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16 L stainless stee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Fe-16Cr-6Ni-6Mn-1.7Mo 스테인리스 합금의 700~900℃에서의 대기중 산화 (Atmospheric Oxidation of Fe-16Cr-6Ni-6Mn-1.7Mo Stainless Steel between 700 and 900℃)

  • 이동복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3-160
    • /
    • 2011
  • The AISI 216L stainless steel with a composition of Fe-16Cr-6Ni-6Mn-1.7Mo (wt.%) was oxidized at $700{\sim}900^{\circ}C$ in air for 100 h. At $700^{\circ}C$, a thin $Mn_{1.5}Cr_{1.5}O_4$ oxide layer with a thickness of $0.4{\mu}m$ formed. At $800^{\circ}C$, an outer thin $Fe_2O_3$ oxide layer and a thick inner $FeCr_2O_4$ oxide layer with a total thickness of $30{\mu}m$ formed. The non-adherent scale formed at $800^{\circ}C$ was susceptible to cracking. At $900^{\circ}C$, an outer thin $Fe_2O_3$ oxide layer and a thick inner $Mn_{1.5}Cr_{1.5}O_4$ oxide layer formed, whose total thickness was $10{\sim}15{\mu}m$. The scales formed at $900^{\circ}C$ were non-adherent and susceptible to cracking. 216 L stainless steel oxidized faster than 316 L stainless steel, owing to the increment of the Mn content and the decrement of Ni content.

중심압축하중을 받는 스테인리스 강관 기둥의 좌굴내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ckling Strength of Centrally Compressed Stainless Steel Tubular Columns)

  • 장호주;양영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통권75호
    • /
    • pp.207-216
    • /
    • 2005
  • 본 논문은 스테인리스 각형강관 및 원형강관에 대한 좌굴내력에 관한 연구로서 건축구조용 강재로서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세장비를 주요 변수로 한 소재의 인장강도실험과 stub-column의 압축강도실험, 기둥의 중심압축실험을 실시하여 강재의 기계적 성질과 기둥의 강도 및 거동을 파악한다. 또한 이론해석과 각국 기준식(AIK-LSD, AISC-LRFD, AIJ-LSD, SIJ-ASD) 및 복수강도곡선의 적용을 통한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함으로서 건축구조용 강재로서 적용성 검토와 구조설계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염화제이철 수용액에 의한 스테인레스 강판의 식각에 관한 연구 (Wet Etching of Stainless Steel Foil by Aqueous Ferric Chloride Solution)

  • 이형민;박무룡;박광호;박진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211-216
    • /
    • 2012
  • 염화제이철 수용액에 의한 스테인레스 강판의 식각반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각액 교반속도, 식각온도, $Fe^{3+}$ 이온 농도, 식각액의 유리산도 및 비중 등 여러 공정변수가 식각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 AK(aluminum-killed) 철, 크롬(chlomium) 강, 그리고 스테인레스 강(STS430J1L 합금)의 식각반응이 1차 반응식을 잘 따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각액의 피로도(fatigue ratio)가 16% 이하로 유지되면 식각액 내에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식각된 강판의 표면거칠기 또한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범위 내에서는, 식각액의 보메(Baume)가 증가하면 식각속도는 감소하나 유리산도가 식각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공정모델링을 통해 유도된 식각속도식의 계산결과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고온용융염 부식거동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Behavior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Hot Molten Salt)

  • 조수행;박상철;정명수;장준선;신영준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1-216
    • /
    • 1999
  • LiCl 및 $LiCl/Li_2O$ 용융염분위기에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SUS 316L과 SUS 304L의 부식특성을 650­~$850^{\circ}C$ 온도범위에서 조사하였다. SUS 316L과 304L의 부식층은 외부 $Li(CrFe)O_2와 내부 Cr_2O_3$의 2층 구조를 형성하였다. LiCl 용융염중에서는 균일한 부식충이 형성되지만, $LiCl/Li_2O$ 혼합용융염중에서는 균일한 부식충 형성외에 업계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50^{\circ}C$까지 온도 증가에 따른 부식속도의 증가속도는 느리고, $750^{\circ}C$ 이상에서는 부식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용융염분위기에서 SUS 316L은 SUS 304L에 비하여 부식속도가 느려셔 보다 좋은 내식성을 나타내였다.

  • PDF

니켈 전주층의 인장 물성(1) (Tensile Properties of Nickel Electroform(l))

  • 김인곤;이재근;강경봉;권식철;김만;이주열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27
    • /
    • 2005
  • Tensile properties and hardness of nickel electroform from chloride-free nickel sulfamate electrolyte at 50℃ and PH 4.5 were investigated. Current density varied from 20 to 60 mA/㎠. The deposit thicknesses were 360, 480 and 980 ㎛. It was found in 480 ㎛ thick electroform that highest tensile and yield strengths and hardness of 83.7 ksi, 53.6 ksi and 216 DPH, respectively were obtained at a current density of 40 mA/㎠ and they were slightly decreased at 20 and 60 mA/㎠. However the ductility was lowest of 7.9% at 40 mA/㎠. Such a high strength and low ductility at 40 mA/㎠ seems to be related to the narrower columnar structure than those of other current densities. All the deposits exhibited pronounced necking behavior. Tensile strength, yield strength and ductility increased as the nickel electroform thickens. Initial strong (200) texture developed on stainless steel mandrel decreased and (111) and (220) textures increased as deposit thickness increased, whereas (200) texture was preferred as the current density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