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1-13m

검색결과 3,058건 처리시간 0.032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luminum and Gallium Complexes of Heterocyclic Thiosemicarbazones. Crystal Structures of $Me_2M[SC_4H_3CHNNC(S)SCH_3$] (M=Al, Ga)

  • 강영진;유병우;강상욱;고재정;강승주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호
    • /
    • pp.63-67
    • /
    • 1998
  •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onomeric group 13 heterocyclic thiosemicarbazone complexes $Me_2M[SC_4H_3CHNNC(S)SCH_3]$ (M=Al (2), Ga (3)) are described. Compounds 2-3 were prepared using $MMe_3$ (M=Al, Ga) in toluene with 2-thiophenecarboxaldehyde-S-methyldithiocarbazat e under anaerobic conditions. These complexes have been characterized by $^1H\;NMR,\; ^{13}C\; NMR$, elemental analyses, and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2 crystallizes in the monoclinic space group $P2_1/c$ with unit cell parameters a=10.2930(5) Å, b=18.564 (1) Å, c=7.3812(6) Å, V=1347.9(2) Å3, $D_{calc}=1.342\; gcm^{-3}$ for Z=4, 9281 reflections with $I_o<3{\sigma}\;(I_o),$ R1=0.0500 and wR2=0.0526. 3 crystalizes in the orthorhombic space group $P_{bca}$ with unit cell parameters a=13.340(3) Å, b=19.9070(5) Å, c=11.3690(2) Å, $V=2673.88(9)\;{\AA}^3$, $D_{calc}=1.511\; gcm^{-3}$ for Z=8, 17004 reflections with $I_o>3{\sigma}\;(I_o),$, R1=0.0480 and wR2=0.0524. Compound 3 is a monomeric gallium compound with a weak interaction between the pendant thiophene and the gallium center.

캡슐형 백금저항온도계 국제비교를 위한 네온, 산소, 아르곤, 수은 및 물의 삼중점 실현 (Realization of Triple Point of Ne, $O_2$, Ar, Hg and $H_2O$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apsule-type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 강기훈;김용규;감기술
    • 센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3-162
    • /
    • 2000
  • 평형수소 삼중점 (13.8033 K)부터 물의 삼중점 (273.16 K) 온도영역에서 표준온도계로 사용되는 캡슐형 백금저항온도계를 일차 교정하려면 고순도 물질의 삼중점이 사용된다. 국제온도눈금-1990 (ITS-90)을 확립하기 위해 평형수소, 네온, 산소, 아르곤, 수은 및 물의 삼중점 중에서 평형수소의 삼중점을 제외한 5 개의 삼중점을 실현하였다. 각각의 삼중점에서 국제비교용으로 채택된 캡슐형 백금저항온도계 2대의 저항을 2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삼중점에서의 합성표준불확도는 A형 불확도와 B형 불확도 평가방법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ITS-90에 정의된 네온, 산소, 아르곤, 수은 및 물의 삼중점에서의 합성표준불확도 추정결과는 각각 0.18 mK, 0.14 mK, 0.14 mK, 0.24 mK 및 0.11 mK 이었다.

  • PDF

가리왕산 지역의 개미 고도별 분포 (Altitudinal Distribution of Ants in Mt. Gariwangsan, Korea)

  • 조경연;김일권;류동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120
    • /
    • 2020
  • 본 연구는 생물 다양성의 지표종인 개미류의 시기별 우점종 및 개체군 변동을 살펴보고,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개체군 변화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고도별 조사 지점을 선정하고, 함정트랩을 사용하여 정방형조사법(10m×10m)으로 개미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고도별 조사 결과, 총 3아과 11속 14종 15,466개체가 채집되었다. 낮은 고도(700m)에서 13종 4,548개체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일본장다리개미(49.9%)로 나타났고, 중간 고도(900m)에서 8종 9,12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으로 극동혹개미(57.7%)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높은 고도(1,100m)에서 10종 1,789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으로 코토쿠뿔개미(43.3%)가 확인되었다. 고도별로 일본장다리개미, 스미스개미, 극동혹개미는 폭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00 MHz CMOS 저잡음 증폭기의 설계 (Design of 900 MHz CMOS Low Noie Amplifier)

  • 윤상영;윤헌일;정용채;정항근;황인갑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893-89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0.65 $\mu$m CMOS 공정을 이용한 900MHz 대역의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입력 매칭은 전력소모가 가정 적고 NF도 가장 작은 인덕터 종단 정합회로를 사용하였다. 온칩 상에 바이어스 안정화를 포한시켰으며, 전원은 3V를 공급하였을 때 전력 소모는 39mW이다. 설계된 저잡음 증폭기의 특성능 900MHz 대역에서 13.2dB의 이득과 4.8dB의 Noise Figure가 측정이 되었다. 입력 반사손실으 -26dB, 츨력반사 손실은 -17dB을 얻었으며, 입력 1-dB 억압 -12dBm을 얻었다.

