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119 구급대원의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의 병원전 처치실태 및 전문 처치율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Prehospital Care of 119 EMT for Non-traumatic Cardiac Arrest and Improvement to Increase Advanced Care Rate)

  • 이경열;윤성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21-31
    • /
    • 2011
  • 병원 밖에서 발생한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에 대한 119 구급대원의 처치 현황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대전충남에 근무하는 119 구급대원 322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119 구급대원들은 병원전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에 대해 CPR은 96.9%(309명), AED는 53%(169명)에서 거의 매번 또는 매번 실시한다고 하였다. 1급 응급구조사와 간호사의 경우 IV는 94.7%(143명)에서 가끔 실시하거나 실시한 적이 없다고 하였고 약물처치의 경우도 90.7%(136명)에서 실시한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AED, 기도확보 및 IV 를 실시하지 못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구급인원이 부족하고, 시간이 부족하며, 흔들리는 구급차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임상실습이나 병원실습의 경험이 있는 119 구급대원이 IV나 약물처치를 더 자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급차에 탑승하는 구급인원을 보강하고, 일반인들도 할 수 있는 기본심폐소생술 처치에서 더 나아가 전문심장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1급 응급구조사에게 에피네프린의 사용을 허가하며, 임상실기 교육을 강화하고 구급대원을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출동 거리에 따른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의 자발순환회복률 분석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ate according to dispatch distance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 김종호;전윤철;문준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1-61
    • /
    • 2017
  • Purpose: This study measured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in relation to dispatch distance in patien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Methods: Of 2,347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transport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J Province between January 1 and December 31, 2015, those under age 18, those with reserved resuscitation, and those with traumatic cardiac arrest, leaving 855 patients in the study sample. ROSC was compared between those with dispatch distance ${\leq}4km$ (short dispatch distance, 465 patients) and those with dispatch distance >4 km (long dispatch distance, 390 patients). Results: The mean was 2.17 km in the short dispatch group and 9.87 km in the long dispatch group (p=.000). Mean distance from was 6.49 km and 13.39 km in the two groups, respectively (p=.000). ROSC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short and long dispatch distance groups (7.1% for short dispatch distance, 3.6% for long dispatch distance, p=.025). The length of time from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short and long dispatch distance groups (8.77 minutes and 14.63 minutes, respectively, p=.000). Conclusion: ROSC was lower in areas of long dispatch distance compared to those of short dispatch distance. We expect this was most likely due to differences in response time by age and dispatch distance to the scene of cardiac arres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the factors affecting ROSC.

병원 전 심폐소생술에 의한 순환회복 환자의 사례 분석: 두 지역 하트세이버 수여자를 대상으로 (Analysis of ROSC cases for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ased on Heart Saver laureate for two area)

  • 고봉연;이정은;홍성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case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n the basis of Heart Saver laureate.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utcome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by analyzing the data of two regions. The data were prehospital emergency reports of 473 patients who survived for > 72 hours after ROSC in two regio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Results: Among the ROSC patients, 86.8% (G), 77.9% (S) were men and 72.9% (G), 67.9% (S) were of age 41~70 years, 87.6% (G), 82.9% (S) had a witnessed cardiac arrest; and 66.7% (G), 70.6% (S) receiv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rom bystander. Of those who performed the resuscitation, paramedics in 89.1% (G), 89.8% (S). Furthermor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ere involved in 69.0% of two-rescue teams in G and in 90.4% of three-rescue team in S. Conclusion: Most heart savers were qualified paramedics, and three-rescuer-teams resulted in better survival rate than two-rescuer-teams.

구급차 내에서의 심폐소생술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in Ambulance)

