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1,1-Trichloroethan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1초

열분해 반응기에서 1,1,2-trichloroethane의 분해특성과 Scale-up 설계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Study on the decomposition of 1,1,2-trichloroethane in a pyrolysis reactor and a numerical study for scale-up design)

  • 이채복;라승혁;강경태;김상용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7-418
    • /
    • 2002
  • 열분해는 독성이 강한 염화탄화수소의 처리뿐만 아니라 염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이들로부터 유용한 탄화수소를 얻을 수 있는 반응이다 Biomass에 열분해를 적용하여 가스상, 액상, 고상형태의 유동한 부산물로 전환시키고 있으며 현재 액상생성물은 외국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부산물이다. 1,1,2-trichloroethane(TCE)는 독성이 강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며 발암물질이다. (중략)

  • PDF

2,2-bis(2-methoxy-5-chlorophenyl) 1,1,1-trichloroethane의 合成 과 殺蟲能에 관하여 (Synthesis and Insecticidal effects of 2,2-bis(2-methoxy-5-chlorophenyl) 1,1,1-trichloroethane)

  • 이대수;김재항;최달형;최영연
    • 대한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49-152
    • /
    • 1966
  • 鹽素置換 anisol과 chloral hydrate를 縮合하면 D.D.T 類의 合成에서와 같이 bis compound의 化合物이 生成될 것이고 D.D.T 系統의 化合物처럼 殺蟲能이 있으리라고 豫測되므로 4-chloro anisol 과 chloral hydrate를 縮合하여 生成物의 構造를 檢討하였던 바 2,2 bis(2-methoxy-5-chlorophenyl) 1.1.1-trichloroethane임을 確認하였으며 反應條件과 「국화꼬마수염진딧물」 및 「귤응애」에 대한 殺충能을 檢討한 結果 前報文$^{(67)}$에서 發表한 바 있는 化合物들의 殺蟲能에 比하여 5培나 强한 殺蟲能을 가졌다는 事實을 알았다.

  • PDF

광양만 해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시.공간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VOCs in Seawater of Kwangyang Bay)

  • 주현수;이우범;박종천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513-519
    • /
    • 1999
  • 광양만 해수를 대상으로 총 17개의 조사정점을 선정, 1996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계절별로 19종류의 VOCs를 분석.조사하였다. 조사대상 VOCs 중 methylene chloride, tetrachloromethane, 1, 1, 1-trichloroethane, trichloroethane, 1, 1, 1, 2-tetra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bromoethane, dibromoethane, bromobenzene, 1-ethyl-3-methylbenzene등 총 10개 항목은 전체 조사지점 및 조사 시기 동안에 검출되지 않았으며, chloroform, 1, 2-dichloroethane, ethylbenzene, benzene, toluene, m, p-xylene, methylethylketone, styrene, hexane 등의 조사항목은 소량의 범위에서 조사시기와 정점을 달리하여 검출되었다. 특히 chloroform과 toluene은 0.6~49.9$\mu$g/1, 0.42~48.3$\mu$g/1로서 높은 농도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검출빈도도 다른 조사 대상 VOCs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화학적 환경요인과 VOCs와의 상관관계에서 toluene만이 수온(r=-0.524), pH(r=0.319)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항목은 매우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VOCs 상호간의 상관성에서 benzene의 경우 toluene, m, p-xylene, ethylbenzene과 높은 상관계수(r=0.549~0.662)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광양만에서 VOCs의 배출이 같은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토양의 휘발성 염화 탄화수소 화합물 증발 (Evaporation of Volatile Chlorinated Hydrocarbons in Soils)

  • 이준호;박갑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8-85
    • /
    • 2008
  • 독성 성질을 가진 휘발성 염소계 탄소수소류의 휘발특성에 대하여 실험실 규모의 토양컬럼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트점토성 토양과 사질성의 양질 토양 2개 컬럼으로부터 $12^{\circ}C$, $21^{\circ}C$의 각각 다른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총 10가지의 휘발성염소계 화학물질이 검출되었다. 1,1,1-tri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그리고 chloroform은 초기 농도대비 36.7~54.6% 제거되었고 carbon tetrachloride, 1,2-dichlorobenzene, tetrachloroethylene, 1,3-dichlorobenzene, dichlorobromethane 그리고 dibromochloromethane는 초기 농도대비 15.3~39.3% 제거되었으며 특히 bromoform 물질의 경우 초기 농도대비 10%이하의 가장 낮은 저감 비율이 보였다. 염소계 탄화수소류 초기 농도값, 토양 성상은 휘발량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그러나, 온도비교에서 $12^{\circ}C$보다 $21^{\circ}C$에서 저감비율이 더 높았다.

