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5% sucrose

검색결과 1,742건 처리시간 0.036초

장김치의 제조 및 발효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Sauce-Kimchi)

  • 김은정;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7-524
    • /
    • 2008
  • This study made Soy-Sauce-Kimchi and investigated its pH, acidity, microorganism, salinity, chromaticity, viscosity and taste to revive traditional Soy-Sauce-Kimchi using Soy-Sauce instead of salt and to report it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s one of studies on traditional Kimchi, it tried for practical use of traditional Soy-Sauce-Kimchi which had been eaten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especially in Seoul but currently has been prepared by only a few people and has disappear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mong three groups of Soy-Sauce-Kimchi-I(s1), Soy- Sauce-Kimchi-II(s2) added by 2.5% sucrose and the control group(C), acidity of s2 was sharply increased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t $20^{\circ}C$ and $10^{\circ}C$ respectively and there was few difference in salinity by temperature. In the case of s2 group, addition of 2.5% sucrose was considered to lead to increase of salinity. For chromaticity, while the L value and b value became larger after 48 hours, the a value tended to decline. Viscosity of s2 grew after 24 hours at all of $20^{\circ}C$, $10^{\circ}C$ and $1^{\circ}C$ and that was thought to be because propagation of bacteria such as Leuconostoc mesenteriodes following addition of 2.5% sucrose secreted dextransucrose so sucrose was transferred into dextran to increase viscosity. The total number of microorganisms was recorded to be largest after 48, 36 and 72 hours at $20^{\circ}C$, $10^{\circ}C$ and $1^{\circ}C$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the largest at $1^{\circ}C$ after 72 hours compared to those at other temperatures. That was considered to be because microorganisms such as Leuconostoc mesenteriodes are psychrotropic lactic acid bacteria. For sensory evaluation, all appearance, chromaticity and odor of C were higher by $3{\sim}4$ points than those of s1 and s2(p < 0.001) and their feel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p < 0.05). Consider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more researches were needed to overcome difference of taste for Soy-Sauce-Kimchi according to age due to characteristic flavor and smell of soy-source.

유산 완충용액의 pH 및 포화도 변화에 따른 법랑질 내 수산화인회석 결정 형태의 변화 (THE CHANGE OF THE CONFIGURATION OF HYDROXYAPATITE CRYSTALS IN ENAMEL BY CHANGES OF PH AND DEGREE OF SATURATION OF LACTIC ACID BUFFER SOLUTION)