  • PDF

제3세대 파랑추산모형을 이용한 태풍 ‘매미’의 극한파랑 재현 (II) - 태풍 ‘매미’가 야기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극한파랑 특성 - (Reproduction of Extreme Waves Caused by Typhoon MAEMI with Wave Hindcasting Method, WAM (II) - Characteristics of extreme waves generated by Typhoon MAEMI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 신승호;홍기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45-751
    • /
    • 2004
  • 본 연구근 신 등(2004)의 후속연구로서, 연근해의 상세 공간 분할의 계산에 적용하여 높은 정밀도의 파랑 추산이 가능한 수정 WAM cycle 4모형을 토대로 2003년 9월 한 달 동안의 파랑을 상세히 추산하고, 태풍 ‘매미’가 야기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극한파랑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계산된 파랑 제원은 이어도 해양종합기지에서 관측된 파랑 제원과의 비교를 통하여 모형의 정밀도를 확인하였고, 우리나라 남해안주요 4개 지점의 전면 해상에 대해서는 1시간 간격의 파랑 추산 결과의 분석을 통해 태풍 ‘매미’가 야기한 외해 극한파랑을 다음과 같이 추산하였다. 1) 제주도 서편 차귀도 전면 해상; 2003년 9월 12일 16시에 최대 유의파고 7.41m, 평균 주기 13.6s, 평균 파향 6.4$^{\circ}$, 2) 마산만 입구; 12일 21시에 최대 유의파고 12.50m, 평균 주기 13.65s, 평균 파향 1.2$^{\circ}$, 3) 부산 수영만 전면 해상; 12일 22시에 최대 유의파고 13.85m, 평균 주기 13.81s, 평균 파향 0.2$^{\circ}$, 4) 울산항 전면 해상; 12일 23시에 최대 유의파고 11.00m, 평균 주기 13.25s, 평균 파향 $2.8^{\circ}$.

노치필터를 이용한 CMOS Selective 피드백 저잡음 증폭기 (A Selective Feedback LNA Using Notch Filter in $0.18{\mu}m$ CMOS)

  • 서미경;윤지숙;한정원;탁지영;김혜원;박성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11호
    • /
    • pp.77-8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 표준을 포함하는 Selective 피드백 저잡음 증폭기(SF-LNA)를 설계하였다. 노치필터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은 저지시키고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주파수 응답을 얻었고, 측정 결과 820~960MHz와 1.57~2.5GHz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13dB 및 11.5dB의 전력이득과 -10dB 이하의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 매칭을 얻었다. 제작한 칩은 1.8V의 단일 전원전압으로부터 15mW의 낮은 전력소모를 가지며, $1.17\times1.0mm^2$의 칩 사이즈를 갖는다.

의암호의 어류군집 (Study of the Fish Community of Lake Uiam)

  • 최재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3
    • /
    • 2005
  • 2003년 7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의암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동태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 13과 41종 4,706개체이었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R. uyekiid)을 포함하여 줄납자루 (A. yamatsutae), 중고기 (S. nigripinis morii), 긴몰개 (S. gracilis majimae), 몰개 (S. japonicus coreanus), 돌마자 (M.yaluensis), 참종개 (I. koreensis), 새코미꾸리 (K. rotundicaudata),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퉁가리 (L. andersoni), 동사리 (O. platycephala) 등 11종 (26.8%)이었다. 우점종은 누치 (H. labeo) 16.2%, 피라미 (Z. platypus) 13.8%, 줄납자루 (A. yamatsutae) 11.8%, 긴몰개 (S.gracilis majimae) 10.4%, 돌고기 (P. herzi) 5.8%, 빙어 (H.olidus) 4.3% 등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을 살펴보면 총 92,057.6 g이 채집되었고 누치 (H. labeo)가 35,868.8 g (39.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잉어 (C.carpio) 22,471 g (24.4%), 큰입우럭(M. salmoides) 5,446.7 g (5.9%),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5,163.0 g (5.6%), 떡붕어 (C. cuvieri) 3,328.0 g (3.6%), 피라미 (Z. platypus) 2,537.4 g (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암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뱀장어 (A. japonica), 빙어 (H. olidus), 꾹저구 (C. urotaenius), 갈문망둑 (R.giurinus), 이스라엘잉어 (C. carpio (Israeli type)), 떡붕어 (C. cuvieri), 무지개송어 (S. gairdneri irideus),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큰입우럭 (M. salmoides) 등 9종이었다. 이 중 이스라엘잉어 (C. carpio (Israeli type)), 떡붕어 (C. cuvieri), 무지개송어 (S. gairdneri irideus), 파랑볼우럭(L. macrochirus), 큰입우럭(M. salmoides)은 국외종이며, 뱀장어 (A. japonica), 빙어 (H. olidus), 꾹저구 (C. urotaenius), 갈문망둑 (R. giurinus)은 국내 다른 수계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낙동강, 서낙동강 및 수영천의 하상 구조와 저토중 중금속간의 상관성 (Riverbed Structures and Correlationships between Heavy Metals of Sediments in the Naktong River, Western Naktong River, and Suyoung Stream)

