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q13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5초

대구 Gadus macrocephalus 치어의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수온과 광주기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Juvenil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오승용;박흥식;김종관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29-236
    • /
    • 2010
  •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oxygen consumption of the fasting juvenil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mean body weight 79.9${\pm}$2.0 g) in order to quantify metabolic response of the species under given conditions.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CR) of G. macrocephalus was measured under a combination of four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7, 10, 13 and $16^{\circ}C$) and three different photoperiods (24L:0D, 12L:12D and 0L:24D) with an interval of 5 minutes over a 24-hour period using a closed recirculating respirometer. Three replicates were set up in each treatment. OCRs increased with increased water temperatures under all photoperiod conditions (P<0.001). Mean OCRs at 7, 10, 13 and 16oC ranged from 793.7~1108.4, 1145.7~1570.3, 1352.8~1742.5 and 1458.2~1818.6 mg $O_2$ $kg^{-1}$ $h^{-1}$, respectively. Under all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except $7^{\circ}C$ (P<0.001), mean OCRs of G. macrocephalus were the highest in continuous light (24L:0D) followed by 12L:12D and 0L:24D photoperiods. Mean OCRs of fish exposed to the 12L:12D photoperiod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light phase than during the dark phase under all temperature conditions (P<0.001). $Q_{10}$ values ranged from 3.19~5.13 between 7 and $10^{\circ}C$, 1.41~1.74 between 10 and $13^{\circ}C$ and 1.15~1.35 between 13 and $16^{\circ}C$, respectively. Based on overall results, water temperature, photoperiod and their combination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etabolic rate of juvenile co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data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oxygen demand and managing the culture of cod under the given water temperatures and photoperiods.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수간류, 임내우의 pH, 전기전도도 및 음이온 변화 (Variations of pH, EC and anion of stemflow and throughfall in Quercus mongolica and Q. variabilis)

  • 김민식;서문원;츠지오 에자키;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82-92
    • /
    • 2000
  •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에서는 부속연습림의 주요 활엽수종인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pH, 전기전도도 및 음이온 농도를 1996년부터 측정하고 있으며, 1998년까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외우의 pH범위는 4.47~6.55, 평균값은 5.39였으며,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임내우의 pH범위는 각각 4.07~6.25, 4.34~6.57, 평균값은 5.45와 5.62로 수종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신갈나무 수간류의 pH 범위는 4.08~6.13. 평균 5.17 였으며, 굴참나무 수간류의 pH 범위는 3.62~6.11, 평균 4.68로 임외우의 pH에 반듯이 비례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봄철이 낮고 상대적으로 여름과 가을철에는 높은 계절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2. 임외우의 EC범위는 $3.0{\sim}62.6{\mu}s/cm$로 평균값은 $18.8{\mu}s/cm$였으며,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임내우의 EC범위는 각각 $5.4{\sim}85.0{\mu}s/cm$, $5.0{\sim}253.0{\mu}s/cm$. 평균값은 $25.1{\mu}s/cm$$31.2{\mu}s/cm$였다. 또한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수간류의 EC범위는 각각 $9.5{\sim}500{\mu}s/cm$, $11.5{\sim}534.5{\mu}s/cm$로 평균값은 $81.8{\mu}s/cm$, $80.2{\mu}s/cm$였다. 즉 임외우의 EC는 계절에 상관없이 $20{\sim}30{\mu}s/cm$범위에서 일정한 값을 나타냈으나, 수간류의 EC는 3월~4월에 두 수종 모두 $100{\mu}s/cm$이상을, 그리고 여름철에는 $30{\mu}s/cm$ 내외의 값을 나타내었나, 10월과 11월에 다시 높아지는 계절에 따른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다. 3. 임외우와 임내우의 $Cl^-$, $NO_3{^-}$$SO_4{^{2-}}$ 농도는 0~15ppm였으나, $PO_4{^{2-}}$농도는 임외우가 0.57ppm과 0.23ppm 2차례, 신갈나무에서 0.08ppm 1차례, 굴참나무에서 0.14ppm, 0.12ppm 및 1.19ppm으로 3차례가 각각 검출되었을 뿐이다. 또한 수간류의 $Cl^-$, $NO_3{^-}$, $SO_4{^{2-}}$$PO_4{^{2-}}$ 농도는 전체적으로 임외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적인 차이가 뚜렷하였다. 그러나 $PO_4{^{2-}}$농도의 경우, 임외우와 임내우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에서 각각 0.08~31.99ppm, 0.06~12.28ppm, 평균값은 각각 3.22ppm, 1.93ppm으로 나타났다.

