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octen-3-ol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1초

Agaricus bisporus의 Lipoxygenase와 Hydroperoxide Lyase를 이용한 천연 (-)-1-Octen-3-o1 생산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Effective Bioproduction of Natural (-)-1-Octen-3-ol by Lipoxygenase and Hydroperoxide Lyase from Agaricus bisporus)

  • 김경주;김용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99-903
    • /
    • 2005
  • 1-octen-3-ol은 버섯향의 성분 중 가장 중요한 방향 물질이다 소비자의 천연 버섯향에 대한 선호도가 상승함에 따라 유기합성으로 만들어지는 광활성 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있는 ($\pm$)-1-octen-3-ol와 다르게 더 강한 향의 강도를 갖는 천연 광활성의 (-)-1-octen-3-ol 생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octen-3-ol은 호기성 상태에서 시장에서 구입한 버섯으로 추출된 lipoxygenase(LOX)와 hydroperoxide Lyase(HPOL)을 이용하여 생합성되었다 $75\%$이상의 linoleic acid를 포함하고 있는 경북 의성 에서 생산된 홍화유는 lip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였다. 가수분해된 linoleic acid는 LOX에 의하여 광활성을 지닌 10-hydroperoxy linoleic acid로 생물전환되었다. 10-hydroxyperoxide은 HPOL에 의해 (-)-1 octen-3-ol로 분해되었다. (-)-1-octen-3-ol을 상업적으로생산하기 위하여 5-liter jar fermenter와 충남 부여에서 수확된 Agaricus bisporus 자실체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1-octen-3-ol은 $4^{\circ}$C, pH 6.5, 800 rpm에서 최대 748 mg의 (-)-1-octen-3-ol(버섯 kg 당)이 생물전환되었다.

감자전분을 이용한 1-Octen-3-ol의 미세캡슐화 (Microencapsulation of 1-Octen-3-ol with Potato Starch)

  • 유병진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8권2호
    • /
    • pp.51-55
    • /
    • 2003
  • 송이 향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감자전분을 matrix로 사용하여 송이 향의 주성분인 1-octen-3-ol을 미세캡슐화 하는 조건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분농도5.5% 이하 용액의 점도는 $60^{\circ}C$에서 420 cP이하를 나타내었고 6.0% 이상의 용액은 820cP 이상을 나타내어 이 농도를 경계하여 점도의 변화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균질화하기 전과 후의 감자전분용액의 점도변화에서는 감자전분에 emulsifier와 1-octen-3ol을 첨가하여 균질화한 에멀젼 용액의 점도가 균질화하기 전 용액의 점도보다1/2 이하 값을 나타내어 균질화 공정이 용액의 점도를 낮추었다. 감자전분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 PDF

한국산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 Cultivated in Korea)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5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4종의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 시간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 하였다. 확인된 54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저온성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ASI 201)에서는 1-octen-3-ol, 3-octanone, 3-octanol등이, 원형 느타리 (Pleurotus florida--ostreatus-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hexanol, 3-octanone, 3-octanol, phenol등이, 애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pentanal, n-hexanol, n-pentanol, 3-octanone, 3-octanol, 1,5-octadien-3-one등이었다. 특히 확인된 성분중에는 탄소수가 8개인 alcohol 및 carbonyl화합물이 많았으며 전체 향기성분에 대한 $C_8$화합물의 비율은 각각 56.60%, 72.46%, 54.84%, 35.85%이었다.

  • PDF

능이버섯의 건조과정 중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Aroma Characteristics of Neungee (Sarcodon aspratus) during Drying Period)

  • 민용규;정옥진;박지은;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80-786
    • /
    • 2002
  • 능이버섯의 건조특성에 미치는 외부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도 3수준$(30^{\circ}C,\;50^{\circ}C,\;70^{\circ}C)$과 풍속 3수준(0.5 m/sec, 1.0 m/sec, 1.5 m/sec)에서 능이버섯의 건조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에서의 향기성분과 건조과정 중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능이버섯의 건조는 상당기간이 감률건조기간으로 나타났으며, 건조속도는 건조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했으나, 풍속은 건조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나타났다. 건조온도 $50^{\circ}C$, 풍속 1.5 m/sec의 건조조건에서 1-octen-3-ol, 3-octanone, 1-octanol, 3-octanol등의 peak area가 각각 17976, 11570, 1016, 1077로 다른 건조온도 조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건조시간에 따른 능이버섯의 주요 향기성분 함량 변화를 보면 1-octen-3-ol을 비롯한 1-octanol, 2-octen-1-ol, 3-octanol 등의 $C_8$ 화합물 peak area가 크게 감소하였고, C8 화합물 중 1-octen-3-one, 3-octane등의 상대적 함량비는 증가하였다. 또한 건조과정 중 butyric acid, propanoic acid, 3-methyl thiopropanol 등과 같은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알긴산을 이용한 송이 향의 캡슐화 (Encapsulation of Pine Agaric ( Tricholoma matsutake) Flavor with Alginates)

  • 유병진;임영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6
    • /
    • 2002
  • 국내산 송이의 특징인 송이 향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알긴산으로 송이 향의 주된 성분인 1-oc-ten-3-ol을 캡슐화 공정과 송이 향의 잔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무건조를 위한 alginates의 점도는 350cp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첨가한 citric acid 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낮아졌으며, 또한 $0.1\%의 농도에서 150cp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1-octen-3-ol과 유화제를 첨가하여 에멀젼시킨 alginates 용액의 점도는 에멀젼시키기 전의 점도보다 높았지만 150cp 이하를 나타내 분무 건조 공정에는 영향이 없었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가 낮을수록 용액의 EAI는 증가하였으나 ESI는 감소하였고 캡슐의 1-octen-3-of의 잔존량이 감소하였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는 공정에서 citric acid 첨가 후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점도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에멀전 전후의 점도는 큰 차이 없었다 생송이를 알긴 산용액으로 캡슐화할 때 첨가되는 대두유의 량이 많을수록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생송이를 alginates용액으로 캡슐화한 후 진공동결건조한 캡슐이 풍건한 것보다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능이버섯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Neungee(Sarcodon aspratus))

