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2:6 (n-3)

검색결과 2,376건 처리시간 0.034초

LINEARLIZATION OF GENERALIZED FIBONACCI SEQUENCES

  • Jang, Young Ho;Jun, Sang Pyo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2권3호
    • /
    • pp.443-454
    • /
    • 2014
  • In this paper, we give linearization of generalized Fi-bonacci sequences {$g_n$} and {$q_n$}, respectively, defined by Eq.(5) and Eq.(6) below and use this result to give the matrix form of the nth power of a companion matrix of {$g_n$} and {$q_n$}, respectively. Then we re-prove the Cassini's identity for {$g_n$} and {$q_n$}, respectively.

조리방법이 꽁치(Cololabis seira)의 고도불포화지방산 및 주요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Methods on Composition of Polyunsaturated and Other Fatty Acids in Saury (Cololabis seira))

  • 김정희;김충기;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19-923
    • /
    • 1999
  • 꽁치의 가식부를 가정에서 쓰이고 있는 조리방법 (pan frying, deep fat frying, steaming, microwave cooking)으로 조리를 한 후에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꽁치의 총지방질 함량은 $21.87%{\sim}30.63%$로 개체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지방산 조성 (평균값)은 $C_{22:1}\;(21.75%)>C_{20:1}\;(15.81%)>C_{16:0}\;(11.75%)>C_{22:6}\;(DHA,\;10.61%)>C_{14:0}\;(7.04%)>C_{20:5}\;(EPA,\;5.13%)$ 등의 순으로 주요 지방산을 구성하고 있었다. SFA에 대한 PUFA의 조성비는 1.07이었고, n-6 계열 PUFA에 대한 n-3 계열 PUFA의 조성비는 9.15로 꽁치는 n-3 계열 PUFA의 주요 공급원임을 보여 주었다. 조리를 한 후, 대표적인 n-3 계열 PUFA인 EPA와 DHA의 조성비 변화를 살펴보면 EPA는 pan frying한 후에는 6.98%, deep fat frying한 후에는 26.93%, steaming한 후에는 1.16%, microwave cooking한 후에는 15.12% 감소하였다. DHA역시 pan frying한 후에는 4.30%, deep fat frying한 후에는 15.99%, steaming한 후에는 3.26%, microwave cooking한 후에는 9.56% 감소하였다. 본 실험 결과 steaming 조리한 경우에서 EPA와 DHA 모두 가장 적은 감소율을 나타내었고, pan frying, microwave cooking, deep fat frying 순으로 감소율이 커졌다.

  • PDF

사료의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생화학적 변화 III. 절식시 체조성의 변화 (Effects of Dietary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on Growth and Biochemical Changes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II. Changes of Body Compositions with Starvation)

  • 이상민;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9-211
    • /
    • 1993
  • 조피볼락을 절식시켰을 때 사료의 n-3HUFA 함량에 따른 체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n-3HUFA 함량이 다를 6종의 사료 $(n-3HUFA\; 0\~1.5\%)$로 10주간 사육한 조피볼락을 9주간 절식시킨 결과, 9주 절식 후의 체중감소율은 $14.0\~l7.1\%$ 범위로서 n-3HUFA 함량이 높은 사료를 섭취한 실험구일수록 체중감소가 적었다. 절식기간 중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수분함량이 증가하고 지질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n-3HUFA 함량이 낮은 사료구$(n-3HUFA\;0\~0.3%)$에서 지질함량의 상대변화비율이 높았다 단백질함량은 n-3HUFA 첨가 사료구에서 모두 절식 5주째 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일정한 값을 유지한 반면, n-3HUFA 무첨가 사료구는 5주 이후에도 계속 감소하여 n-3HUFA 함량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어체의 극성지질은 절식기간 중 각실험구 모두 대체로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으나, 비극성지질이 감소한 결과, 절식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극성지질/비극성지질 비가 증가하여 비극성지질이 절식시의 주 에너지 원으로 사용되었다. 절식후 전어체 극성지질의 DHA 함량은 절식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비극성지질의 지방산조성에는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 PDF

Association between serum fatty acid composition and innate immune markers in healthy adults

