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iol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1초

Aminopropyl Triethoxysilane과 아크릴 단량체를 이용한 Silylated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의 제조 (Preparation of Silylated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 Using Aminopropyl Triethoxysilane and Acrylate Monomers)

  • 김병석;윤동구;유병원;이명구;변태강;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39-645
    • /
    • 2012
  • Isophorone diisocyanate, polycarbonate diol, dimethylol propionic acid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prepolymer의 미반응 NCO 기를 실란커플링제인 aminopropyl trietoxysilane (APS)로 capping시켜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PUD)을 합성하였다. 그 후 이 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methyl methacrylate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중합시켜 silylated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을 제조하였다. 동적 빛 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silylated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의 평균 직경은 APS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39.0 nm에서 399.8 nm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코팅 도막의 연필경도는 APS의 첨가량이 증가되면서 B에서 F로 향상되었다.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Koidz) 수피의 염착물질 분석 (Analysis of Dyeing Components from Neolitsea sericea Koidz Bark)

  • 이상극;조현진;김윤근;이학주;강하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64-72
    • /
    • 2006
  •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Koidz) 추출물의 염색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피의 열수추출물에 대해 검토했다. 참식나무 수피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디에틸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fraction을 TLC 및 column chromatography 처리하여 2개의 물질을 단리하였다. 기기분석을 통하여 단리물질의 구조를 해석한 결과, 알칼로이드 계열의 4H-dibenzoquinoline-2,10-diol, 5,6,6a,7-tetrahydro-1,9-dimethoxy-6-methyl (화합물I)과 리그난 계열의 lyoniresinol (화합물II)로 동정되었다. 이들 물질이 염색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화합물(I)과 화합물(II)의 retention time이 참식나무 추출물 염색액 및 탈염액의 에틸아세테이트 fraction 중 주성분 피크의 retention time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화합물(I)과 화합물(II)가 참식나무 수피의 주요 염착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연구(生理化學的硏究) [제 5 보(第 5 報)] -색소(色素)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5) -Changes in pigments-)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49-156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따른 carotenoid 색소(色素)와 chlorophyll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 고찰(考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carotenoid 색소(色素)를 column chromatography로 6 fraction으로 분리(分離)한 다음 각(各) fraction을 다시 TLC에 의하여 54종(種)을 분리(分離)하고 그 가운데서 30종(種)을 동정(同定)하였다. 2. carotenoid색소(色素) 총량(總量)은 cli. stage에서 급증(急增)하였고 group별(別)로 보니 diol가 가장 함량(含量)이 높고 추숙(追熟)에 따른 함량증가율(含量增加率)이 가장 높았다. 3. carotenoid 색소(色素) 개별당(個別當) 함량(含量) 변화(變化)에서 주목(注目)되는 것은 phytoene이 post cli. stage.에서 감소(減少)하고 고추의 중요(重要)한 carotenoid 색소(色素)인 ${\beta}$-carotene, capsanthin, capsorubin, violaxanthin의 함량(含量)이 크게 증가(增加) 하였다. 4. chlorophyll은 a, b, total 함량(含量)이 다같이 추숙(追熟)에 따라 감소(減少)하고 post-cli. stage에서 소실(消失)하였다.

  • PDF

아크릴 단량체 종류 변화가 대전방지용 수분산 아크릴 폴리우레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s of Acrylic Monomers on Properties of Anti-static Waterborne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

  • 허우영;윤동구;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451-458
    • /
    • 2014
  • Isophrone diisocyanate (IPDI), polycarbonate diol (PCD)과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WPUD)을 합성하였다. 이 W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methyl methacrylate (M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와 butyl acrylate (BA)를 각각 첨가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분산 아크릴 폴리우레탄(waterborne acrylic polyurethane dispersion, AUD)을 합성하였다. 이 AUD와 물에 분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를 혼합하여 전도성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polycarbonate 시트 위에 도포하여 코팅 도막을 형성하고 물성을 살펴보았다. AUD로부터 제조된 코팅 도막의 연필경도,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은 WPUD 보다 향상되었으나, 전기 전도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아크릴 단량체의 종류 변화 실험에서는 코팅 도막의 연필경도는 HEMA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내마모성, 내약품성 및 전기 전도도는 MMA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3-MCPD Concentrations in Commercial Korean Soy Sauces Produced by Alkali Treatment Following Acidic Hydrolysis

  • Cho, Woo-Jin;Kim, Hun;Jeong, Eun-Jeong;Lee, Young-Mi;Park, Sung-Young;Kim, Hyounjin;Lee, Jung-Suck;Nam, Gi-Jin;Cha, Yong-J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51-453
    • /
    • 2002
  • Alkali treatment following acidic hydrolysis (ATAH) of defatted soybean is currently used to reduce the level of 3-chloropropane-1,2-diol (3-MCPD), a known carcinogen, in commercial Korean soy sauce. 3-MCPD concentrations in commercial soy sauces made by ATAH were compared with those made only by acidic hydrolysis, and products that combine soy sauce made by acid hydrolysis (followed by alkalinization) and enzymatic methods. The four soy sauces made by ATAH had lower 3-MCPD concentrations (below 0.078 ppm) than 4 commercial products (0.147∼0.481 ppm) made only by acidic hydrolysis. On the other hand, 3-MCPD concentrations in 4 commercial products made by combining soy sauces made enzymatically with that made from acid (with alkali treatment)-hydrolyzed soybean protein in varying ratios were in a range of 0.016∼0.053 ppm. The 3-MCPD concentrations in commercial Korean soy sauces, with the exception of 2 of the soy sauces made only by acidic hydrolysis, were lower than allowable limit of 0.3 ppm in Korea.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urrently produced commercial soy sauces on the Korean market hate toxicologically save 3-MCPD concentrations. It is also provides evidence that ATAH is an effective process for reducing 3-MCPD concentrations in commercial soy sauce.