  • 정옥진;윤향식;민용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7-312
    • /
    • 2001
  • 능이버섯의 향기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SDE, SFE, headspace 로 추출하고 GC, GC-MS로 동정하였으며, 능이버섯의 향기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GC-olfactometry 방법중 AEDA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SDE 추출물에서는 33개, SFE추출물에서는 26개, headspace 추출물에서는 17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확인된 화합물의 주성분은 1-octen-3-ol, 1-octen-3-one, 3-octanone, 2-octen-1-ol, 3-octanol, 1-octanol 등의 $C_8$ 화합물과 benzeneacetaldehyde등이었다. AEDA 결과 능이버섯의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생능이버섯내(unknown), 생버섯내(1-octen-3-ol), 곰팡이내(1-octen-3-one), 흙내(3-octanol), 풀내(1-octanol), 강한 풀내(2-octenal), 단 꽃내(benzeneacetaldehyde), 목재내(L-linalool), 치즈내(3-hydroxy-2-butanone), 상큼한 단내(2-decanone), 약간의 불쾌한 고기내(3-methyl thiopropanol), 시큼한 우유내(propanoic acid) 등으로 나타났다.

  • PDF

Biosynthesis of (R)-(-)-1-Octen-3-ol in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with Lipoxygenase-1 and Hydroperoxide Lyase Genes from Tricholoma matsutake

  • Lee, Nan-Yeong;Choi, Doo-Ho;Kim, Mi-Gyeong;Jeong, Min-Ji;Kwon, Hae-Jun;Kim, Dong-Hyun;Kim, Young-Guk;Luccio, Eric di;Arioka, Manabu;Yoon, Hyeok-Jun;Kim, Jong-G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296-305
    • /
    • 2020
  • Tricholoma matsutake is an ectomycorrhizal fungus, related with the host of Pinus densiflora. Most of studies on T. matsutake have focused on mycelial growth, genes and genomics, phylogenetics, symbiosis, and immune activity of this strain. T. matsutake is known for its unique fragrance in Eastern Asia. The most major component of its scent is (R)-(-)-1-octen-3-ol and is biosynthesized from the substrate linoleic acid by the sequential reaction of lipoxygenase and peroxide lyase. Here,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biosynthesis of (R)-(-)-1-octen-3-ol of T. matsutake using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s a host. In this study, cDNA genes correlated with these reactions were cloned from T. matsutake, and expression studies of theses genes were carried out in th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product of these genes expression study was carried out with Western blotting. The biosynthesis of (R)-(-)-1-octen-3-ol of T. matsutake in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subsequently identified with GC-MS chromatography analysis. The biosynthesis of (R)-(-)-1-octen-3-ol with S. cerevisiae represents a significant step forward.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IV) -양송이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Agaricus Bisporus) of Korea)

  • 안장수;김성곤;박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36
    • /
    • 1987
  • 한국산 양송이버섯의 생것과 가열한 것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양송이에서는 향기성분 13종을 동정하였으며 이들중 1-octen-3-ol이 73.13%로 가장 많았고 2-octenol 7.44%, 3-octanone 3.09%, 3-octanol 1.42%로 전체의 85.08%를 차지하였다. 2) 가열중인 것에서도 13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역시 1-octen-3-ol이 68.86%로 가장 많았으며 2-octenol이 8.42%, 3-octanone 3.75%, Benzyl alcohol 3.23%, 3-octanol 1.97%로 전체의 86.23%를 함유하였다.

  • PDF

청국장 숙성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Flavor of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 최성희;지영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9-234
    • /
    • 1989
  • 균주에 따른 청국장 발효중의 향기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증자대두에 Bacillus subtilis 와 Bacillus natto균을 각각 접종시켜 청국장을 만들어 연속 증류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추출 농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으로 3-methyl-1-butanol, 2-methylpropanoic acid 및 1-octen-3-ol 등이 밝혀졌고, B. subtilis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숙성중에 이들 화합물들이 대체로 남아 있었으나, trimethylpyrazine, tetramethylpyrazine 등 7종류의 alkylpyrazine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B. natto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들은 대체로 감소하고 alkylpyrazine 류 특히 tetramethylpyrazine 류는 숙성중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kylpyrazine 류는 대두 냄새를 masking 하고 청국장의 향기에 크게 기여함을 알았다. 또 이들 향기성분들의 함량차는 두 가지 균을 접종한 청국장이 각각 다른 향기를 내는 요인이 되는 것 같다.

  • PDF

여름 느타리 버섯 (Pleurotus sajor-caju) 저장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of Pleurotus sajor-caju During Storage)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2-298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여름 느타리 버섯(Pleurotus sajor-caju)을 실온과 냉장하에서 저장하면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시간 비교에 의해 향기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여 보았다. 총 aroma contentrates의 함량은 냉장 저장시는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온 저장시는 큰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확인된 38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실온 저장시 ${\delta}-decalactone$만 약간증가하였으나 기타의 성분들은 현저히 감소한 반면 냉장 저장시는 2-methyl butanal, 1-octen-3-ol, cis,cis-1,5-octadien-3-ol, pentadecanoic acid등은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3-octanone, 1-octen-3-one, 3-octanol, 5-undecanol등은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중량 감소와 관능적 특성은 실온 저장시 냉장 저장보다 심한 변화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