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65 rDNA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6초

Characterization of Albino Tobaccos (Nicotiana tabacum L.) Derived from Leaf Blade-Segments Cultured in vitro

  • Bae, Chang-Hyu;Tomoko Abe;Lee, Hyo-Yeon;Kim, Dong-Cheol;Min, Kyung-Soo;Park, Kwan-Sam;Tomoki Matsuyama;Takeshi Nakano;Shigeo Yoshid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101-107
    • /
    • 1999
  • The leaf blade-segments of albino tobacco (Nicotiana tabacum L.) were cultured on MS media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AP (0, 0.4, 2.2, 4.4, 22.2 ${\mu}{\textrm}{m}$) with or without NAA (0, 0.5, 2.7 ${\mu}{\textrm}{m}$). Multiple shoots were induced on the media containing 0.4 to 2.2 ${\mu}{\textrm}{m}$ BAP. The best condition for multiple shoot induction with root formation was MS media containing 4.4 ${\mu}{\textrm}{m}$ BAP and 0.5 ${\mu}{\textrm}{m}$ NAA. The regenerated albino plant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accumulation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The drastic reduction of the pigments content was associated with the distinct alterations in gene expression in the albino plants. firstly, the expression of plastid genes, such as rbcL, psbA, 165 rDNA and 235 rDNA, was reduced at the level of transcripts in the regenerated albino plants. Secondly, the alteration of structure of the plastid genes was not detected in the albino plants. However, the copy number of the plastid genes whose transcription level was reduced greatly was increased approximately two-fold, although the transcriptions of nuclear gene (255 rDNA) showed the wild-type level.

  • PDF

Phylogenetic Analysis of Culturable Arctic Bacteria

  • Lee, Yoo-Kyung;Kim, Hyo-Won;Cho, Kyeung-Hee;Kang, Sung-Ho;Lee, Hong-Kum;Kim, Yea-Do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51-58
    • /
    • 2004
  • We isolated and identified culturable Arctic bacteria that had inhabited soils around the Korean Arctic Research Station Dasan located at Ny-Alsund, Svalbard, Norway $(79^{\circ}N,\;12^{\circ}E)$. The collected soils were diluted in distilled water; the diluted soil-water was spread on 3M petri-films at Dasan Station. The petri-films were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at KORDI, and cultured at $4^{\circ}C$. Colonies grown on the petri-films were subsequently cultured on nutrient agar plates at $4^{\circ}C$ every 7 days. The pure colonies were inoculated into nutrient liquid media, genomic DNA was extracted,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165 rDNA sequences. A total of 227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Among them, 16S rDNA sequences of 185 strains were identical with those of known strains isolated in this study, and 42 strains were finally identifie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DNA indicated that the 30 strains belonged to Pseudomonas, 7 strains to Arthrobacter, two strains to Flavobacterium, and the remaining to Achromobacter, Pedobacter, and Psychrobacter. Among the 42 strains, 14 bacteria produced protease: they were 6 strains of Pseudomonax, 4 strains of Arthrobater, an Achromobacter strain, 2 strains of Flavobacterium, and a Pedohacter strain. We expect these Arctic bacteria can be used for screening to develop new industrial enzymes that are active at low temperatures.

rDNA의 ITS II 부위의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느타리버섯 종간의 근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Pleurotus species Inferred from Sequence Data of PCR Amplified ITS II Region in Ribosomal DNA)

