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20-1930s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7초

권구현과 한용운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 - 1920-1930년대 시조부흥운동의 재인식 - (A study on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n Kwon Goohyeon's and Han Yongwoon's Sijo)

  • 여지선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3집
    • /
    • pp.213-239
    • /
    • 2005
  • 시조는 우리 민족의 사랑을 꾸준히 받아온 장르이다. 특히 1920년대-1930년대에는 최남선, 주요한, 이병기, 이은상 등의 국민문학파에 의해 시조부흥운동이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카프문인 권구현과 비문단인(非文壇人) 한용운 등도 시조에 지극한 관심을 드러내었다. 카프 동인이자 아나키스트였던 권구현은 ${\ulcorner}$흑방의 선물$\rfloor$(1927)을 발간하였는데, 이 시조집은 최남선의 ${\ulcorner}$백팔번뇌$\rfloor$(1926)와 함께 20년대에 발간된 단 2권의 개인 시조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최남선을 비롯한 국민문학파의 시조부흥운동만 주목되고, 권구현의 시조집은 조명 받지 못했다. 이는 해방 이후 한국문단이 반공이데올로기 아래에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나, 도리어 그가 카프동인이자 아나키스트였다는 사실은 '프롤레타리아 시조'(조운, 1927), '시조형의 프로시'(박영희, 1959)를 개척한 성과를 남았다. 비문단인 한용운은 ${\ulcorner}$님의 침묵$\rfloor$(1926) 시인으로 주목되어 시조시인으로는 부각되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시조는 독립운동가 한용운, 승려 한용운 등 그의 총체적인 모습을 담아내기에 충분하였다. 한용운의 시조에 대한 애정은 첫 발표작인 <무궁화를 심고저-옥중시(獄中詩)>(1922)가 ${\ulcorner}$님의 침묵$\rfloor$보다 4년이나 앞선 것과 자유시 창작이 부진했던 1930년대에 시조창작을 지속한 데에서 알 수 있다. 이 같은 한용운의 시조는 '전통장르 시조'가 유학자 및 유학의 세계관을 넘어서 승려 및 불교 세계를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 있다. 본고는 권구현과 한용운의 시조 연구를 통해서 1920년대-1930년대 시조의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통장르 시조는 1920년대-1930년대에 국민문학파 뿐만 아니라 카프문인 권구현과 비문단인 승려 한용운 등 문단의 전반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로써 본고는 당시 시조창작이 카프의 안티세력에 의한 부분적인 운동이 아니라 1920년대-1930년대의 시대정신에 의거한 카프문인, 승려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한 전반적인 운동이었음을 밝혔다.

  • PDF

신문기사를 통해 본 이혼 양상에 대한 내용분석(I) - 1920∼1930년대 조선ㆍ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The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Divorce -Focusing on Choseun ilbo and Donga ilbo in the 1920′s and 1930′s -)

  • 이강이;최혜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47-60
    • /
    • 2004
  • In this study, the major tendencies of divorce as represented in articles of Korea's daily newspapers in the 1920's and 1930's were explored.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content analysis, and 432 articles related to divorce were selected for analysis from Choseun and Donga ilbo. The main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attitude toward divorce(negative, acceptive, neutral), present condition of divorce(statistics, suvey, analysis), cause of divorce(marital conflict, conflict with family, health-related troubles, financial troubles, and the others), and information offered about divorce(related-laws, prevention & adaptation, and the oth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ly found category was the cause of divorce(given in 47.5% of the total articles), and especially noticeable was an increase of marital conflict. 2) In the case of attitude toward divorce(12.5%), percentiles of negative, acceptive, and neutral attitudes appeared nearly similarly, which is a representation of the transitional tendency of those times. 3) In the 1930's, information offering articles(25.2%) increas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compared with the 1920's.

