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diglycerid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 손양도;최춘언;안봉전;손규목;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26-232
    • /
    • 1985
  • 재래식메주의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은 분리하였으며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한 콩과 삶은콩으로부터 얻은 조지질의 분획은 중성지질이 각각 92.47%, 92.35%이었으며, 인지질 및 당지질이 4.64%, 4.88%로 각각 나타났나. 발효과정중 중성지질은 80.59%까지 감소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2. 침지한 콩과 삶은콩의 비극성 지질에서 triglyceride함량은 89.66%, 87.83%로 주류를 이루었고,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diglyceride 및 sterol이 발효과정중 그 함량이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는 크게 감소했다. 3. 침지한 콩과 삶은콩에서, 조지질, 증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4{\sim}58%$, oleic acid $22{\sim}20%$, palmitic acid $10{\sim}12%$, stearic acid $3{\sim}5%$였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과정 중 당지질에서 myristic acid가 발효 2주때 부터 나타나며 약 2%정도를 유지했다. 4. 메주 발효기간 동안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2주째 부터 점차 감소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약간씩 감소했으며, linolenic acid는 인지질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는 약간씩 증가했다. 5. 발효기간 동안 당지질 분획에서 myrist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3주째 최대치를 보였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3주째 까지 증가한 후 차차 감소하였고 linoleic acid는 1주째 부터 6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인삼(人蔘)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Panax ginseng)

  • 신효선;이민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5-192
    • /
    • 1980
  • 한국산(韓國産) 수삼(水蔘)과 건삼(乾蔘)을 클로로포름-메탄올(2:1, v/v) 및 에틸 에테르로 각각 추출(抽出)한 지방질(脂肪質)은 관, 얇은 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수삼(水蔘)은 약 0.62%의 조(粗) 지방질(脂肪質)을 함유하고 있었고, 그 중 중성 지질은 45.28%, 당 지질은 18.12%, 인지질은 33.60%였다. 그러나 건삼(乾蔘)은 약 0.82%의 조지방질을 함유하고 있었고, 그중 중성 지질은 86.48%, 당 지질은 9.20%, 인 지질은 4.32%였다. 2. 수삼(水蔘)과 건삼(乾蔘)의 중성(中性) 지질(脂質) 중에는 다같이 triglyceride(중성 지질의 $37.6{\sim}42.5%$)와 스테롤 에스테르($16.5{\sim}19.6%$)가 주된 성분이었고, 그외에 monoglyceride, diglyceride,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 유리(遊離) 스테롤이 부성분(副成分)으로 존재 하고 있었다. 3. 당(糖) 지질(脂質) 중에서는 digalactosyl diglyceride (당지질의 23.5%)가 수삼(水蔘)중에, steryl glycoside(28.9%)가 건삼(乾蔘)중에 각각 그 함량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esterified steryl glycoside와 monogalactosyl diglyceride가 수삼(水蔘)과 건삼(乾蔘)에 다같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그외에 수삼(水蔘)에는 4가지, 건삼(乾蔘)에는 2가지의 미확인 당지질이 존재하고 있었다. 4. 수삼(水蔘)과 건삼(乾蔘)의 인(燐) 지질(脂質) 중에는 다같이 prosphatidyl choline(인 지질의 $31.3{\sim}31.9%$과 phosphatidyl glycerol $34.8{\sim}36.7%$이 주된 성분이었고 그 외에 phosphatidyl ethanolamine과 phosphatidy1 inositol이 존재하고 있었다. 5. 수삼(水蔘)과 건삼(乾蔘)의 주요(主要) 지방산은 다같이 linoleic $62.29{\sim}64.32%$, palmitic $15.63{\sim}13.16%$, oleic $5.73{\sim}7.23%$ 및 linolenic acid$3.52{\sim}6.11%$였다. 중성 지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총지방질의 지방산조성과 그 패턴이 비슷하였다. 그리나 당 지질과 인 지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 지질 획분에 비하여 linoleic acid의 함량이 적고 Palmitic acid의 함량은 많은 편이었다.

  • PDF

감자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 제(第) 2 보(報) :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중의 중성(中性) 지질(脂質)의 조성(組成)에 관하여 -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Potato Tubers - II. Composition of Neutral Lipids in Free and Bound Lipids -)

  • 이상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8-303
    • /
    • 1979
  • 시험 재배한 4가지 감자 품종에서 추출한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중의 중성(中性) 지질(脂質)을 구성하는 지방질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등의 방법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 중의 중성(中性) 지질(脂質)로는 esterified sterol, triglyceride, diglyceride, free fatty acid, free sterol등의 성분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중 triglyceride와 esterified sterol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한편 유리(遊離) 지질(脂質) 중의 triglyceride와 esterified sterol의 함량은 총(總) 지방질(脂肪質)에 대하여 각각 10 및 2.7 %로 결합(結合) 지질(脂質) 중의 3.0 및 0.8% 보다 각각 3배 정도로 많았다. 2.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 중의 중성(中性) 지질(脂質)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 조성은 총(總)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과 같았으며 다만 유리(遊離) 지질(脂質)의 중성(中性) 지질(脂質) 중에는 총(總) 유리(遊離) 지질(脂質) 보다 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적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것이 다른 점이었다. 또 중성(中性) 지질(脂質)을 구성하는 각 지방질의 주된 지방산 조성은 총(總) 중성(中性) 지질(脂質)의 구성 지방산 조성과 그 패턴이 거의 같았다.