  • 배신철;성기영;이신우;고승주;은무영;이인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55-165
    • /
    • 1996
  • 느타리 버섯속 6종 23균주에 대한 rDNA의 ITS II 부위의 DNA 염기서 열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종간 및 종내의 근연관계를 조사하였다. rDNA의 ITS II 부위를 증폭하고자 5.8S rDNA의 3'말단 부위와 285 rDNA의 5'말단 부위에 두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증폭을 행하였다. 느타리버섯 6종의 게놈 DNA로 부터 ITS II 부위를 증폭한 결과 종에 따라 밴드 길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ITS II 부위의 길이 차이로 느타리 버섯 6종을 구분할 수 있었다. 같은 종내 개체간 구분을 위하여 느타리 버섯 6종 23균주의 PCR 증폭 결과는 느타리버섯(P. ostreatus) ASI 2096, ASI 2025와 노랑 느타리 버섯(P. cornucopiae) ASI 2038 균주외에 동일 종내 균주의 ITS II 길이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느타리 버섯 6종 및 ASI 2095, ASI 2025 그리고 ASI 2038에 대한 ITS II 부위의 염기서열을 비교해 보면 염기서열의 변이가 ITS II 부위가 시작되는 부분과 말단 부분에서 주로 존재하였다. ASI 2095와 ASI 2025 균주들은 동일 종내 느타리 버섯(P. ostreatus, ASI 2001) 균주와 ASI 2038와 ITS II 부위의 DNA 염기서열에 차이를 보였다. 이들 염기서열을 기초로 하여 Neighbor program을 이용한 균주간 유연관계는 느타리 버섯(P. ostreatus), 사철 느타리 버섯(P. florida), 여름 느타리 버섯(P. cornucopiae) 그리고 맛 느타리 버섯(P. eryngii)들이, 노랑 느타리 버섯(P. cornucopiae)과 호고 느타리 버섯(P. cystidious)이 각각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내었으나 ASI 2025와 ASI 2038 균주 들은 특이한 계통분지를 나타내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KJ1R5, for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 Kim, Hye-Sook;Myung, Inn-Shik;Kim, Ki-Deo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7.1-97
    • /
    • 2003
  • An antagonistic bacterium, KJ1R5,, to Phytophthora capsici was obtained from root interior of a healthy pepper plant. To identify the bacterial antagonist, 16S rDNA sequence analysis, Biolog system, fatty acid methyl-esters (FAMEs), and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were conducted. The determined 165 rDNA sequence of KJ1R5, showed higher similarities to those of a group consisting of several Chryseobacterium strains with 95.2, 95.2, and 95,1% similarity to C. defluvii, Chryseobacterium sp. FR2, and C. scophthalmum, respectively, In addition, Halounella gailinarum, Bergeyella zoohelcum, and Riemerella anatipestifer are another group for KJ1R5, with 94.1, 89.7, and 87.2% similarities, respectively When identifica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um, KJ1R5, was conducted using BIOLOG system, the strain KJ1R5, was identified as Flavobacterium tirrenicum (similarity; 0.75%). Fatty acid profiles of the strain KJ1R5, were composed mainly of iso-17:0 w9c and iso-15:0 and identified as Chryseobacterium balustinum (similarity 0.524%). KJ1R5, was Gram-negative, regular short rods ranging from 0.8 $\mu\textrm{m}$ to 1.0 $\mu\textrm{m}$ and had no flagella.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um indicated that KJ1R5, were included in the genus Chreseobacterium, which belongs to the family Flavobacteriaceae. The strain was distinguished from these six existing spec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train might be placed as a new species in the genus Chryseobacterium.

  • PDF

Molecular Cloning and Recombinant Expression of the Long Form of Leptin Receptor (Ob-Rb) cDNA as Isolated from Rat Spleen

  • Ju, Sung-Kyu;Park, Jung-Hyun;Na, Shin-Young;You, Kwan-Hee;Kim, Kil-Lyong;Lee, Myung-Kyu
    • BMB Reports
    • /
    • 제34권2호
    • /
    • pp.156-165
    • /
    • 2001
  • Leptin is a circulating non-glycosylated protein that is mainly produced in adipocytes. Leptin acts in the brain to regulate food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Previously we reported our success in the isolation of a partial cDNA of the long form of the leptin receptor, OB-Rb, from rat spleen, and showed that leptin might also play a role in peripheral immune organs. In the present study, for the first time, the complete coding region of OB-Rb cDNA was cloned from rat splenocytes, and its nucleotide sequence was determined. The cDNA was then further expressed in E. coli and mammalian cells, thereby confirming the functional integrity of this receptor. Prokaryotically overexpressed OB-R protein was then used as an immunizing antigen in BALE/c mice to produce leptin receptor-specific antibodies. By using them, we confirmed the cell surface expression of OB-Rb in transfected CHO cells. It is our belief that the reagents, as produced in this study, will be of great use in further studies of the biological role of rat leptin.

  • PDF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Micromonospora sp.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monospora sp. Showing Nematocidal Activity Against Pine Wood Nematode)

  • 박동진;이재찬;김판경;김창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7-101
    • /
    • 2008
  •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방선균의 탐색 및 동정을 위하여 2000여개의 방선균배양액 라이브러리로부터 살선충 활성을 탐색하였다. 현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되고 있는 Streptomyces avermitilis 균주 배양액의 살선충 활성과 비교하여 선발한 결과, 강력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AW050027을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군주에 대하여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성 분석 및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한 결과 선발군주는 Micromonospora coriariae $NAR01^T$ 균주와 98.9%의 상동성을 가진 균주로 동정되었다.