Characterization of a Newly Isolated cis-1,2-Dichloroethylene and Aliphatic Compound-Degrading Bacterium, Clostridium sp. Strain KYT-1

  • Kim, Eun-Sook;Nomura, lzumi;Hasegawa, Yuki;Takamizawa, Kazuhir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553-556
    • /
    • 2006
  • A cis-1,2-dichloroethylene (cis-DCE)-degrading anaerobic bacterium, Clostridium sp. strain KYT-1, was isolated from a sediment sample collected from a landfill site in Nanji-do, Seoul, Korea. The KYT-1 strain is a gram-positive, endospore-forming, motile, rod-shaped anaerobic bacterium, of approximately $2.5{\sim}3.0\;{\mu}m$ in length. The degradation of cis-DC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growth of the KYT-1 strain, and it was stopped when the growth of the KYT-1 strain became constant. Although the pathway of cis-DCE degradation by strain KYT-1 remains to be further elucidated, no accumulation of the harmful intermediate, vinyl chloride (VC), was observed during anaerobic cis-DCE degradation. Strain KYT-1 proved able to degrade a variet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cluding VC, isomers of DCE (1,1-dichloroethylene, trans-1,2-dichloroethylene, and cis-DCE),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1,2-dichloroethane, 1,1,1-trichloroethane, and 1,1,2-trichloroethane. Strain KYT-1 degraded cis-DCE at a range of temperatures from $15\;to\;37^{\circ}C$, with an optimum at $30^{\circ}C$, and at a pH range of 5.5 to 8.5, with an optimum at 7.0.

An NMR Study on Internal Rotation of $CH_3$ Group in 1,1,1-Trichloroethane

  • Hyung Namgoong;Kim, Joa-Jin;Lee, Jo-Woong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29-40
    • /
    • 2000
  • Coupled carbon-13 relaxation study of 1,1,1-trichloroethane dissolved in DMSO has been performed to gain some crucial insight into the dynamics of methyl group in this compound. For this purpose the relaxation behaviors of several observable magnetization modes for CH3 spin system generated by various perturbing pulse sequences have been carefully investigated and various dipolar spectral densities were estimated by nonlinear numerical fittings of the observed data with the relaxation curves, which were then employed to determine the three principal values for the diffusion tensor for end-over-end molecular rotation as well as internal rotational parameters of methyl group. In this process we could uniquely determine two correlation times $\tau$int(1) and $\tau$int(2) which give valuable information on internal rotor dynamics and thus obtained data wer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various proposed models for internal rotation. compound undergoes three-fold jumps at 25$^{\circ}$. The fact that the ratio $\tau$int(1) / $\tau$int(2) is close to 1.0 may be interpreted as indicating that methyl group in this C.

  • PDF

대체세정제 Supercleaner-2100A과 methaclean의 급성 독성 평가 (Acute toxicity test of Supercleaner-2100A and Hethaclean, widely used as cleaning agents)

  • 이세범;정윤미;안혜원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36-136
    • /
    • 2001
  • CFC-113 (1, 1, 2-trichloro-1, 2, 2-trifluoro ethane )과 1, 1, 1-trichloroethane은 여러 산업체에서 세정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나, 오존층 파괴물질로서 규제함으로써, 대체 세정제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대체 세정제는 세정성, 경제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여 선정하는데,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세정제가 인체 건강 및 환경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중략)

  • PDF

토양에서 유기화합물질의 침투 거동 연구 (Analysis on the Seepage Behavior of Organic Contaminants in Soil)

  • 이준호;한선향;박갑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9-496
    • /
    • 2013
  • 지하수계의 근간을 이루는 토양시스템은 유기화학물질에 오염되기 쉬운 환경에 놓인다. 이러한 토양의 유기화학물질 침투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점토, 실트 및 모래로 구성된 실험장치에 유기화학 물질 이동실험을 하였다. Chloroform, 1,1,1-trichloroethane 및 trichloroethylene은 토양을 통해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며, 투과된 오염물질의 질량은 전체 질량의 최소 4.6에서 최대 19.2% 범위를 보였다. Tetra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1,2-dichlorobenzene 및 1,3-dichlorobenzene은 토양 흡착에 의해 이동이 지연되어졌으며, 각 매개체의 0.6 ~ 4.8%가 표층에서 여과되는데 이용되었다. Carbon tetrachloride는 거의 투과되지 못하였고, 단지 0.1 ~ 0.4% 질량만이 침투거동에 도달하였다. Bromoform은 거의 투과되지 못하였으며, 브롬화(Br) 화합물의 중간 전환물질로도 확인되었다. 유기화학오염물들의 이동은 토양입자크기 및 수리전도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 여겨지나 본 연구에서는 유기화학오염물들의 이동은 점토, 실트 토양보다 모래 토양에서 더욱 빠르게 나타났다.

토양에 유출된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의 자연저감 : 수분과 탄소원의 영향 (Natural Dissipation of Chlorin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in Soil :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Carbon Source)

  • 조장환;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3호
    • /
    • pp.46-5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유출된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의 자연저감에 대한 흡착과 미생물분해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표적인 염소계 휘발성 유기물질인 TCA (1,1,1-trichloroethane), TCE (trichloroethylene) 및 PCE (tetrachloro ethylene)의 자연저감율을 비교하기 위해 세가지 조건에서 바이얼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멸균, (2) 비멸균 그리고 (3) 비멸균/탄소원첨가. 또한 각각의 조건에서 수분함량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로 적용하였다; (1) wilting point (12%, w/w), (2) field capacity (29%, w/w), (3) saturation (48%, w/w). 100일 경과 후, TCA 및 TCE는 field capacity에서 미생물에 의한 자연저감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일어났다. 비멸균/탄소원 첨가 토양은 멸균한 토양에 비해 유기물질의 제거율에서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CE는 미생물 및 탄소원 첨가에 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