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1 그리고 12

검색결과 2,020건 처리시간 0.029초

메틸기를 포함한 새로운 거대고리 크라운 에테르의 합성 (Syntheses of New Macrocyclic Crown Ethers Containing Methyl Groups)

  • 장승현;김동준;김재용;이갑덕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4-259
    • /
    • 1994
  • Methyl기를 포함하는 새로운 5종의 crown ether를 합성하였다. 2,3,4,5: 9,10,11,12-Dibenzo-8,8-dimethyl-15,18,1-trioxacycloeicosane, 2,3,4,5: 9,10,11,12-dibenzo-8,8-dimethyl-15,18,21,1-tetraoxacyclotricosane, 2,3,4,5 : 9,10,11,12-dibenzo-8,8-dimethyl-15,18,21,24,1-pentaoxacyclohexacosane, 2,3,4,5 : 9,10,11,12 : 22,23,24,25 : 29,30,31,32-tetrabenzo-8,8,28,28-tetramethyl-15,18,21,35,38,1-hexaoxacyclotetracontane 그리고 2,3,4,5 : 9,10,11,12 : 25,26,27,28:32,33,34,35-tetrabenzo-8,8,31,31-tetramethyl-15,18,21,24,38,41,44,1-octaoxacyclohexatetracontane은 (M = Na, K)존재하에서 4,4'-isopropylidenediphenol과 di-, tri- 그리고 tetraethyleneglycol ditosylate의 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Diethyleneglycol ditosylate, triethyleneglycol ditosylate, tetraethyleneglycol ditosylate는 NaOH존재하에서 diethyleneglycol, triethyleneglycol 그리고 tetraethyleneglycol과 p-toluenesulfonylchloride의 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 PDF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at Paddy Field of Honam Region)

  • 김원호;서성;임영철;신재순;성병렬;지희정;이상진;박태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1-166
    • /
    • 2007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 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간에 비슷하였으나 긴쌀보리만 5월 3일로 가장 늦었다. 건물률은 쌀보리와 겉보리가 각각 37.9%와 37.1%였다. 건물수량에 있어 쌀보리인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에서 11,260와 11,160 kg/ha으로 많았고 긴쌀보리에서 7,530 kg/ha으로 적었다. 그리고 겉보리에서는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에서 각각 12,730 kg/ha, 12,320 kg/ha 그리고 12,300 kg/ha으로 많았고 올보리에서 6,660 kg/ha으로 적었다. 쌀보리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30.3%, 60.8% 그리고 65.1%였고 겉보리 품종의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각각 33.6%, 61.1% 그리고 62.4%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사일리지용 보리의 품종중 종실수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탑골보리로 6,370 kg/ha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에 의한 사일리지용 총체보리의 우량 품종은 밀양 92호, 큰알보리 그리고 탑골보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5년간 연령에 따른 근시 유병률 진행에 관한 연구 : 2008년에서 2012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gression and Prevalence of Myopia according to Age for the Last Five Years : from 2008 to 2012)

  • 이완석;예기훈;신범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3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연령에 따른 근시 유병률 진행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 본부에서 시행한 2008에서 2012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근시 유병률 진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최근 5년간 자료를 통해 근시를 분류하였고, 연령별 분석결과 약도근시 중 5-11세는 25.5%, 12-18세는 25.1%, 19-29세는 27.3%, 30-39세는 30.7%, 40-49세는 29.6%, 50-59세는 19.2%, 60-69세는 11.8%, 그리고 70세 이상에서는 20.2%의 근시유병률이 각각 나타났다. 중도근시 중 5-11세는 21.7%, 12-18세는 43.6%, 19-29세는 36.2%, 30-39세는 30.0%, 40-49세는 20.4%, 50-59세는 9.9%, 60-69세는 5.2%, 그리고 70세 이상에서는 7.6%의 근시 유병률이 각각 나타났다. 고도근시 중 5-11세는 2.1%, 12-18세는 11.7%, 19-29세는 11.5%, 30-39세는 6.9%, 40-49세는 5.6%, 50-59세는 1.9%, 60-69세는 1.5%, 그리고 70세 이상에서는 1.0%의 근시 유병률이 각각 나타났다. 결론: 근시 유병률 진행 증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민의 안보건복지와 시력저하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을 판단된다.

시판 해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월별, 산지별 분포 (Serotypes and Distributions of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Products in Wholesale Market)