HPFA를 이용한 HSA와 [S]-Perillyl Acohol의 단백질 결합력 (Protein Binding of [S]-Perillyl Alcohol in HSA using High-Performance Frontal Analysis)

  • 송명석;왕덕선;구윤모;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00-106
    • /
    • 2003
  • 의학, 약학적으로 작용이 뛰어난 약리성분이 인체 내에서 상처 부위에 얼마나 빨리 도달하여 치료를 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혈장 단백질과 약리성분의 결합력을 연구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가 HPFA이다. 본 연구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혈장단백질과 항암제로서 알려져 있는 (S)-perillyl alcohol의 결합력과 결합 매개변수를 구하기 위하여 on-line frontal analysis HPLC system을 적용하였다. Develosil 100 Diol 5 (10 cm $\times$ 4.6 mm I.D.)의 HPFA 컬럼을 이용하였고, 이동상은 인산완충용액(pH = 7.4, I = 0.17)을 이용하였다. UV wavelength 205 nm에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주입 부피는 본 실험 조건인 혈장 단백질이 350 rM일 경우에 최대의 혈장 단백질과 결합되지 않은 약리성분의 농도를 갖게 되는 600 ${\mu}\ell$으로 정하였다. Scatchard analysis를 통한 연구 결과로 혈장 단백질인 HSA와 (S)-perillyl alcohol의 결합 매개변수(K)와 단위 HSA에 대한 S-POH의 결합 위치의 수(n)는 각각 K : 2.05 $\times$ $10^{6}$ [M$^{-1}$], n : 0.00428로 실험적으로 구하였다

불소화된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표면특성 (Synthesis and Surface Properties of Fluorinated Polyurethanes)

  • 김형중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33-40
    • /
    • 2001
  • 불소화된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MDI) 혹은 toluene 2,4-diisocyanate(TDI) 같은 diisocyanate와 perfluorinated polyether(Fomblin $ZDOL^{\circledR}$)로부터 2단계 용액 중합법에 의해 합성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의 soft segment 부분 중 10~50%를 Fomblin ZDOL 성분이 되도록 polypropylene glycol(PPG) 혹은 polytetramethylene glycol(PTMG)과 같은 polyether polyol을 반응도중에 혼합하여 반응을 완성하였다. 사슬연장제로는 ethylene diamine 혹은 1,4-butanediol을 사용하였다. 합성 중합체의 확인과 평균분자량 등 특성조사에 FT-IR, $1^H$-NMR,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였고 표면특성은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와 접촉각으로 조사하였다. 표면분석결과 불소기는 합성된 탄성체 필름의 내면보다 표면에 더 많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우레탄수지에서 캐비테이션 저항을 높이기 위한 Polyol의 영향 (Effect of polyol on urethane to increase the cavitation resistance)

  • 이익수;김낙주;박대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8-63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에 의한 부식에 강한 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탄성의 우레탄 수지에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Polypropylene glycol(PPG), Polycarbonate diol(PCD), Polycaprolactone polyol(PCL-1), Polycaprolactone-tetramethylene glycolether(PCL-2) 등 4가지 종류의 Polyol을 첨가하여 제조한 도료의 물성과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도료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 Polyol 중에서는 PCD을 첨가한 경우 경도와 내마모성이 높아 캐비테이션 저항성이 높을 수 있는 물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점도를 가지고 있어서 도료화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점도가 낮은 도료를 위하여 PCL-1을 적절한 첨가제로 선정하였다. PCL-1이 첨가된 도료의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EM을 이용하여 표면 분석을 통한 기공의 침식현상을 관찰하였다.

무기흡착제가 적용된 친환경 수성 코팅제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Waterborne Coating Agent Applied to Inorganic Adsorbent)

  • 신종섭;이정희;곽은미;윤종국;김현범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622-627
    • /
    • 2012
  • 친환경 수성 코팅제의 물성 강화 및 VOCs의 저감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poly(tetramethylene glycol) 2000, polycarbonate diol 2000, isophorone diisocyanate, dimethylolpropionic acid, 그리고 titanium dioxide를 사용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분산 폴리우레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R ratio([NCO]/[OH])에 따른 코팅제의 필름 물성 및 무기물의 적용으로 인한 VOCs의 저감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R ratio가 1.5 이상인 경우에서 코팅제로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하드 세그먼트의 영향으로 여겨지며 $TiO_2$의 적용으로 코팅 후 VOCs의 저감 특성을 확인하였다.

생쥐 대식세포의 K562 종양세포치사 활성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의 영향 (Effects of a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urine Macrophage Against K562 Cells)

  • 김웅;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24-29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대식세포에 의한 K562 종양세포의 치사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PS만을 처리하여 주어 종양세포의 치사 활성을 유도한 대식세포보다도 LPS 와 saponin을 복합처리하여준 대식세포가 K562 종양세포에 대하여 더 높은 종양 치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 분획물 즉, total, diol, triol saponin 모두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대식세포없이 배양엑에 인삼 saponin 만을 처리하여 주었을 경우, 인삼 saponin 이 K562 종양세포에 대한 치사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3. 이러한 결과로 인삼 saponin이 대식세포를 통하여 K562 세포 치사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