  • 신소연;김지희;김경용;강신우;방성환;윤종근;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04-111
    • /
    • 2014
  • 이 연구는 소방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에 의해 시행되는 구급차 내 심폐소생술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관할 780명으로 2012년 보수교육 종료 후 설문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 가슴압박 방법(한 손 가슴압박 VS 두 손 가슴압박), 심폐소생술 방법(표준심폐소생술 VS 가슴압박소생술) 등에 대하여 Chi-square test,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한 손을 이용한 가슴압박 14.0%, 두 손을 이용한 가슴압박 86.0%를 보였고, 표준심폐소생술(가슴압박 VS 인공호흡)은 28.3%, 가슴압박소생술 71.7%를 보였다.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위해서는 심정지 환자의 구급 출동만이라도 운전자 포함 3명 이상의 응급구조사가 출동할 수 있도록 탄력적인 인력 운영 방안이 필요하며, 역량 강화를 위한 심폐소생술의 정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소방 1급응급구조사의 병원임상수련 술기 실태 조사 (The Actual State of Hospital-based Skill Training in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노상균;이재국;방성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4-60
    • /
    • 2012
  • 이 연구는 소방 119구급대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의 병원임상수련 실태를 조사한 연구이다. 조사대상은 소방에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 42명으로 하였으며, 2012년 5월 11일부터 2012년 5월 12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를 한 번 이상 직접 경험한 경우는 56.5 %였고, 이들 중 기관내삽관 66.9 %, 후두마스크 8.4 %, 정맥로확보 76.6 %, 니트로글리세린 설하투여 61.2 %, 기관지확장제 흡입 50.0 %, 수액투여 73.8 %, 인공호흡기 사용 57.6 %, 포도당 주입 57.6 %를 경험하였으며, 1급 응급구조사 업무범위를 16개 의료기관별로 살펴본 결과 58.0 %가 한 번 이상 직접 경험하였다. 향후 1급 응급구조사의 교육 요구도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며, 병원임상수련의 문제점 분석, 임상실습지침서의 보완과 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규정과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일부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 요인 (The Contents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Conduct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Related Factors)

  • 정상길;김기순;조수형;강명근;한미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346-358
    • /
    • 2009
  • 우리나라 여러 기관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요인을 파악코자 2008년 6월 대한응급구조사협회에서 주최하는 보수교육에 참여한 자중 80명과 특정지역 119구급대 소속 53명, 총 133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조사대상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내용별 빈도를 보면 생체징후감시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산소포화도 측정, 산소투여, 지혈 및 창상처치, 심전도 감시 순으로 많았다. 응급처치 23개 전체항목 시행횟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은 거주지 구분과 자격종류이었으며 단일 응급처치항목으로서 정맥로 연결 시행횟수의 유의한 관련요인은 대상자의 성별, 정맥로 연결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이었고 근무기관의 종류도 경계역에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선정되었다. 심전도 감시 시행횟수의 유의한관련요인은 대상자의 성별로 남성보다 여성이 시행횟수가 많았다. 따라서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횟수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유지케 하기 위해서는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 응급처치에 대한 자신감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남성 응급구조사, 2급 응급구조사,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응급구조사들에 대한 관리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에 대한 적절성 평가와 더불어 응급구조사 역할 발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구급차량 내 전자파 방출에 관한 조사 (Research on the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n ambulance)

  • 윤종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69
    • /
    • 2019
  • Purpose: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the health of paramedics responsible for patient transport and treatment by analyzing the exposure level of paramedics to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electric devices used in ambulances. Methods: The study measured electromagnetic waves in ambulances in N region from July to December 2018. ME3030B produced by German Gigahertz Solutions was used to measure these waves and the maximum value was selected by moving it slowly in various directions. Each measurement part was selected and the mean value was calculated by repeatedly measuring at 10-minute intervals three times in total: $1^{st}$, $2^{nd}$, and $3^{rd}$ phase. Results: Among the electrical devices installed in the patient room of the ambulance measured at distances of 1 cm or 30 cm, results showed a high level of electric waves at the inverter ($26.25{\pm}39V/m$) and high level of electromagnetic waves ($564.00{\pm}31.75nT$) at the ozone sterilizer. According to measurements toward the front near the driver's seat, results indicated high levels of electric waves ($3.67{\pm}1.15V/m$) and electromagnetic waves ($450.00{\pm}19.52nT$) at the black box hard drive. Conclusion: Electromagnetic waves within the ambulance were stable and not beyond the range that might impact human health. However, in the case of the black box hard drive ($3.67{\pm}1.15V/m$, $450.00{\pm}19.52nT$) located under the passenger seat, it may have a direct effect on the human body and, thus it is necessary to move it to a storage area further away from the paramedics to minimized the impact.