  • 전영의;정일영;노병덕;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6호
    • /
    • pp.498-513
    • /
    • 2007
  • 법랑질 초기 우식이 회복된다는 것이 보고된 이래 법랑질에 대하여 불소를 첨가한 상태에서 행했던 이전의 연구들은 법랑질 인공우식의 재광화가 표면층의 증가와 함께 병소본체의 폭 감소가 일어난다는 정량적인 평가는 많이 하였으나 불소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재광화가 일어났다는 연구는 부족하였고, 또 수산화인회석 결정의 입자 변화에 대한 관찰도 미비하였다. 본 연구는 탈회나 균열이 없는 소구치 및 대구치를 대상으로 탈회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을 2일간 탈회시키고, pH와 포화도가 상이 한 7가지 유산 완충용액으로 10일 동안 재광화를 유도한 후 치아를 파절시켜 수산회인회석 결정의 변화를 원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정성적으로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회된 부위에서 관찰된 수산화인회석 결정은 정상적인 수산화인회석 결정보다 크기가 작았으며 결정 사이의 공간이 증가하면서 결정들이 불규칙하게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2. 재광화된 부위에서는 탈회에 의하여 형성된 빈 공간에 작은 수산화인회석 결정이 새로 침착되는 양상과 결정들이 융합하여 다양한 모습을 갖는 더 커진 결정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동일한 pH에서 포화도가 더 높은 3군, 4군은 1군, 2군에 비하여 표면층에서부터 병소본체까지 작은 결정들이 모여 큰 cluster를 형성하였으며 특히 4군에서는 병소본체까지 완전한 재광화가 일어났다. 비슷한 포화도에서는 pH가 더 낮은 5군, 6군은 7군에 비하여 병소본체까지 재광화가 일어났으며 3군, 4군처럼 결정들이 모여 cluster를 형성하기보다는 개개의 입자들이 뚜렷한 외형을 가지며 매우 치밀하게 분포되어 있었다.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섬모들로 대치되며, 그 후 섬모를 포함한 상부세포막이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마지막으로 전형적인 후각소포로 발달한다. 나타내었다. 스폰지 케이크의 관능평가 결과 촉촉함이나 전체적인 기호도를 중심으로 평가할 때 증숙 마늘 분말 4%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모든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증숙 마늘 분말 첨가시 케이크의 품질 및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첨가 가능한 범위는 8% 이내로 판단되며, 4% 첨가시 가장 우수한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할 것으로 보인다.. Sucrose, CCC 및 일장차이에 따른 AGPase 활성의 변화에 있어서 암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도 각각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8시간 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6시간 처리 sucrose 농도 3%보다는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에서는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ucrose의 농도가 높고, CCC와 암처리의 괴경형성의 촉진조건에서 AGPase의 활성이 양호함을 볼 때, AGPase가 starch 합성에 중요한 물질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평균 1.4/2.0점(70%)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적정 검사시설 및 기구 구비' 항목은 공산품에서 평균 0.2점으로 평가되어 타품목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p<0.01), 평가한 93개 항목 중 가장 불량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음을

기내배양에 의한 쪽파의 체세포 염색체 배가 (Chromosome Doubling of Allium wakegi Araki by In Vitro Cultures)

  • 임순희;안장순;정창남;한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59-264
    • /
    • 2002
  • 쪽파의 배발생 캘러스 유도에는 2,4-D의 단독첨가가 보다 효과적이었으나, 2,4-D의 농도가 높을수록 기형배의 배발생율이 높았다. BA를 혼합첨가하였을 때는 기형배가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배형성을 위한 외식편으로는 경정이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 인편, 엽조직 순이었다. 또한 0.09 M의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발생 callus 유기가 가장 좋았다. 2,4-D와 BA의 농도가 상이한 배지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율은 8∼33.3%였으며, 4배체와 2배체+4배체의 혼수체가 나타났다. 염색체 변이율은 인편 유래의 식물체에서 18.7%로 가장 높았다. 경정 부위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는 33.5%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지만, 염색체 변이율은 7.0% 정도로 낮았다. 또한 0.26 M sucrose배지에서 배양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이 높았으며. 0.09∼0.20 M sucrose배지에서 분화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은 15.2∼16.6%로 거의 안정적이었다.

당류계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O/W 에멀젼의 구조 (Structures of OH Emulsion Prepared with Saccharide Surfactants)

  • 홍세흠;한창규;조춘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61-274
    • /
    • 2000
  • 당류계 계면활성제인 sucrose distearate(S110), sucrose monostearate(S160), POE(20) ethyl glucose stearate(SSE20)과 오일성분인 알칸 계열의 탄화수소 hexane( $C_{6}$), decane( $C_{10}$), tetradecane( $C_{l4}$), octadecane( $C_{8}$)과 squalane (SQ) , liquid paraffin(LP) , octylpalminate(OP) , octylstearate(OS), alkylbenzoate(AB), isostearylbenzoate(ISB)를 사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에멀젼 입자의 구조 형태는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fractal 차원으로 나타내었다. 에멀젼 입자의 fractal 차원은 오일의 농도 및 탄소수와 오일의 비극성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나타났다. fractal 차원은 대부분 1.7~2.8으로 입자의 구조 형태는 fractal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S110계와 S160계의 Cla 50, LP의 fractal 차원은 3.0~3.2으로 내부 구조가 비교적 조밀한 회합체 구조를 형성하였다. S160계와 S110계의 fractal 차원은 2.I~2.6으로 서로 비슷한 fractal 구조를 형성하며, SSE20의 fractal 차원는 1.5~2.1으로 S160계 및 S110계 보다 덜 조밀한 회합체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의 구조 형태는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으며 계면활성제의 친수부가 동일하면 비슷한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S160의 친수부 구조인 sucrose보다 SSE20의 polyoxyethylene group에 의한 장애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 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혼합배양에 의한 젖산발효 조건

