 속, Psychrobacter 속, Paracoccus 속, Erythrobacter 속, Zoogloea 속, Kocuria 속과 Arthrobacter 속 등이 포함되었다. 분리된 균주 가운데 Bacillus 속에 속하는 8균주 중 3균주는 type strain과 97% 이상의 유사도를 보인 반면, 5 균주는 유사도가 90%로 비교적 낮은 유사도를 보여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신종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