  • PDF

동계의 열수지 황해냉수와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Heat Budget and the Cold Water in the Yellow Sea in Winter)

  • 한영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4
    • /
    • 1978
  •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 1961년(年)부터 1974년(年)까지 (1966년제외(年除外) 13년간(年間)의 열수지(熱收支)를 산출(算出)하고 이 기간(期間)동안 하계동지나해(夏季東支那海)에서의 황해(黃海) 냉수(冷水) 세력(勢力)과의 관계(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해상(黃海上)의 일사량(日射量)은 동계중(冬季中) 12(月)이 가장 낮아 약 $160{\sim}190ly/day$이고, 1월(月)과 2월(月)로 갈수록 점차 증가(增加)하여 2월(月)에는 $250{\sim}260ly/day$로서 12월(月)에 비(比)하여 $79{\sim}90ly/day$가 컸다. 동계(冬季) 일사량(日射量)의 년별변화량(年別變化量)은 약 50 ly/day 이하(以下)인 것으로 나타났다. (2) 해면(海面)에서의 장파복사량(長波輻射量)이 유효일사량 보다 12월(月)에는 $30{\sim}70ly/day$, 1월(月)에는 $27{\sim}46ly/day$ 정도 크게 나타났으나, 2월(月)에는 반대(反對)로 $20{\sim}30ly/day 정도 작게 나타났다. (3) 일사량(日射量)에서 해면반사량(海面反射量)과 해면복사량(海面輻射量)을 뺀 값은 100 ly/day 이하(以下)이고, 12월(月)과 1월(月)에는 (-), 2월(月)에는 (+)로 나타나며, 3개월간(個月間)의 평균(平均)은 약 -20 ly/day정도이다. (4) 현열방출량(顯熱放出量)과 증발열량(蒸發熱量)을 합한 값은 1963년(年) 1월(月)이 최고(最高)였고 (882 ly/day), 1961년(年) 2월(月)이 최저(最低)였다.(471 ly/day). (5)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 잃어버린 총열량(總熱量)은 1962년(年)이 평균(平均) 588 ly/day로서 최저(最低)이며, 1968년(年)에 716 ly/로서 최고(最高)였다. (6) 1971년(年) 8월(月)에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표층수(表層水)는 여러 종류로 분류(分類)되나, 30m 이심(以深)에서는 수온(水溫)이 $6.4^{\circ}{\sim}13.2^{\circ}C$, 염분(鹽分)이 $33.17%_{\circ}$ 이상(以上)으로서 다같이 저온(低溫)의 성질(性質)을 띠고 있다. (7) 평균(平均) 수온분포도(水溫分布圖)에서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적산수온(積算水溫)을 냉수지수(冷水指數) 50m층(層)의 지수(指數)를 수평지수(水平指數), $32^{\circ}N$의 20m 이심층(以深層)의 지수(指數)를 수직지수(垂直指數)라 하면, 1962년(年)의 경우 수평지수(水平指數)가 1.86, 수직지수(垂直指數)가 3.18로서 냉수지수(冷水指數)가 5.04였고, 1968년(年)의 경우에는 냉수지수(冷水指數)가 -3.21였다. (8) 냉수지수(冷水指數)에서 11월하순(月下旬)의 황해(黃海)의 수온(水溫)의 표준편차(標準偏差)를 뺀 값 C-T'w와 동계열수지(冬季熱收支)와의 관계(關係)는 $C-Tw'=32.06-0.049Q_T$이고, 그상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94이다. 또 수평지수(水平指數)에서 초기조건(初期條件)을 뺀값 $C_h-T'w/2$, 수직지수(垂直指數)에서 초기조건(初期條件)을 뺀 값 $C_v-T'w/2$와 열수지(熱收支)와의 관계(關係)는 $C_h-T'w/2=12.20-0.019Q_T$ $C_v-T'w/2=18.07-0.027Q_T$이고, 그 상관계수(相關係數)는 각각(各各) 0.90 및 0.97이다. 이 결과(結果)로서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의 열수지(熱收支)와의 하계(夏季)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황해(黃海) 냉수세력(冷水勢力)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가 높음이 밝혀졌으므로, 동계열수지(冬季熱收支)를 계산(計算)하고, 11월(月) 하순(下旬)의 황해수온(黃海水溫)만 알면 하계(夏季) 황해(黃海)의 냉수세력(冷水勢力)을 예측(豫測)할 수 있어 어장(漁場) 선정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 PDF

Monosomal Karyotypes among 1147 Chinese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Prevalence, Features and Prognostic Impact