  • 유주현;오두환;공인수;박영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9.1-519
    • /
    • 1986
  • Lactobc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두유에서 혼합 배양시켜 최적 젖산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대두유에서의 혼합배양시 20시간 이상 배양했을 때 산생성이 촉진되었고 배양온도는 34$^{\circ}C$ 부근으로 했을 때 가장 좋았다. 대두유에 sucrose와 skim milk가 젖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sucrose 는 1.5% 첨가시 skim milk는 2.0% 첨가시 첨가하지 않고 배양할 때 보다 2배 정도의 산생성을 보였다.

  • PDF

난백겔의 열안정성에 관한 연구 II. 난백의 농도와 당류의 첨가가 난백겔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eat Stability of Egg Albumen Gel II . Effects of Egg Albumen Concentration and Addition of Sugars on Heat Stability of Egg Albumen Gel)

  • 유익종;김창한;한석현;송계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6
    • /
    • 1990
  • 난백단백질의 농도와 당류의 첨가수준이 난백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열처리($120^{\circ}C$, 30분 또는 $90^{\circ}C$, 30분) 전후 난백겔의 조직감 및 색택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백단백질의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난백겔의 경도는 열처리 조건에 상관없이 급격히 덜어졌으며 명도와 황색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응집성은 단백질 농도가 $8.3^{\circ}C$ 이하로 희석됨에 따라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Sucrose 2.5%의 첨가로 난백겔의 경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 원가로 점차 저하하였으며 sucrose의 첨가로 응집성은 다소 저하하였다. Glucose의 첨가에 의해 고온처리 시 난백의 응집성은 다소 증진되었으나 명도가 감소하고 황색도는 저온처리의 경우에도 고온처리와 같이 높아졌다.

  • PDF

Streptomyces tubercidicus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Streptomyces Tubercidicus)

  • 유진철;홍순우;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4-369
    • /
    • 1986
  • Streptomyces tuberaidicus 의 원형질체 생성, 생성된 원형질체의 정상 균사체료의 환원 그리고 원형질체 융합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또한 균사체로부터 원형질체가 생성되는 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원형칠체는 슐샤의 끝부위 에서 뿐만 아니라 균샤 말단의 부풀어오른 부위 그리고 균사의 중간 부위에서도 생성이되는 세 종류의 원형질체 생성양을 보였다. 원형질체의 정상균사체로의 환원률은 tryptone-yeast extract-sodium acetate-$MgCl_2-CaCl_2$-sucrose로 조성된 배 지에서 대략 17%이었으며, 이때 $Ca^{++},\;Mg^{++}$ soccrose의 농도가 각각 50mM, 5mM, 0.4-0.SM일때 최척의 환원률을 보였다. S. tµberaidicµs의 histidine과 adenine을 요구하는 두 균주의 원형질서l간의 융합에서 30% 이상의 융합빈도플 얻

  • PDF

Multiple Shoots Regeneration and In vitro Bulblet Formation from Garlic Callus

  • Kim Soon-Seob;Guo De-Ping;Jung Do-Cheol;Kwon Soon-Ta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95-99
    • /
    • 2003
  • The leaf seg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ere cultured in vitro and determined optimal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sugars for callus induction, multiple shoots regeneration and in vitro bulblet formation. Highest yield of callus was observed in the leaf segment culture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2,4-D, 30 g/L sucrose and 8 g/L agar. Regeneration rate of multiple shoots from callus was high i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kinetin 3.0 + NAA 3.0 mg/L or SA 1.0 + NAA 3.0 mg/L, containing 30 g/L sucrose. High rate of bulblet formation was observed as the concentration of jasmonic acid increased from 0.5 to 2.0 mg/L in medium, whereas addition of gibberellic acid significantly suppressed bulblet formation. The rate of in vitro bulbing was as high as $96\%$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jasmonic acid and 120 g/l sucrose after two month culture at $25{\pm}1^{\circ}C$ under 16 hours day light.