  • Cho, Eunyu;Park, Yongs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2호
    • /
    • pp.182-187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Supplementation with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has been shown to generally decrease levels of innate immune markers and inflammatory cytokines, but the 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blood levels of PUFAs and those of innate immune markers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u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innate immune markers as well as cytokine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n-3 PUFAs but positively associated with n-6 PUFAs in healthy adults. MATERIALS/METHODS: One hundred sixty-five healthy Korean adults aged 25-70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RESULTS: Serum levels of n-3 PUFAs, such as 18:3n3, 20:5n3, 22:5n3, and 22:6n3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osinophil and basophil counts and $TNF-{\alpha}$, $IFN-{\gamma}$, IL-4, and IL-10 levels. Multivariate analysis also showed that serum levels of n-3 PUFA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monocyte, eosinophil, and basophil counts and $TNF-{\alpha}$, $IFN-{\gamma}$, IL-4, and IL-12 levels. Additionally, the ratio of 20:4n6 to 20:5n3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osinophil counts and associated with $TNF-{\alpha}$, $IFN-{\gamma}$, and IL-4 levels. However, NK cell activity was not associated with serum fatty acid composition. CONCLUSIONS: Innate immune markers such as eosinophil, monocyte, and basophil count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serum levels of n-3 PUFAs, bu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20:4n6/20:5n3 ratio in this population.

김해평야 관개수 오염도가 벼 영양생리에 미치는 영향;질소양분 공급과 수량을 중심으로 (Effect of Irrigation Water Pollution on the Nutrition Physiology of Rice Plant in the Kimhae Plain;Especially on the Nitrogen Supply and Yield)

  • 하호성;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102
    • /
    • 1989
  • 김해평야의 6개 관개 수계별 및 시기별로 농업용수오염 및 벼의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하고, 관개수에 의한 질소 공급량을 산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지점의 농업용수의 시기별 평균치는 pH 6.5-7.0, DO 0.6-7.7ppm, BOD4.4-63.5ppm, COD 7.3-73.9ppm, $NH_4$-N 1.84-16.22ppm, $NO_3$-N 1.22-15.4ppm, $PO_4$-P0.07-1.35ppm으로서 양수장 수계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농업 용수중 중금속 함량은 지역별 및 시기별로 별 차이가 없었다. 2) 지점별로 오염도가 높은곳은 식만, 봉림 및 녹산이었으며, 오염도가 낮은 곳은 대저, 명지 및 장유 양수장 부근이었다. 3) 년간 관개수에 의한 질소공급량은 대저 6.82Kg/10a, 식만 5.98Kg/10a, 봉림 6.64Kg/10a, 명지 2.31Kg/10a, 녹산 6.22Kg/10a, 그리고 장유가 2.54Kg/10a로서 각 양수장 수계별로 관개수에 의한 질소공급량이 큰 차이가 있었다. 4) 관개수중 암모니아태 질소와 수도잎중 질소함량 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수도잎중 전 질소 함량은 전반적으로 식만, 봉림 및 녹산 부근이 타 지역에 비해 약간 증가 하는 경향이었다. 5) 각 지역별 수도의 수량은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 PDF

한국산 은어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2 중성지질 및 인지질의 성분 비교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in Sweetfish from Korea-2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neutral and phospholipid components)

  • 문수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1-249
    • /
    • 1993
  • 전보(문, 1993)에 이어 은어의 중성 및 인지질의 class별 조성과 각각의 구성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은어의 전 부위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서 $94.8{\sim}99.5\%$를 차지하였으며, 다른 부위에 비하여 내장부위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고, 머리부위가 가장 낮았다. 2. 은어의 인지질은 전 부위에서 phosphatidylcholine 및 phosphatidyl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으며, 이들 성분은 머리와 근육부위에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내장에 cardiolipin, phosphatidylethanolamine, lyso-phosphatidylcholine이 주성분이었다. 3.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16:0, 88:1n-9, 16:1n-7, 18:2n-6, 18:0 및 14:0이었고, 크기와 부위에 따른 차이는 미미했다. 이들 중 16:1n-7 및 14:0의 조성비는 인지질에 비해 특히 높은 반면, polyene산의 조성비는 낮았다. 4. 인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16:0, 18:1n-9, 22:6n-3, 18:0 및 18:2n-6 등이었다. 이들 중 22:6n-3 조성비는 머리 및 근육에서 특히 높아, 중성지질의 경우에 비해 6배 정도 높은 함량이었다. 은어의 크기에 따른 중성 및 인지질의 구성지방산 조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 PDF

