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일 압축강도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8초

마이크로 시멘트로 그라우팅 된 모래의 일축압축강도 예측 (Estimation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 of Microfine Cement Grouted Sand)

  • 남홍엽;이우진;이창호;추현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7호
    • /
    • pp.5-15
    • /
    • 2018
  • 그라우팅을 통한 지반의 보강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코어링(coring)을 통한 일축 압축실험이 널리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코어링 시 원지반이 교란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비싸며, 그라우팅 된 모래의 시편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시멘트로 그라우팅 된 모래의 일축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비교/분석하고 28일 일축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마이크로 시멘트로 그라우팅된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인공 파쇄사 (K4, K5 및 K6)의 일축압축강도는 양생기간 28일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8일을 기점으로 강도의 증가율이 급격히 하락하였다. 물/시멘트(W/C) 비는 그라우팅 된 모래의 일축압축강도에 가장 큰 영향 인자이며, 일축압축강도는 W/C가 감소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일축압축강도는 상대밀도가 높아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모래의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W/C=1, 및 K6($D_{50}=0.47mm$) 모래의 경우 필터레이션에 의하여 K4($D_{50}=1.08mm$)와 K5($D_{50}=0.80mm$) 모래의 일축압축강도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마이크로 시멘트로 그라우팅된 모래의 일축압축강도를 모래의 평균입경($D_{50}$), 간극률(n)과 물/시멘트(W/C) 비의 함수로 제안하였다.

건조수축을 고려한 유동성 채움재 배합비 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CLSM Mixing Ratio Considering Dry Shrinkage)

  • 전병원;김병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12호
    • /
    • pp.7-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물과 유동성 채움재, 팽창제의 배합을 통하여 건조수축으로 인한 시공 불량과 장기적인 압축강도 저하를 최소화 하고자 물과 유동성 채움재를 각각 1:0.4, 1:0.6, 1:0.8, 1:1.0, 1:1.2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배합 조건당 팽창제 2%, 5%를 첨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조건에서 물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과 동시에 팽창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에 사용되는 기성품(유동성 채움재) 대비 재령 15일까지의 압축강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재령 28일 기준 압축강도가 재령 15일 대비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기성품(유동성 채움재)와 유사한 공학적 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다양한 배합비 산정 시험결과 중 가장 양호한 압축강도와 팽창성을 보인 조건(물과 채움재를 1:0.8로 배합, 팽창제 5% 첨가)을 적용하여 현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재령 28일 경과 후 핸디형 GPR 탐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 파형을 관찰한 결과 공동 파형이 완화 또는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합재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염화물 확산 및 단열온도 상승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Chloride Diffusivity and Adiabatic Temperature Rise of Marine Concrete Depending on Binder Type)

  • 배준영;조성현;신경준;김윤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411-418
    • /
    • 2013
  • 최근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및 수화열 저감을 위한 재료적 대책으로 혼합시멘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혼합시멘트는 염해 및 수화열 저감 성능이 우수한 결합재이지만 재령 28일까지의 압축강도 발현이 작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현행 해양 콘크리트 시방 규정은 높은 수준의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재령 28일에 엄격히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시멘트를 사용하면 물-결합재비는 작고 단위결합재량은 많은 해양 콘크리트 배합이 예상된다. 이와 같이 높은 압축강도 위주의 해양 콘크리트 배합은 염해 내구성 확보에 유리하지만 수화열 저감에는 불리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물-결합재비 및 결합재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고 예측하였다. 검토 및 예측 결과, 고로슬래그시멘트(BSC) 및 삼성분계 혼합시멘트(TBC) 배합은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 배합보다 재령 28일까지의 압축강도 발현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재령 56일에는 유사한 압축강도를 발현하였으며 염해 및 수화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행 해양 콘크리트의 최소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단열온도 상승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미치는 양생온도와 양생시점의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Curing Time and Temperature o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김진근;문영호;어석홍;최응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3-1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강도에 미치는 양생온도의 영향이 양생시점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실험과 기존의 모델식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양생시점의 영향을 고려한 수정된 등가재령식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강도예측식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2종류의 물.시멘트비에 대하여 각각 11종류의 양생이력을 고려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로는 3종류의 양생온도 (5 $^{\circ}C$, 20 $^{\circ}C$, 4$0^{\circ}C$)와 4종류의 양생시점(0~1일. 1~2, 2~3, 6~7일)을 선정하였다. 또 기존의 Saul 및 Arrhenius 모델식을 이용하여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양생시점의 영향을 도입한 각각 수정된 등가재령식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초기재령에서 고온 양생한 경우에는 초기에는 높은 강도를 나타내지만 재령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낮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 초기에 저온으로 양생한 콘크리트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기존의 등가재령식에서는 같은 등가재령에서도 압축강도는 양생시점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모델식은 특히 초기재령에서의 강도예측결과가 실험결과와 잘 맞지 않았으나 이 논문에서 제시된 수정된 등가재령식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제지애쉬가 적용된 CLSM의 일축압축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LSM with Paper Sludge Ash)