Cryopreservation of in Vitro Grown Axillary Shoot-tip Meristems of Lycium chinense by Vitrification

  • Yang, Byeong-Hun;Song, Min-Jung;Ahn, In-Suk;Kim, Hyun-Tae;Park, Young-G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85-590
    • /
    • 2006
  • In vitro-grown axillary shot-tip meristems of Lycium chinense Mill. from cold-acclimated plant were successfully cryopreserved using a vitrification technique. After loading for 15 minutes with a mixture of 2.0 M glycerol and 0.4 M sucrose ($20^{\circ}C$), small segments (1-2 mm, 3-4 mm, and 5-6 mm) were cut from axilary buds and exposed to the cryoprotectant solution containing 30% glycerol, 15% ethylen glycol,15% dimethyl sulfoxide (DMSO), and 0.4 M sucrose at $0^{\circ}C$ for 30-120 minutes prior to direct plunge into liquid nitrogen (LN). After rapid thawing ($40^{\circ}C$), the segments were washed with MS medium containing 1.2 M sucrose for 0-35 minutes, and then transferred onto recovery-growth medium. The highest survival rate (about 90%) was obtained with cold-hardening treatment, and cryopreserved explants were successfully recovered to plantlets. No abnormal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with the recovered plants after cryopreservation.

Comparison of chrysanthemum cultivars based on direct shoot regeneration rates in tissue culture

  • Han, Bong-Hee;Lee, Su-Young;Park, Byoung-M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275-280
    • /
    • 2009
  • Direct shoot regeneration from leaf or internode or petiole segments was conducted in 33 cultivars of chrysanthemum. Shoot regeneration rates varied according to cultivars, culture media, and explant types. The high shoot regeneration rate of more than 70% in 15 cultivars (‘Pink Pangpang’, ‘Orange Memory’, ‘Relance’, ‘Zinba’, ‘Beakma’, ‘Innocence’, ‘Sunny Pangpang’, ‘Euro Yellow’, ‘Dublin’, ‘Boramae’, ‘Peak’, ‘Euro White’, ‘Vesuvio White’, ‘Linneker Salmon’ and ‘Pink Pride’) and 2 ones (‘Forward’ and ‘Agason’) was obtained from the segments of leaves and internodes, respectively,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1.0 mg-$L^{-1}$ BAP, 0.5 mg-$L^{-1}$ IAA and 30 g-$L^{-1}$ sucrose. That in 6 cultivars (‘Shuhonochikara’, ‘Hakunosen’, ‘Whitney Pangpang’, ‘Plaisir D’Amour’, ‘Grace’ and ‘Kumsu’) was observed from the segments of leaves or internodes cultured on 1/2 MS medium 1.0 mg-$L^{-1}$ BAP, 0.5 mg-$L^{-1}$ IAA and 15 g-$L^{-1}$ sucrose In case of 3 cultivars (‘Ilweol’, ‘Puma White’ and ‘Sharon’), when internode explants excised from mother plants, which were pre-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2 g-$L^{-1}$ activated charcoal and 30 g-$L^{-1}$ sucrose for two months in the dark, and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1.0 mg-$L^{-1}$ BAP, 0.5 mg-$L^{-1}$ IAA and 30 g-$L^{-1}$ sucrose, that was shown. Seven cultivars including ‘Puma Yellow’, ‘Argus’, ‘Yes Morning’, ‘Whiparam’, ‘Hakunohikari’, ‘Charming Eye’ and ‘Moon light’ requires more improved culture conditions. Tissues with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rate were in descending order, leaf, petiole, and internode seg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