건전 양파 근권으로부터 Bacillus ehimensis YJ-4의 분리 및 양파 병원균들에 대한 길항력 조사 (Antibacterial Activity of Onion Pathogens and Isolation of Bacillus ehimensis YJ-4 from the Rhizosphere of Healthy Onion Roots)

  • 주길재;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4-229
    • /
    • 2003
  • 양파 근권미생물은 양파 뿌리를 균원시료로 하여 약 250여종의 근권미생물을 순수 분리하였고 이들 중에서 길항미생물은 무름병균인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와 시들음병균인 Fuarium oxysporium에 각각 서로 대치 배양하여 두 병원균 모두에 가장 강한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YJ-4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 YJ-4는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방법에 따라 조사하여 Bacillus 속으로 판정하였고, 세포벽 지방산을 분석하여 동정하는 Sherlock system에 의해 Bacillus ehimensis와 0.778의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165 rDNA의 부분 염기서열(609bp)로 Bacillus ehimensis와 98.36%의 높은 유사도를 보여 길항균 YJ-4는 Bacillus ehimensis로 동정하였다. B. ehimensis YJ-4로 명명한길항균은 세균인 무름병균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과 세균썩음병균 (Pseudomonas sp.)에도 길항력을 나타내었고, 진균인 잘록병균 (Rhizoctonia solani), 잎마름병균 (Stemphylium botryosum), 검은무의병균 (Alternaria porri), 검은점잎마름병균 (Septoria sp.),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 흑색썩음균핵병균 (Sclerotium cepivotum), 시들음병균 (Fusarium oxysporium), 푸른곰팡이병균 (Penicillium sp.)등에도 길항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시들음병균인 F. oxysporium에 생육억제환의 길이가 24.8mm로 가장 높은 길항력을 나타내었다.

Gene Content Tree를 이용한 Archaebacteria와 Bacteria 분류 (Classification of Archaebacteria and Bacteria using a Gene Content Tree Approach)

  • 이동근;김수호;이상현;김철민;김상진;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39-44
    • /
    • 2003
  • 유전자보유 유무에 따른 계통수와 16S rRNA에 의한 계통수를 염기서열 분석이 완료된 33종의 미생물에 대하여neighbor joining method와 bootstrap method(n=1,000)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분류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보존된 COG와 각 미생물이 보유하고 있는 ortholog 수에 대한 비율을 조사한 결과, Mezorhiaobium lot의 4.60% Mycoplasma genitalium의 56.57%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미생물 종류에 따라서 공통 유전자의 보유정도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독특한 유전자를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같은 종 내에 서도 20% 이상의 ortholog가 서로 독립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Archaeabacteria와 Proteobacteria 그리고 Firmicutes모두 유전자보유 계통수와 16S rRNA 계통수가 일치하는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165 rDNA처림 보존적이지 않은 유전자까지 고려한 결과이거나 horizontal gene transfer에 의한 영향 등으로 사료되었다. COC에 기초한 유전자보유 계통수는 생화학 적 실험과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류의 중간자적 입장에서 유용유전자 탐색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류 오염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디젤 분해 세균 Pseudomonas sp. GENECO 1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esel Oil 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GENECO 1 Isolated from Oil Contaminated Soil)

  • 이종광;김무훈;박형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2-107
    • /
    • 2003
  • 유류오염 토양으로부터 디젤에 대한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순수분리하였고, 이들 분리 균주의 액체 배양을통하여 균체 생육과 유화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165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Pseudomonas sp.로 분류 되었으며, Pseudomonas sp. GENECO 1으로 명명하였다. Bioscreen C를 이용하여 디젤 분해를 위한 배양 조건을 조사한 결과 최적 배양온도는 $30^{\circ}C$, 초기 pH는 7.0로 나타났다.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배양 시간별 잔류 디젤 성분분석 결과 96시간 이내에 1.0%의 디젤을 95%이상 분해하였다.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한 매실의 세균성궤양성 (Bacterial Canker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 김두영;한효심;고영진;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35-139
    • /
    • 2005
  • 한국의 남부지방에 소재하는 대부분의 매실 과수원에서 매실궤양병이 발견되었다. 감염된 나무에서는 과실에 검은 반점과 함께 잎에는 갈색 병반을 보이며, 감염된 줄기나 가지의 균열에서 붉은색의 세균 유출액이 흘러나오는 등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궤양병의 징후가 나타났다. 16지역에서 분리한 38개 균주에 대하여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LOPAT과 GATTa실험)조사하고 16S rDNA 및 ITS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매실궤앙병의 원인 세균을 동정하였다. 이 결과와 병원성 검정을 통해 한국에서 매실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은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nnorum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