  • 함희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18
    • /
    • 2008
  •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수거한 총 2,066건의 해산물(어류 573건, 패류 721건, 갑각류 208건 그리고 연체류 564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0.3%(212/2,066)의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212주의 대장균의 월별 분포를 살펴보면, 1월 4.0%, 2월 1.0%, 3월 0.7%, 4월 9.5%, 5월 4.4%, 6월 9.4%, 7월 30.5%, 8월 42.1%, 9월 21.2%, 10월 6.6%, 11월 0.7% 그리고 12월 4.6%의 검출율을 보여, 6-9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7.0%(40/573), 패류 12.8%(92/721), 갑각류 8.7%(18/208) 그리고 연체류 11.0%(62/564)의 검출율을 보여, 패류, 연체류가 어류,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21.3%의 검출율을 보였고, 인천 15.6%,경남 12.1%, 전남 11.5%, 전북 22.2%, 충남 11.6%, 제주 6.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9.0%의 검출율을 보였다. 212주를 대상으로 혈청형 동정을 실시한 결과, O6은 소라, 키조개, 그리고 건해삼에서 각각 1건씩, O25는 문어, 멍게에서 각각 1건씩, O29는 소라, 키조개에서 각각 1건씩, 그리고 O8, O25, O26, O27, O55, O78, O126, O158, O168은 문어, 갈치, 미더덕, 바지락, 낙지, 쭈꾸미, 소라, 오징어 알에서 각각 1건씩, O167도 소라에서 1건 확인되어 총 16주 (7.5% = 16/212)의 O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해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유통 중인 식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 김경범;유기환;박하얀;정종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28-333
    • /
    • 2006
  • 많은 식물 추출물들은 항산화 효능을 지니고 있으나 대량 생산 공정시 그들의 활성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본문에서는 대량 생산 공정을 거쳐 국내 유통 중인 43종의 식용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포착 효능, 그리고 superoxide anion 라디칼 포착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개똥쑥(Artemisia annua, whole plant), 마태(Ilex paraguariensis leaf), 엉겅퀴(Silybum marianum, fruit 그리고 leaf), 유근피(Ulmus pumila, bark),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fruit) 그리고 울금(Curcuma longa, root 그리고 stem) 추출물은 70 mg/g 이상의 높은 페놀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의 포착 효능에서 개똥쑥, 마테, 솔잎(Pinus densiflora, leaf), 엉겅퀴, 유근피, 그리고 울금 추출물의 $SC_{50}$ 값 측정 결과 각각 $53.96{\pm}0.81ppm,\;24.61{\pm}2.12ppm,\;35.96{\pm}1.11ppm,\;57.45{\pm}2.13ppm,\;55.25{\pm}1.65ppm$ 그리고 $12.99{\pm}1.67ppm$으로 나타났다(비타민 C의 $SC_{50}$값: $3.86{\pm}0.81ppm$). 또한 superoxide anion 라디칼 포착 효능에서는 개똥쑥, 계피(Cinnamomum zeylunicum, bark), 마테, 복분자(Rubus coreanus, fruit 그리고 leaf), 상엽(Morus alba, leaf), 솔잎, 엉겅퀴, 유근피, 운지버섯, 울금, 자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그리고 히비스커스(Hibiscus sabdariffa, leaf) 그리고 flower) 추출물의 $SC_{50}$ 값 측정 결과 각각 $53.21{\pm}1.83ppm,\;50.12{\pm}2.12ppm,\;5.59{\pm}0.84ppm,\;41.60{\pm}8.93ppm,\;20.19{\pm}0.97ppm,\;15.19{\pm}1.66ppm,\;21.20{\pm}1.88ppm,\;15.71{\pm}0.91ppm,\;55.48{\pm}2.42ppm,\;52.12{\pm}2.44ppm,\;23.80{\pm}1.98ppm$ 그리고 $11.14{\pm}0.51ppm$인 것으로 나타났다(비타민 C의 $SC_{50}$ 값:$9.61{\pm}0.93ppm$). 특히 마테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으면서 DPPH 라디칼과 superoxide anion 라디칼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포착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마테와 솔잎의 상업적인 추출물은 기능성 항산화제로서 유용한 소재로 사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형 X11ARIMA 프로시져에 관한 연구 (X11ARIMA Procedure)

  • 박유성;최현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2호
    • /
    • pp.335-350
    • /
    • 1998
  • X11ARIMA는 1965년 미국 센서스국에서 개발된 X11분석 방법에 기초한 시계열 분석방법으로 Dagum(1975)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기법은 Dagum(1988)에 의하여 북미지역의 174개의 경제지수를 바탕으로 일부 기본모형이 수정·보완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회귀 모형과 ARIMA모형을 동시에 고려하여 특이치와 추세 변환효과(outlier arid Trend-change effects), 계절변동(seasonal effect), 그리고 달력효과(calendal effect) 등을 추정한 William 등(1995)과 Chen과 Findley(1995)의 X12ARIMA분석 방법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위의 모든 기법들은 주로 북미지역의 경제지수를 기초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산업중분류에서 산출되는 102개(생산(27), 출하(27), 재고(27), 가동률(21))의 지수에 대한 우리나라의 표준 ARIMA모형을 제시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이동평균항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설, 추석 등의 명절효과를 태양력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X12ARIMA에서 사용되는 회귀모형과 ARIMA모형을 동시에 고려하는 명절효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PDF

큰잎자작(Betula maximowicziana) 변재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Sapwood of Betula maximowicziana)

  • 이학주;加藤厚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45-51
    • /
    • 2003
  • 큰잎자작 변재의 메탄올(methanol, MeOH) 조추출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PC 등의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4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단리물질에 대한 NMR 등의 기기분석 결과, flavonoid 및 lignan 배당체인 catechin 7-O-𝛽-D-xylopyranoside, lyoniresinol 9'-O-𝛽-D-glucopyranoside, 그리고 diarylheptanoid인 11-oxo-3, 8, 12, 17-tetrahydroxy-9-ene [7, 0]-metacyclophane 및 11-oxo-3, 8, 9, 10, 12, 17-hexahydroxy [7, 0]-metacyclophane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1. 생육특성 및 생초수량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1. Growth Characteristics and Fresh Matter Yield)

  • 김원호;서성;정의수;신동은;박태일;고종민;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08
    • /
    • 2002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하고자 경기 수원(축산연), 전북익산(호시), 경남 밀양(영시)에서 1999∼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수원지역 보리의 출수기는 4월 30일에서 5월 4일까지고 익산지역은 4월 24일에서 5월 3일 그리고 밀양지역은 4월 17일에서 29일까지였다. 그리고 황숙기 수확시 생초수량은 수원, 익산 그리고 밀양에서 각각 24.07∼29.88, 23.18∼32.07 그리고 17.16∼28.11톤/㏊ 범위였다. 또한 건물수량에 있어서도 각각 8.78∼9.98, 6.66∼12.73 그리고 7.23∼11.57톤/㏊ 범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