1급 응급구조사의 임파워먼트와 비판적 사고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powerment and Critical Thinking of the 1s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박대성;김은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2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of empowerment recognized by the 1st paramedics and the trend of their critical thinking, analyzes correlations between empowerment and critical thinking to reveal whether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n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research on empowerment and critical thinking. Method: This study distributes 105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the 1s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at fire fighting police boxes, general hospitals, clinics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from April 29 to May 28, 2006, collects their responses directly and analyzes results with t-test, F-test(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1. First, average score of empowerment of subjects was 4.68 out of 6 and according to scores by area, capacity 5.98 was highest, followed by significance 5.41, self- determination 4.44 and effectiveness 3.79. 2. degree of empower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l education(F=2.714, p= .049), level of salary (F=3.298, p= .014) and satisfaction of current job (F=5.399, p= .001). 3. average score of critical thinking of subjects was 3.28 out of 7 and according to areas, no bias 3.95 was highest, followed by maturity 3.68, structure 3.35, inquisitiveness 3.11, pursuit of truth 3.07, critical thinking and self-confidence 3.00, analyticity 2.98. 4. degree of critical thinking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2.577, p= .041), final education (F=7.877, p= .000), current workplace (F=3.513, p= .018), level of salary(F=4.628, p= .002), satisfaction with current job(F=6.879, p= .000) and intention to transfer current job(t=15.21, p=.000). 5. as a result of correlations between empowerment and critical thinking of subjec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whole empowerment and critical thinking were r= .21, p=.013.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1st paramedic managers must seek how to keep and manage empowerment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which can enhance critical thinking is needed. Further, emergency educators must develop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concept of empowerment to establish early awareness of a desirable organization culture and increase understanding of empowerment in the process of education.

  • PDF

구급차 내에서 수행한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travenous access of paramedics in ambulances)

  • 김진현;심규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77-1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급차의 주행조건에 따른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 시도 횟수를 분석하여 신속한 정맥로 확보를 위한 주행 기준을 제시하고, 실험 전 후 자신감 변화를 비교해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 자신감을 높이는데 있다. 연구기간은 2017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이고, 연구 대상은 119 구급대원 30명(1급 응급구조사 20명, 간호사 10명)으로 구급차 주행 조건을 6가지(정차 구간, 평지 구간, 비포장 구간, 과속 방지턱 구간, 곡선 구간, 경사로 구간)로 설정하여 정맥로 확보 시도 횟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차 구간과 평지 구간 주행조건에서는 시도 횟수차이가 없었고(p=.161) 비포장(p=.003), 과속 방지턱(p=.005), 곡선(p=.022), 경사로(p=.003)구간 주행조건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실험 전 후 자신감은 실험 후 자신감이 유의하게 상승(p=.000)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행 중 구급차 내에서의 신속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서는 차량을 정차시키거나 평지를 주행할 때 시도하는 것을 권장하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정맥로 확보 자신감을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응급구급대원에서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 및 환자평가 향상을 위한 교육 필요성 (Necessity of Education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o Improve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Stroke and Assessment of Stroke Patients)

  • 이정미;이장열;박성빈;이영훈;오경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2호
    • /
    • pp.130-141
    • /
    • 2013
  • 이 연구는 응급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뇌졸중과 관련된 교육에 대한 특성 및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 전체 응급구급대원 298명이었으며 설문조사는 직접면접법을 통해 이뤄졌다. 조사기간은 2011년 4월 1일-30일까지 1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뇌졸중 관련 교육 이수율은 63.2%로 나타났으며 주로 소방학교(63.1%)를 통해 이수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상자들의 뇌졸중 관련 교육 실시요구도(85.0%)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전반적인 조기인지 수준 및 뇌졸중 환자 상태평가 점수는 여자에서, 30대 미만, 소방사에서, 구급업무를 직접 담당자에서, 응급구조사에서 뇌졸중 환자 상태평가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 발생 시 우선적 조치사항으로는 전문치료가 가능한 최근접 병원으로의 환자 이송이 82.8%로 나타났다.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수준, 환자 상태평가, 환자처치에 대한 적절성은 뇌졸중 관련 교육 이수자에서 비이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응급구급대원은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조기인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뇌졸중 환자 처치에 대한 자신감, 처치 만족도, 처치 적절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응급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뇌졸중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시에는 기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과 적절한 교육과정을 확보함으로써 교육 대상자들의 요구도를 충족시키고, 교육 이수율을 높여 궁극적으로는 응급구급대원들의 실질적인 역량 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