  • 박정준;이인환;신은철;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53-26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CLSM을 개발하기 위하여, 산업폐기물인 제지애쉬를 이용한 CLSM의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CLSM 배합조건에 따른 유동성시험 및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유동성시험 결과, 배합조건에 따라 유동성 기준을 만족하는 함수비의 범위는 24%~3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강도는 재령일 1일에서 7일 사이에 높은 강도증가율을 보였으며, 이때 강도의 크기는 재령일 28일을 기준으로 발현된 전체 강도의 약 5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CLSM의 강도 증가는 플라이애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발하고자 하는 CLSM의 기준강도를 고려하면 제지애쉬의 배합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높은 시멘트 비율을 적용한 경우의 강도가 낮은 경우에 비하여 크게 발현되었지만, 기준강도를 고려하면 시멘트의 비율을 5%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배합조건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라우트 모르타르 배합조건에 따른 물리적 성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Compound Condition of Grout Mortar)

  • 문태철;강추원;이효
    • 화약ㆍ발파
    • /
    • 제27권1호
    • /
    • pp.32-3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모르타르의 각 배합비별 양생기간에 대한 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여 일축압축강도를 비교한 결과, 혼합수의 양이 적을수록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각 배합비에 따라 3일에서 7일 사이, 10일 사이에 강도가 일정하다 갑자기 증가하는 구간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아송비는 0.13~0.27까지 걸쳐 나타났으며, 영률의 경우도 13.79~33.25MPa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아송비는 일축압축강도의 감소나 증가에 특별한 상관성이 없고, 영률의 경우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수비와 모래비에 의해 강도의 변화가 일어나 영률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일에서 7일 사이에 강도의 변화가 심함을 알 수 있다.

혹한기 고강도 콘크리트 매스부재의 현장 압축강도 평가 (Evaluation on In-Site Compressive 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Mass Elements under Cold Weather)

  • 문재성;양근혁;김도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89-59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혹한기 환경에서 매스부재에서 수화열을 고려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제 압축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목업 실험체는 가로${\times}$세로${\times}$높이가 $2.0{\times}1.2{\times}1.0m$로 제작하였다. 콘크리트 현장 압축강도 발현 특성은 $5^{\circ}C$에서 기건양생된 원주형 공시체와 수화열의 영향이 반영된 목업 벽체에서 채취된 코어 실험체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목업 벽체에서 채취된 코어의 재령 3일까지 압축강도는 실린더 강도에 비해 30% 높았는데, 이는 시멘트계 재료의 수화열에 의한 고온의 양생온도 효과 때문이다. 또한 성숙도 함수에 기반한 예측모델과 실험결과의 비교로부터 매스 부재에서 콘크리트의 현장 압축강도 발현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화열의 양생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제시될 수 있다.

고로슬래그와 무수석고가 숏크리트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last Furnace Slag and Anhydrite on Strength of Shotcrete)

  • 유성희;신경준;김윤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7-95
    • /
    • 2012
  • 이 연구는 일반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되는 고로슬래그 및 무수석고를 숏크리트에 적용하였을 때에 압축강도, 휨강도, 응결시간, 리바운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종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10% 치환할 때에 초결과 종결의 요건을 모두 만족한 반면, OPC를 20% 치환한 배합은 종결이 지연되어 숏크리트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 시험 결과, OPC를 10% 치환한 배합은 영구지보재로서 목표강도를 1일과 28일 재령에서 모두 만족하였다. 특히 OPC를 고로슬래그와 무수석고로 각각 5%씩 치환한 배합의 압축강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배합의 리바운드를 측정한 결과, OPC만을 결합재로 사용한 배합에 비하여 23% 감소되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유동성 채움재의 조기 강도 및 강성 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ng Early-age Strength and Stiffness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 손동건;정인업;김동주;변용훈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33-140
    • /
    • 2021
  • 기존 현장시험법을 이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강도 및 강성 특성을 추정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WD를 이용하여 CLSM에 대한 강성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일축압축강도시험에서 도출되는 일축압축강도와 할선탄성계수에 대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5종류의 배합비로 조성된 CLSM시료의 유동성 및 경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플로우시험, 응결시간시험을 수행하였다. 조기 강도 및 강성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생 1일 및 7일이 경과된 시료를 이용하여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CLSM시료의 회복탄성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LWD 시험도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양생 1일된 시료에서는 초속경 모르타르의 비율이 증가될수록 일축압축강도와 할선탄성계수가 동시에 증가하였으며, 초속경 모르타르의 비율이 가장 큰 시료에서 양생 7일 후 급격한 일축압축강도와 할선탄성계수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LWD 시험결과, 양생 1일된 시료에서는 초속경 모르타르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회복탄성계수가 증가되었으나, 양생 7일이 경과되면 초속경 모르타르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회복탄성계수가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상관성 분석결과, 일축일축압축강도와 할선탄성계수가 증가할수록 회복탄성계수도 증가되는 선형관계를 보여주었다.

혼화재 다량 치환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을 위한 혼화재 치환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ineral Admixture Replacement Ratio for Field Application of Concrete with High Volume Mineral Admixture)

  • 이재현;김용로;박종호;정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93-100
    • /
    • 2013
  • 최근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치환하는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혼화재 다량 치환 콘크리트를 실제 현장에서 골조용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정 치환율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화재 다량 치환 콘크리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작업성을 동일하게 확보한 조건에서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및 양생온도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검토 결과, 플라이애시의 치환율이 10% 증가할시 재령 3일 압축강도는 약 1.4MPa,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약 3.8MPa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로슬래그의 치환율이 10% 증가할시 재령 3일 압축강도는 약 1.0MPa,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약 0.9MPa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공동주택의 골조용 혼화재 다량 치환 콘크리트의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