  • PDF

경립종 옥수수의 성장과정중 비극성 지질의 지방산 변화 (Change of Fatty Acid of Non-Polar Lipid in Flint Corn During the Growth Process)

  • 박창일;김덕진;김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11-815
    • /
    • 1994
  • In this study the quantity and the ratio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investigated with using gas chromatography after non-polar lipid of the flint corn in the growing period was extracted with the solution of chloroform : methanol (2 : 1) and then separated by the SACC method. Neutral lipid was separated into monoglyceride(MG), 1, 3-diglyceride (1, 3-DG) , free fatty acid (FFA) , triglyceride (TG), cholesteryl ester (CE). Fatty acid of each spot was mainly composed of linoleic , oleic and palmitic acids. Lonolieic acid decreased in MG(54.5-51.4%), CE(31.3-28.9%) but increased ini TG(57.2-63.8%) during growth process. Olec acid increased in MG(25.7-29.3%), 1, 3-DG(24.7-28.9%), CE(16.7-19.9%) but decreased in TG28.6-23.1%). Palmitic acid decreased in MG(12.8-11.5%), FFA(25.7-24.1%), TG(10.4-9.3%) but increased in CE(26.4-31.5%) during a growth process. The ratio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 in TG(7.01-7.84%) was higher in five spots of neutral lipid and in 1, 3-DG(4.61-4.16%) decreased growth process but increased in MG(5.06-5.60%), TG(7.01-7.84%).

  • PDF

Comparative Kinetic Studies of Two Staphylococcal Lipases Using the Monomolecular Film Technique

  • Sayari, Adel;Verger, Robert;Gargouri, Youssef
    • BMB Reports
    • /
    • 제34권5호
    • /
    • pp.457-462
    • /
    • 2001
  • Using the monomolecular film technique, we compared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Staphylococcus simulans lipase (SSL) and Staphylococcus aureus lipase (SAL). These two enzymes act specifically on glycerides without any detectable phospholipase activity when using various phospholipids. Our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rate of racemic dicaprin (rac-dicaprin) hydrolysis was displayed at pH 8.5, or 6.5 with Staphylococcus simulans lipase or Staphylococcus aureus lipase, respectively The two enzymes interact strongly with egg-phosphatidyl choline (egg-PC) monomolecular films, evidenced by a critical surface pressure value of around $23\;mN{\cdot}m^{-1}$. In contrast to pancreatic lipases, $\beta$-lactoglobulin, a tensioactive protein, failed to inhibit Staphylococcus simulans lipase and Staphylococcus aureus lipase. A kinetic study on the surface pressure dependency, stereoselectivity, and regioselectivity of Staphylococcus simulans lipase and Staphylococcus aureus lipase was performed using optically pure stereoisomers of diglycerides (1,2-sn-dicaprin and 2,3-sn-dicaprin) and a prochiral isomer (1,3-sn-dicaprin) that were spread as monomolecular films at the air-water interface. Both staphylococcal lipases acted preferentially on distal carboxylic ester groups of the diglyceride isomer (1,3-sn-dicaprin). Furthermore, Staphylococcus simulans lipase was found to be markedly stereoselective for the sn-3 position of the 2,3-sn-dicaprin isomer.

  • PDF

산촉매에 의한 대두유의 전이에스테르화 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of Soy Bean Oil by Acid Catalysts)

  • 신용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1-238
    • /
    • 2009
  • Characteristics of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triglycerides in soy bean oil and methanol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acid catalysts. such as sulfuric acid and PTS (p-toluene sulfonic acid). Concentrations of diglyceride and monoglyceride which were intermediates in the reaction mixtures, were far below 10% of triglyceride under any reaction conditions. Thus, conversion of the reaction could be determined from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Dried PTS had more superior catalytic power than sulfuric acid for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soy bean oil and methanol. When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of soy bean oil was catalyzed by 1 wt% of PTS at methanol stoichiometric mole ratio of 2 and $65^{\circ}C$, final conversion reached 95% within 48 hours. If FAME (fatty acid methyl ester) was added into reaction mixture of soy bean oil, methanol and PTS catalyst, it converted reaction mixture into homogeneous phase, and substantially increased reaction rate. When reaction mixture was freely boiling which had equal volumetric amount of FAME to soy bean oil, methanol stoichiometric mole ratio of 2 and 1 wt% of PTS, final conversion achieved value of 94% and temperature approached to $110^{\circ}C$ within 2 hours.