한국 근대 문화 소비 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 태도 특성: 1920년대~1930년대를 중심으로 (The Values, Consumption Culture, and Clothing Attitudes of a Modern New Generation as the Primary Consumer of Modern Korean Culture: From the 1920's to the 1930's)

  • 박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99-1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new women, modern girls and modern boys from the 1920's to the 1930's as a modern new generation, the primary consumer of modern consumption culture, and to examine their values, lifestyles, consumption culture and clothing attitude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agazines and newspapers published from 1920's to 1930's and previous literatures, and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modern new generation meant the new women, modern girls, and modern boys seeking for the western looks and cultural tastes. The values of a new generation people were individualism, materialism, and modernism which was the same as Americanism. They enjoyed western lifestyles and sports and consumed new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Their clothing attitudes were fashion orientation, conformity, symbolism, conspicuous consumption, aesthetic value,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일제강점기 중 1920-193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 분석 (An Analysis of Ginseng Advertisements in 1920-1930s Newspaper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오훈일
    • 인삼문화
    • /
    • 제4권
    • /
    • pp.103-127
    • /
    • 2022
  • 20세기 초반 근대 문물이 유입되면서 우리나라 인삼 산업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인삼 재배법과 상업의 발전으로 인삼의 생산과 소비가 늘어났고 근대적 제제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인삼 제품이 개발되었다. 자연히 이들 제품의 판매 경쟁도 치열해졌다. 당시 신문 광고에는 이러한 제품의 개발 동향과 판매 경쟁이 상세히 나타난다. 1920년 이전까지는 신문에 나타나는 인삼에 관한 광고는 매우 적었다. 아직 신문이 일반화되지 못했고 인삼 산업도 그만큼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920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창간되면서 인삼 광고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2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는 인삼의 전통 한방적 효능과 신비함을 강조하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인삼과 녹용을 복합 처방한 제품의 광고가 많은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제품이 큰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품을 복용한 사람들의 체험담도 이때 광고에 등장한다. 또한 당시 이미 통신판매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1925년에는 인삼제품을 매일 배달한다는 광고도 등장한다. 당시 뿌리삼은 그 크기와 품질에 따라 현재보다 훨씬 정교하게 분류되어 있었음이 광고에 여실히 드러난다. 1920년대 인삼 제품은 액제, 환제, 농축액 등 전통 한방 제형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30년대 인삼 광고는 더욱 활발해진다. 이 시기에는 대학의 교수, 의학박사, 약학박사 등의 직함을 가진 전문가가 광고에 등장한다. 이들이 인삼을 추천한다거나, 성분이나 약효를 설명하거나, 심지어 이들의 실험 노트까지 광고에 등장하여 과학적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인삼 제품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홍보가 강화된다. 1931년에는 현대적인 정제의 광고가 등장한다. 이후 비타민이나 다른 특정 성분을 강화한 인삼 제품이 등장하고, 병약자를 위한 인삼 미음도 등장한다. 1938년에는 최승희와 같은 무용수나 유명 영화배우를 모델로 사용하는 광고도 등장하게 되면서 인삼광고는 더욱 현대화되고 대중화 된다. 1920~1930년대 인삼광고는 당시 급변하는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I)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동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The Content Analysis of Childrearing Articles in the Korea Central Daily Newspapers: Focusing on Donga ilbo and Choseun ilbo from 1920's to 1930's)

  • 신양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9-26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as about childrearing represented in the Korean central daily newspapers.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is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data are Donga ilbo and Choseun ilbo from 1920's to 1930's.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childrearing articles were concerned on enlightening childrearing practices during the beginning towentieth century of Korea. They claimed to replace traditional childrearing by western practices in the pregnancy-delivery, nurturing, teaching, disciplining and interfacing between home and institutional education of school. Also, they put great emphasis on changing from an adult-centered manner to a child-centered manner in the childrearing. In conclusion, these articles played an important part as the enlightening instrument trying to bring about intenal reforms in opposition to Japanese imperialism.

  • PDF

1920~1930년대 백분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최상의 가치 -전통미와 근대미의 과도기적 대립을 중심으로- (Highest Value Shown in Baekbun (白粉, Face Powder) Advertisement Texts from the 1920s to the 1930s -Focus on a Transitional Confrontation between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 백주현;채금석;김소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44-559
    • /
    • 2018
  • Korea's traditional aesthetic criterion changed with a new makeup culture that followed the social change caused by modernization. Such transitional features are well seen in the cosmetic advertisements of the 1920's and 1930'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criteria changes of makeup culture at this period, this thesis analyzes cosmetic advertisements carried in newspaper media of the 1920's and 1930's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is study found that after the late 1920's, more diverse tones were used for face-powder makeup, collapsing the visual, powder-focused makeup which had been considered criteria for beauty, in combination with smelling and tactile senses such as scent or touch. Domestic makeup had the highest value attached to basic skincare in terms of the aesthetic effect via powder makeup; however, Japanese makeup still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lor. Besides, particular facts were found as to social significance of makeup acts such as powder users' age group, safety, superiority and rivals of products, and appeal for makeup popularization.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traditional female beauty appears in powder advertisements in the modern period and how it is related to present-day female beauty.