  • 황선출;이봉헌;박원우;이부용;박흥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4
    • /
    • 1998
  • 낙동강, 서낙동강 및 수영천의 하상 구조와 저토중 중금속 농도 및 중금속간의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위 세하천에서 30군데의 시료 채취 지점의 깊이를 측정하고 저토 시료를 채취하였다. 깊이 측정 결과 낙동강이 세하천중 가장 깊었다. 낙동강에서 가장 깊고 가장 얕은 곳은 각각 site 11(11.58m)과 9(3.35m), 서낙동강에서는 site 7(6.25m)과 4(2.06m), 수영천에서는 site 8(2.89m)과 1(0.61m)이었다. 세하천에서 채취한 저토에 함유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한 결과 서낙동강에서의 Cd 농도(45.79ppm)는 다른 두하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b(76.25ppm), Cr(48.13ppm) 및 Cu(77.50ppm)의 농도는 수영천의 저토에서 가장 높았다. 중금속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에서 Cu는 Cr과 높은 상관성을, Pb는 Cr및 Cu와 아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서낙동강에서 Cu는 Cd 및 Cr과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Cr은 Pb와 아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수영천에서 Cd는 Pb및 Cu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Cr과 Cd 및 Pb, Cu와 Pb 및 Cr은 아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 PDF

국립공원 3개 저수지에 서식하는 생태계교란 어종의 서식양상과 먹이생물,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Inhabitat Status and Gastric Contents of Invasive Fish Species and the Effect on Fish Fauna at Three Reservoirs in National Parks of Korea)

  • 박승철;이광열;최광식;한미숙;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4-94
    • /
    • 2021
  •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생태계교란 어종 배스와 블루길의 도입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 금계지, 삼가지, 내장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금계지에서는 7과 11종 1,221개체가 채집되었고, 배스는 우점종(96.3%), 블루길은 소수(0.3%) 서식하고 있었고, 배스는 주로 밀어(IRI, 37.2%)와 잠자리목(25.6%), 뱀잠자리목(11.6%), 배스(7.0%) 등을 섭식하였다. 삼가지에서는 5과 10종 854개체가 채집되었고, 배스는 우점종(60.8%)으로 주로 새우류(33.6%)와 잠자리목(34.4%), 밀어(21.2%), 피라미(6.1%) 등을 섭식하였다. 내장지에서는 7과 13종 1,075개체가 채집되었고, 블루길은 우점종(38.1%), 배스는 우세종(9.5%)으로 나타났으며, 블루길은 주로 물벼룩류(IRI, 77.5%)와 파리목(9.8%), 새우류(4.0%) 등을 섭식하였고 배스는 주로 밀어(73.3%)와 새우류(21.2%) 등을 섭식하였다. 금계지와 삼가지의 배스는 10여 년 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도입 이후 대부분의 어류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내장지의 블루길은 20여 년 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도입 이후 상대풍부도가 점점 증가하여 40%대에 도달하였고, 배스는 5~6년 전에 도입되었고 도입 이후 자생 어류의 종수와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립공원 내 배스와 블루길의 서식현황 및 관리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비름 탄저병 (Anthracnose of Amaranthus mangostanus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0-43
    • /
    • 2003
  • 2002년 9월 경상남도 산청군 비름 군락지에서 줄기에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분리된 병원균의 PDA 배지에서 균총은 회색이고 배지상에서 자낭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 모양은 단세포로 원통형이며 크기는 $10.5{\sim}21.7{\times}3.8{\sim}6.0{\mu}m$였다. 부착기 모양은 원통형 또는 난형으로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5.6{\sim}13.7{\times}4.6{\sim}11.4{\mu}m$였다. 자낭각의 색깔은 검은색으로 구형이며 크기는 $79.7{\sim}286.7{\mu}m$였다. 자낭은 8개이며 모양은 곤봉 또는 원통형이며 크기는 $47.7{\sim}89.7{\times}8.1{\sim}13.3{\mu}m$였다. 자낭포자는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약간 굽었으며 크기는 9.3{\sim}20.3{\times}4.6{\sim}6.3{\mu}m$였다. 분리된 병원균을 건전한 비름에 접종한 결과 감염을 일으켰으며 병징은 같았다. 이 병원균을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비름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