Dietary intake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Korean toddlers 12-24 months of age with comparison to the dietary recommendations

  • Kim, Youjin;Kim, Hyesook;Kwon, O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4호
    • /
    • pp.344-351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Adequate dietary fatty acid intake is important for toddlers between 12-24 months of age, as this is a period of dietary transition in conjunction with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however, actual fatty acid intake during this period seldom has been explo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take status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by toddlers during the 12-24-month period using 2010-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SUBJECTS/METHODS: Twenty-four-hour dietary recall data of 12-24-month-old toddlers (n = 544) was used to estimate the intakes of ${\alpha}$-linolenic acid (ALA; 18:3n-3), eicosapentaenoic acid (EPA; 20:5n-3), docosahexaenoic acid (DHA; 22:6n-3), linoleic acid (LA; 18:2n-6), and arachidonic acid (AA; 20:4n-6), as well as the major dietary sources of each.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cted intake for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in the first 6 months of life and available dietary recommendations. RESULTS: Mean daily intakes of ALA, EPA, DHA, LA, and AA were 529.9, 22.4, 37.0, 3907.6, and 20.0 mg/day, respectively. Dietary intakes of these fatty acids fell below the expected intake for 0-5-month-old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In particular, DHA and AA intakes were 4 to 5 times lower. The dietary assessment indicated that the mean intake of essential fatty acids ALA and LA was below the European and the FAO/WHO dietary recommendations, particularly for DHA, which was approximately 30% and 14-16% lower, respectively. The key sources of the essential fatty acids, DHA, and AA were soy (28.2%), fish (97.3%), and animals (53.7%), respectively. CONCLUSIONS: Considering the prevailing view of DHA and AA requirements on early brain development, there remains considerable room for improvement in their intakes in the diets of Korean toddler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explore how increasing dietary intakes of DHA and AA could benefit brain development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제주도에서 흑로 Egretta sacra의 식이물과 취식 영역 (The Food Resources and Foraging Sites of Pacific Reef Herons(Egretta sacra) in Jeju Island, Korea)

  • 김완병;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64-568
    • /
    • 2009
  • 본 연구는 2005년 2월부터 8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애월읍 신엄리에서 흑로의 식이물과 취식 영역을 조사하였다. 수거한 식이물은 모두 5종 21개체였으며, 이중 검정망둑(Tridentoger obscurus)이 38.1%(n=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가막베도라치(Ennedpterygius etheostomus)가 19.0%(n=4), 멸치(Engraulis japonica)가 14.3%(n=3) 순이었다. 식이물의 크기는 평균 $58.29{\pm}5.17mm$(n=19)였으며, 검정망둑 $67.49{\pm}4.91mm$(n=8), 가막베도라치 $43.98{\pm}3.50mm$(n=4), 멸치 $22.77{\pm}1.17mm$(n=3), 반쯤 소화된 상태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와 볼락(Sebastes inermis)도 확인되었다. 먹이활동이 이루어지는 취식 영역은 번식지를 기점으로 동쪽으로는 7.4km 지점의 외도천 하류까지, 서쪽으로는 6.6km 지점의 애월읍 금성천까지로 나타났다.

해조류 6종의 생화학적 조성 및 영양적 가치 분석 (Analysis of Bio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Six Species of Seaweeds)

  • 김동균;박종범;이택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04-1009
    • /
    • 2013
  • 기능성식품 또는 첨가제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6 종 해조류의 생화학적 조성 및 영양학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갈조류(미역, 톳, 다시마), 홍조류(김, 꼬시래기) 및 녹조류(파래) 등 해조류의 생화학적 조성(수분, 회분, 단백질, 지질 및 식이섬유)과 지방산 함량이 분석되었다. 수분함량은 11.47-13.94%, 회분은 19.15-26.50%, 단백질은 5.08-15.44%, 지질은 2.75-4.43% 및 식이섬유는 36.84% to 52.98%로 나타났다. 주요지방산은 C14:0, C16:0, C18:0, C16:1, C18:1n-3, C18:2n-6, C18:3n-6, C20:4n-6 및 C20:5n-3이었다. 흥미롭게도 분석된 해조류에서 docosahexaenoic acid (C22:6n-3, DHA)는 검출되지 않았거나 미량 검출되었다. n-3 지방산 함량은 다른 PUFA에 비해 높았으며, n-6/n-3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가 인간 건강에 유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