근대여성사적 측면에서 본 단발의 사회적 인식변화 -개화기에서 1930년대까지- (A Study on Changes of Social Recognition about Short-Hair from Perspectives on the Modern Women′s History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30s-)

  • 전혜숙;임윤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5-47
    • /
    • 2004
  • Hair style is an expression of beauty for individuals and at the same time a clear social representation. It may be regarded as a means of knowing social recognition about social values and groups of the moment. The hair style clearly discriminated so-called the new woman, emerged during Chosun's modernization, and the old woma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social recognition about the behavioral style of the new woman by relating them with women' s movements and with changes in female education policie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new women in the 1920s were evaluated positive as those who were leading struggles against Japan and enlightenment campaigns. But between the 1920s and the 1930s, those women were thought to be negative in that they were appearance-oriented, extravagant and sticking themselves to reality. Second, how a variety of social figures recognized short-hair was determined here through reviewing the mass media of the 1920s. At that time, some men were positive about short-hair like feminists while others denied the convenience of the hair style in life and were negative about the new women's individualism and pursuance of luxurious appearance. Third,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ocial recognitions about short-hair in the 1930s. which were supported by the mass media of that time.

  • PDF

1920~30년대 한국에서 착용된 양화(洋靴)의 소재와 형태 (The Materials and Shapes of the Western Style Shoes in Korea in the 1920s to 1930s)

  • 권윤미;이은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4-241
    • /
    • 2017
  •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nge process for Western style shoes in Korea during the time of modernization in the 1920s to 1930s. Western style shoes were one of the items imported by foreigners since the Joseon Dynasty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ress code. It influence started to spread in the 1900s; however, few high level people wore Western shoes until the 1920s. The trend started to spread through newspaper advertisements and news articles after the mid 1920s. Western shoes such as modern girl and modern boy in the 1930s then entered into Korean culture.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as reorganized on a war foot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and the main materials for western shoes (cow leather, horse leather and sheepskin) were mobilized as materials for war production; subsequently, new materials using rubber were introduced. The representative material is 'Marine Leather (水産皮革)' and Sharkskin 'Gyoheok (鮫革)' and Whaleskin 'Gyeongpi (鯨皮).' Form is like the material has changed over time. This study also observed the flow of westernized Korean modern shoes as well as analyzed the details of materials and shape of western shoes by period. This represent basic materials to understand the legacy of western shoes in the age; in addition, systemic summary is organized by each kind, shape and materials for each style of western shoes.

미국 산업디자인 정착기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arly industrial design in America from 1920s to 1930s)

  • 신명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243-252
    • /
    • 2002
  • 산업디자인은 인간이 필요로 하는 것을 그 시대상황에 알맞게 순응하면서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왔다. 그러나 초기 미국산업디자인은 어렵게 정탁 되였다고 볼 수 있다. 세계대전과 경 제공황, 그리고 많은 이민자 등,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새로운 산업디자인을 세운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디자인 형태의 흐름도 1920년대의 스텝모던 그리고 1930년대의 스트림라인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부터 1937년대까지 미국디자인에의 탄생된 다양한 디자인환경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그 당시 활발하게 활동했던 4명의 디자이너의 활동과 성장환경을 이해하므로 미국 산업디자인의 뿌리는 물론 지금의 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일부디자인은 전쟁과 무역을 통해 미국의 영향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지금 미국 산업디자인 초기 과정을 이해한다는 것은 지금의 세계 상황과 우리와 역학적 관계의 모든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초기의 미국 문화는 청교도와 상업주의 등에 이루어 졌지만, 오늘날은 여러 가지 문화가 커다란 용광로를 통해 융합된 하나의 문화를 갖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