  • Yang, Xiao-Fei;Sun, Ai-Ning;Yin, Jia;Cai, Cheng-Sen;Tian, Xiao-Peng;Qian, Jun;Chen, Su-Ning;Wu, De-P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421-5426
    • /
    • 2012
  • A monosomal karyotype (MK), defined as ${\geq}2$ autosomal monosomies or a single monosomy in the presence of additional structural abnormalities, was recently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conveying an extremely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AML). In the present study, after excluding patients with t(15;17), t(8;21), inv(16) and normal karyotypes, 324 AML patients with cytogenetic abnormalities were the main subject of analysis. The incidences of MK were 13% in patients aged 15 to 60 years and 18% in those between 15 and 88 years old. MK was much more prevalent among elderly patients (p < 0.001)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7, -5, del(5q), abn12p, abn17p, -18 or 18q-, -20 or 20q- and CK (for all p < 0.001 except for abn12p p=0.009), and +8 or +8q was less frequent in MK+ AML(p=0.007). No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monosomal karyotype and FAB subtype (p > 0.05); MK remaine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rse overall survival among patients with complex karyotype (p=0.032); A single autosomal monosomy contributed an additional negative effect in OS of patients with structural cytogenetic abnormalities (P=0.008). This report presents the prevalence, feature and prognostic impact of MK among a large series of Chinese AML patients from a single center for the first time.

인공유산에 대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Subjectivity on Abortion of Paramedic Student)

  • 이경숙;백미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958-5967
    • /
    • 2012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인공유산에 대한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설명함으로써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생명윤리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2년 6월부터 7월까지였으며 40개의 진술문으로 된 Q표본을 응급구조학과 3학년 학생 29명에게 적용하여 QUAN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분류된 3개의 유형은 전체 변량의 61.3%를 설명하고, 각 유형별 설명력은 유형 1(15명)이 47.4%, 유형 2(9명)가 8.0%, 유형 3(5명)이 5.0%로 나타났다. 1유형은 '태아 중심 판단형', 제 2유형은 '모성중심 능동적 판단형', 제 3유형은 '모성 중심 수동적 판단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3가지 중 가장 많은 학생들이 포함된 제1유형은 태아생명을 존중하였지만 나머지 두 유형은 태아생명보다는 자신의 삶에 더 가치를 두는 자기중심적 가치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의료현장에서 미래에 생명체를 다루게 될 응급구조사로서 상황에 따라서는 생명체를 경시하는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에 대한 인공유산에 대한 가치관 정립하고 생명을 존중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Dynamic Respiratory Measurements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using Membrane Mass Spectormetry

  • Wittmann.Christoph;Yang, Tae-Hoon;Irene Kochems;Elmar Heinzl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40-49
    • /
    • 2001
  • The present work presents a novel approach for the dynamic quantification of respiration rates on a small scale by using lysine-producing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21253. Cells sampeld from batch cultures at different times were incubated ina 12-ml scale bioreactor equipped with a membrane mass spectrometer. Under dynamic conditions, gas exchange across the gas-liquid phase, specific respiration rates, and RQ values were precisely measured. For this purpose, suitable mass balances were formulated. The transport coefficients for $O_2$ and $CO_2$, crucial for calculating the respiration activity, were determined as $k_La_{O2}=9.18h^{-1}$ and $k_La_{CO2}=5.10h^{-1}$ at 400 rpm.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o batch cultures of C. glutamicum ATCC 21253 revealed the maximum specific respiration rates of $q_{O2}=8.4\;mmol\;g^{-1}h^{-1}\;and\;q_{CO2}=8.7\;mmol\;g^{-1}h^{-1}$ in the middle of the exponential growth phase after 5 h of cultivation. When the cells changed from growth to lysine production due to the depletion of the essential amino acids theonine, methionine, and leucine, $q_{O2}\;and\;q_{CO2}$ decreased significantly and RQ increased. The respiration data exhibited an excellent agreement with previous cultivations of the strain [13]. This confirms the potential of the developed approach to realistically reflect the metabolic activities of cells at their point of sampling. The short-term influence of added threonine, methionine, and leucine was highest during the shift from growth to lysine production, where $q_{O2}\;and\;q_{CO2}$ increased 50% within one minute after the pulse addition of these compounds. Non-growing, yet lysine-producing cells taken from the end of the batch cultivation revealed no metabolic stimulation with the addition of threonine, methionine, and leucine.