맥아제조시 유리.결합 및 중성 지질의 변화 (Changes in the Free, Bound and Neutral Lipids of Malt during Malting)

  • 신승렬;송준희;김광수;박정륭;이갑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46-351
    • /
    • 1986
  • 이조대맥의 맥아제조시 유리 및 결합지질과 중성지질의 함량변화와 구성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이조대맥의 지질함량 27.9mg/g-d.w.중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이 각각 22.6, 5.3mg/g-d.w.으로서 유리지질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맥아제조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다 같이 감소하였다. 2. 이조대맥의 중성지질의 함량은 21.0mg/g-d.w.으로서 전지질의 75% 정도 차지하였으며, 맥아제조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3. 이조대맥의 주지질인 중성지질의 조성은 triglyceride가 54.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free fatty acid, free sterol, 1,2-diglyceride, 1,3-diglyceride순이었고, 이들 중 triglyceride는 발아기간중 감소하였으며, free fatty acid와 sterol ester는 증가하였다. 4.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구성지방산은 다같이 linoleic acid가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palmitic acid, oleic acid 등이 주지방산이었다. 그리고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는 발아기간 중 증강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palmitic acid는 유리지질에서 증가하는 반면에 결합지질에서는 감소하였고, oleic acid는 유리지질에서 감소하는 반면 결합지질에서 변화하지 않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중성지질의 구성지방산 조성은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은 다같이 linoleic acid가 주지방산이었고 다음으로 palmitic acid, oleic acid순이었다. 발아과정중의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증가하는데 비하여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나 stearic acid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 밀배아유의 효소적 에탄올화 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Wheat Germ Oil during Enzymatic Ethanolysi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백성신;권경태;정고운;안향민;심정은;강희문;전병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546-552
    • /
    • 2009
  • 이번 연구에서는 밀배아유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밀배아유의 효소적 에탄올 반응을 수행했고, 효소적 에탄올 반응의 비가압조건과 가압조건을 중점적으로 비교 분석했다. 비가압조건 효소적 에탄올 반응 수행은 밀배아유와 99.9% 에탄올 혼합물에 두 가지 고정화 효소인 Lipozyme TL-IM과 Lipozyme RM-IM를 1~5 w%(밀배아 기준 무게비)로 25 ml 플라스크에 shaking machine 상에서 $40{\sim}70^{\circ}C$, 120 rpm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가압조건상에서의 효소적 에탄올 반응 조건은 고정화 효소 2 w%, 반응 시간 24시간, 반응 온도 $40{\sim}60^{\circ}C$ 및 반응 압력 75, 100, 150, 200 bar으로 수행했다. 실험으로부터 회수된 sample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분해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모노-, 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HPLC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밀배아유의 전반적인 전환율은 반응온도와 고정화 효소의 농도에 따라 증가했고, 최적 반응 조건은 가압조건 $50^{\circ}C$, 100 bar이었다.

계면활성제 첨가 고구마 전분의 호화와 노화특성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Surfactant Added Sweet Potato Starches)

  • 이신경;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63-471
    • /
    • 1994
  • 고구마 생전분에 0.5% 농도의 계면활성제, SSL(sodium stearoyl-2-lactylate), Dimodan(mono/diglyceride), SE 1670(sucrose fatty acid ester 1670)을 첨가하여 이들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과 호화 및 노화특성을 측정하였다. 고구마 전분 입자의 모양과 결정형은 계면활성제 첨가 후에도 변화되지 않았다. 계면활성제 첨가에 의해 총지방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은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SE1670>SSL>Dimodan순이었다. $8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개시온도는 무처리 전분이 $72.5^{\circ}C$였고 계면활성제 첨가시 변화는 없었으며 Dimodan과 SE1670 첨가 전분의 경우 최고 점도가 나타났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호화 양상은 무처리 전분의 피크 온도와 엔탈피는 각각 $73.7^{\circ}C$, 1.3 cal/g이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호화 피크 온도는 증가하였으나 엔탈피는 감소하였다. 알칼리 호화 양상은 초기에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보이다 완만해졌으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점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alpha}$-아밀라아제-요오드법에 의한 노화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SSL과 SE1670 첨가한 전분의 노화도는 감소하였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노화도는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무처리 전분에 비해 모두 감소하였다.

  • PDF

Effects of Cadmium on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s of the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 Shin, Byung-Sik;Choi, Ri-Na;Lee, Choong-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49-352
    • /
    • 2001
  • The beekeeping pest insect Galleria mellonella larvae(greater wax moth) were reared on an artificial diet contaminated indipendently with cadmium chloride($CdCl_2$) at different concentrations(1.25, 2.50, 5.00, 10.0 20.0, 40.0 ${\mu}g/g$ food fresh weight).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Cd exposure of G. mellonella may influence its whole body lipid contents. We decided, therefore, to analyze lipid content of G. mellonella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d. Lipi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photometrically by phosphovanillin metho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otal lipid content was found in Cd-contaminated larvae and pupae. In this study, six kinds of lipids were separated, and they were phospholipid, monoglyceride, diglyceride, sterol, fatty acids, triglyceride. And fatty acids were proved to consist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were found high rate in all groups, but stearic acid was low. In conclusion, lipid contents decreased in Cd-contaminated group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