  • PDF

소아 환자에서 욕창 위험도 사정 도구의 예측타당도 비교: Braden, Braden Q 및 Braden QD 도구 (Comparison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Pressure Injury Risk Assessment in Pediatric Patients: Braden, Braden Q and Braden QD Scale)

  • 강지현;임은영;이남주;유혜민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1호
    • /
    • pp.35-44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dictive validity of pressure injury risk assessment, Braden, Braden Q and Braden QD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patients under the age of 19 who were hospitalized to general wards, intensive care units of a children's hospit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pressure injury were collected, and predicted validity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areas under the curve (AUC) of the Braden, Braden Q, and Braden QD scales. Results: A total of 68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total of 13 (1.9%) patients had pressure injuries, and the number of pressure injuries was 17.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pressure injuries were 9 (52.9%) immobility-related and 8 (47.1%) medical device-related. The AUC for each scale was .91 (95% CI .89~.94) for Braden, .92 (95% CI .90~.95) for Braden Q, and .94(95% CI .92~.96) for Braden QD. The optimal cut-off points were identified as 16 for Braden (sensitivity=88.8%, specificity=86.4%), 17 for Braden Q(sensitivity=63.6%, specificity=94.9%), and 12 for Braden QD (sensitivity=94.4%, specificity=88.7%). Conclusion: The Braden QD scale demonstrated the highest predictive validity for pressure injuries in pediatric patients and is expected to be valuable tool in preventing pediatrics pressure injuries.

건조 새우의 변온저장중 갈변 및 Shelf-life (The Non-Enzymatic Browning and Shelf-Life of Dried Shrimp during Storage under Fluctuating Temperature Conditions)

  • 김용주;김무남;강문선;조영제;김육용;전순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2
    • /
    • 1994
  • 건조온도(25, $45^{\circ}C$)를 달리한 건조새우를 수분활성을 달리하여 저장하였을 때의 갈변반응 및 shelf-life는 다음과 같다. 1. 저장중 갈변반응은 온도, 수분활성이 높을수록 촉진되었다. 2. Arrhenius식으로부터 구한 활성화 에너지는 $25^{\circ}C$에서 건조한 새우의 경우 $13.57{\sim}14.33kcal/mol$의 범위였으며, $45^{\circ}C$의 경우 $13.12{\sim}13.61kca1/mol$로서 $45^{\circ}C$의 경우가 $25^{\circ}C$보다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3. Shelf-life는 온도와 수분 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단축되었는데 $25^{\circ}C$에서 건조한 새우의 경우 수분 활성 0.65 저장 온도 $55^{\circ}C$에서 4일, 수분활성 0.33 저장 온도 $35^{\circ}C$에서 139일이었고, $45^{\circ}C$의 경우 수분 활성 0.65 저장 온도 $55^{\circ}C$에서 1일, 수분활성 0.33 저장 온도 $35^{\circ}C$에서 76일로서 $25^{\circ}C$에서 건조한 것의 shelf-life가 더 길게 나타났다. 4. 변온 조건에서의 저장 실험결과와 이론적으로 예측한 값사이의 유효 온도 차이는 예측치보다 실측치가 높게 나타났다.

  • PDF

Faster Ate Pairing Computation over Pairing-Friendly Ellipitic Curves Using GLV Decomposition

  • Eom, Soo Kyung;Lee, Eunjeong;Lee, Hyang-Sook
    • ETRI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880-888
    • /
    • 2013
  • The preexisting pairings ate, $ate_i$, R-ate, and optimal-ate use q-expansion, where q is the size of the defining field for the elliptic curves. Elliptic curves with small embedding degrees only allow a few of these pairings. In such cases, efficiently computable endomorphisms can be used, as in [11] and [12]. They used the endomorphisms that have characteristic polynomials with very small coefficients, which led to some restrictions in finding various pairing-friendly curves. To construct more pairing-friendly curves, we consider ${\mu}$-expansion using the Gallant-Lambert-Vanstone (GLV) decomposition method, where ${\mu}$ is an arbitrary integer. We illustrate some pairing-friendly curves that provide more efficient pairing from the ${\mu}$-expansion than from the ate pairing. The proposed method can achieve timing results at least 20% faster than the ate pairing.

BIP, X.tsm국제표준간 통합모델 제시

  • 신용녀;김재성;최진영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0-56
    • /
    • 2007
  • X.tsm은 템플릿 관리 위치와 바이오인식 인증 위치에 따라 9개의 모델을 제시한 바이오 인증 프로토콜로, 2006년 12월 제네바 ITU-T SG17 Q.8 회의에서 First of Recomanda-tion 단계로 채택된 표준이다. 바이오인식 제품 응용 인터페이스(BioAPI)에 입각하여 6개의 모델을 제시한 BIP(BioAPI Interworking Protocol)은 2007년 1월 뉴질랜드 ISO/IEC JTC1 SC37 WG2 회의에서 FCD로 제정된 국제표준이다. X.tsm과 BIP간의 중복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ITU-T SG17 Q8(Telebiometrics)에서 2006년 4월 제주에서 두 표준과제의 공통사항을 반영한 X.bip가 채택되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바이오 주요 컴포넌트의 개념을 명확하고, 모델 간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13개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두 표준에서 새로운 모델을 공통적으로 수용하게 되면, 표준안을 준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